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기사 바로가기

아하! 경남역사

[아하! 경남역사]가야유산 기획㉔ 가야 갑옷, 보물이 되다

 


철의 왕국 가야의 갑옷

우리는 가야를 흔히 철의 왕국이라고 부른다. 가야 유적에서 출토되는 철기 가운데 으뜸은 철기 제작기술의 집합체라 할 수 있는 갑옷일 것이다.

가야가 삼국과 경쟁하던 시대는 전쟁이 끊임없이 일어났던 시기로, 다양한 무기와 함께 갑옷도 계속 발전했다. 갑옷은 몸을 방어하기 위한 도구 이상이다. 특히 일본이 끊임없이 주장해 오는 임나일본부설을 뒷받침하는 자료이자, 이를 부정하는 결정적 증거로도 활용된다. 가야 갑옷에 숨겨진 이야기를 알아보자.

 


가야 갑옷, 임나일본부설을 반박하다

1980년대 초까지 일본의 고고학자들은 부산 연산동고분군(사적 제539) 등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지는 대금식판갑옷(가로로 긴 철판을 이어 만든 갑옷)에 주목했다. 그들은 일본 고분시대(4~6세기) 군사력을 상징하는 이러한 판갑옷들이 가야지역에서 확인되는 것은 소위 임나일본부설의 증거라고 주장해왔다.

하지만 주요 가야고분군들을 발굴조사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견해는 부정되기 시작했다. 특히 김해 대성동고분군(사적 제341)과 부산 복천동고분군(사적 제273)에서는 일본의 대금식판갑옷보다 더 빠른 시기에 제작된 종장판 갑옷(세로로 긴 철판을 이어 만든 갑옷)이 속속 출토됐다. 일본의 판갑옷이 오히려 가야 판갑옷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지게 된 것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당시 일본은 대금식판갑옷으로 무장한 보병(도보로 이동하며 싸우는 병사)이 중심이었던 반면, 가야는 이미 비늘갑옷과 투구, 말갑옷, 말머리가리개 등 철갑을 완전하게 갖춘 기병(말을 타고 싸우는 병사)을 활용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일본이 주장하는 임나일본부설과는 달리 가야의 전투력이 더 뛰어났던 것으로 밝혀져 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정벌했다는 기록은 허구임이 드러나게 되었다.

 


가야 갑옷, 보물이 되다

지난해 3월 복천동고분군 38호분에서 출토된 철제갑옷 일괄품이 보물 제2020호로 지정됐다. 또 대성동고분군 2호분에서 출토된 갑옷 역시 현재 보물 지정을 위한 절차를 밟고 있다. 이 갑옷들은 보존상태가 좋아 가야시대 갑옷의 모습뿐만 아니라, 제작기술까지 잘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특히 높다.

 

과연 가야 무사들은 이 갑옷을 실제로 입었을까?’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해 줄 열쇠가 복천동 38호분 출토 판갑옷의 오른쪽 가슴 부분의 둥근 철판에 숨어 있었다. 이 철판을 엑스레이로 촬영해 보니 화살이나 투겁창 등으로 관통당한 흔적이 나타난 것이다. 이는 전쟁 중 파손된 부분을 수리한 후 다시 사용했음을 의미한다. 다른 판갑옷에서도 다양한 수리 흔적이 확인되면서 가야 사람들이 갑옷을 입고 전쟁에 참전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가야 사람들은 갑옷에 다양한 장식을 해서 뽐내기를 좋아했다. 새나 동물의 털을 이용한 장식은 갑옷을 입은 사람의 지위를 과시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의 갑옷, 가야에서 부활하다

쌍영총 등 고구려의 고분벽화 속에는 철갑 기병의 모습이 잘 묘사되어 있지만, 벽화 속 고구려의 갑옷은 발굴 사례가 극히 적어 실제 모습을 알기 어렵다.

그런데 가야시대 후기의 대표 유적인 고령 지산동고분군, 함안 말이산고분군, 합천 옥전고분군 등에서는 다양한 갑옷들이 확인된다

고구려 고분벽화 속 철갑기병의 실제 모습을 가야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필자가 근무하는 합천박물관에는 매우 귀한 투구와 갑옷이 전시되고 있다.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추진 중인 옥전고분군(사적 제326)의 최고 지배자 고분에서 완전한 모습으로 출토된 금동장식 투구와 비늘갑옷, 목가리개 세트가 그것이다. 그 옛날 감히 쳐다보기도 어려울 정도로 번쩍번쩍한 황금 투구와 갑옷을 입고 전장을 누비던 가야국왕의 모습을 유감없이 보여주는 최고의 유물이다.

 

 

박준현 합천박물관 학예연구사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