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기사 바로가기

특집·기획

[특집·기획]경남도, 스마일프로젝트 시동

스마트산단 ➜ 경남형 일자리 창출

 

정부가 연내 전국의 노후산단 3~5곳을 스마트시범산업단지로 지정할 계획이다. 스마트시범산단에 지정되면 1000억 원씩 지원금을 받게된다. 경남도는 당연히 대한민국 기계산업의 요람인 창원국가산단을 1순위 후보지로 밀고 있다. 여기에 새로 조성하는 서김해산단과 대동첨단산단은 중소 제조업 중심의 스마트공장 클러스트로 조성하기 위한 토대를 구축해나가고 있다.

경남도는 연말 조직개편을 통해 스마트공장과 스마트산단을 관리할 전담조직을 상설화한다. 스마트국가산단 지정을 위해서는 3개 국 이상의 역량을 동원하는 특별조직(T/F)도 가동한다.

전략적 접근을 강화하기 위한 외부 용역도 실시한다. 이달부터 내년 8월까지 2억 원을 들여 창원국가산단 등 위에 언급한 3곳을 대상으로 경남형 스마트산단 전략계획 수립 용역을 의뢰할 계획이다.

경남도가 추진하는 스마트산단의 초점은 경남형 일자리를 창출하는데 모아지고 있다.

이는 청년 실업률과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경남도의 청년실태조사 결과 청년 일자리분야의 3대 애로점이 드러났다. 안정적인 일자리 부족(29.0%), 상대적으로 낮은 중소기업 임금(18.6%), 열악한 중소기업 근무환경(18.1%) 등이 청년과 중소기업의 발목을 잡고 있다. 경남도는 이런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양극화를 해소하고 일자리미스매칭의 해법으로 스마트산단을 선택했다. 김경수 도정이 선언한 제조업르네상스의 구체적인 전략인 셈이다.

스마트산단을 통한 일자리 창출 이른바 경남형 스마일프로젝트는 잘 짜여진 역할분담을 통해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공장을 비롯한 교통, 물류, 환경, 에너지, 상하수도 등 산업단지의 인프라를 스마트환경으로 바꾸는 스마트산단의 조성이 근간을 이룬다. 중소기업의 입주와 투자를 유도하는 것 또한 기본전략에 속한다.

여기에 정부와 경남도(지방정부)는 주거와 교육, 복지 등 중소기업의 근로여건을 개선하고 기업투자환경을 조성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창출된 일자리는 근로자의 실질적인 임금인상과 고용안정으로 이어지고 기업에는 생산원가 절감 등 투자환경 개선 효과를 기대한다.

문제는 스마트산단의 조성이 국책사업으로 추진되면서 지방정부 간 선점경쟁을 뚫어야 한다는 점이다. 비슷한 전략과 콘셉트로는 차별성에서 밀린다는 위기감이 있다. 그래서 경남도의 차별화 전략에 스마트산업단지 현실화의 성패가 달려 있다. 사실 정부의 스마트산단정책을 이끌어내기까지 경남도의 마중물 역할이 컸다. 정부도 이 사실은 부인하지 않고 있다. 정부가 창원국가산단을 스마트시범산단으로 지정할 경우 파급효과는 어느 산단보다 크다. 창원국가산단이 대한민국의 경제성장사에 미친 힘과 역사성 때문이기도 하다.

지난 1974년에 조성된 창원국가산단에는 현재 2752개사가 입주해 있다. 여기서 ICT융복합 업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을 조성할 경우 5300여 명의 신규 일자리가 나올 것으로 추산된다. 스마트공장으로 전환하면 외국인 근로자가 담당하는 일자리가 지식근로자에게 적합한 일자리로 바뀌면서 청년 1만 명가량이 취업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될 수 있다. 스마트공장의 실험으로 확인된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 효과, 행복주택과 직장어린이집 등 주거복지에 따른 실질임금 상승 등 창원국가산단의 변신이 가져올 사회·경제적효과는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2018년을 마감하는 12월 경남에 날아들 스마트산단 시범지정이라는 낭보를 기대한다.

 

최석철 편집장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