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기사 바로가기

이슈

[이슈]우면산 산사태의 교훈, 칡 제거

 

2017년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는 서울특별시에 용역보고서를 제출했다. 서울시가 우면산 산사태 복구지와 주변지역 생태환경 모니터링을 의뢰했기 때문이다.

2년간의 탐사연구 끝에 나온 최종보고서에서 엉뚱하게 이 주목을 끌었다. 복원과정에서 칡은 심지도 뿌리지도 않았는데 전체 공구(1~4공구)에서 발견됐다. 심지어 전체 초본류의 40%를 넘어서기도 했다.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이하 환복학회)는 칡을 침입종으로 규정했다. 역시 침입종인 환삼덩굴도 22%를 넘었다. 환복학회는 칡을 생태교란종과 똑같이 다루면서 해마다 제거할 것을 주문했다. 우선관리지역을 선정하고 항공촬영 등을 통해 가시적인 부분부터 먼저 제거하라는 권고도 잊지 않았다.

 

우면산 복원보고서 칡 우선 제거 권고

그 가시적인 부분은 숲과 사방시설 주변을 말한다. 칡은 빛이 잘 드는 곳을 골라 왕성하게 번식하고 생장하는데 사방시설(옹벽, 법면, 절개지)이 칡이 좋아하는 양지라고 밝혔다. 완전 제거를 위해 사방시설 주변을 차폐시키거나 교목류(종자나 묘목)를 심어줄 것을 당부했다.(용역보고서 241)

지난 20117월 발생한 서울 우면산 산사태로 사망 16, 부상 51명 등 참사를 낳았고 자연림과 인공림의 절반 이상 토사가 유실됐다.

칡 뿌리나 줄기가 토양을 응집시켜 산사태를 막아준다는 생각은 우면산복원 종합보고서의 내용과 비교하면 잘못된 상식에 가깝다. 특히 숲과 사방시설에 피해를 주고 도로를 덮치면서 그 부작용은 단순한 불편이 아니라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그렇다고 칡의 의학적·생태적 효능까지 모두 부인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장마철 등 산사태위험 시기를 감안하면 칡의 체계적 관리는 재난방지의 필수라는 공감대가 필요하다.

 

경남도 칡 제거사업 확대해야

사실 경남에서도 칡 대책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산림청 산하 기관을 통해 꾸준히 관리돼왔다. 그러나 그 규모가 너무 적었다. 시군단위의 노력도 있었다. 하동군은 최근 몇 년간 칡 제거 사업을 벌였고 산청군은 올해 칡 제거 사업을 진행했다. 그런데 4월부터 11월까지 이어가려던 계획이 불과 한 달 만에 중단됐다. 널려 있는 칡에 비해 예산이 턱없이 부족했던 까닭이다. 산청군은 산청군산림조합을 통해 줄기나 뿌리 모두 kg1400원에 사고 칡 가공업체에 kg800원에 팔았다.

이렇게 수거한 칡은 26톤 남짓하다. 산청군에서만 캐고, 기계는 사용하지 않는다는 단서를 달았는데도 한 달 만에 예산은 바닥이 났다. 수거에 나선 윤모(54) 씨는 두 번 가져갔더니 그만한다더라며 아쉬워했다. 전문수거업자의 싹쓸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최악의 산사태를 겪은 우면산에서 칡이 생태교란종이나 사방시설 위협종으로 낙인 찍힌 현실을 감안한다면 그저 몸에 좋은 칡뿐만 아니라 재난대비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또 사방시설까지 파고들어 옹벽의 배부름현상까지 유발하는 현실을 감안하면 산사태 방지 차원의 칡 대책이 절실하다. 물론 싸리와 아카시아를 남획해서 토종벌의 생태를 위협한 사례는 칡 제거사업의 수위와 속도조절의 타산지석으로 삼을 만하다.

경남도는 올해 산사태 예방을 위해 취약지역 2269개소와 임도 403km 등을 예찰하고 18개 시군과 함께 산림분야 588개소를 합동점검했다.

·사진 최석철 편집장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