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연표

1592년 4월 13일 부터 1598년 11월 19일까지, 7년간의 전쟁 연표!
  • 이순신 장군의 활약과 우국충정들의 고군분트를 마지막 노량해전까지 날짜별로 살펴봅니다.
임진왜란 전쟁연표
날짜 내용
1592년 4월 13일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일본군 제1군이 절영도(絶影島)에 상륙, 임진왜란 시작
1592년 4월 14일 일본군이 부산진성을 공격하여 첨사 정발(鄭撥)이 전사하고 방어군 천여 명 전사
1592년 4월 15일 동래성이 함락되고 부사 송상현(宋象賢), 양산군수 조영규(趙英珪) 등이 전사
1592년 4월 25일 상주(尙州)에서 순변사 이일(李鎰)이 패배하여 충주(忠州)로 철수
1592년 4월 28일 충주(忠州) 탄금대에서 삼도순변사 신립(申砬)이 이끄는 부대가 패배하고 신립과 김여물(金汝岉)등이 전사(탄금대전투)
1592년 5월 부원수 신각(申恪)이 양주의 해유령(蟹踰嶺)에서 일본군을 격파하고 60여명의 목을 벰
1592년 5월 7일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 함대가 옥포(玉浦) 앞바다에서 일본 함선 26척을 격파하고, 이어서 합포(合浦)의 일본 함선 5척을 격파함
1592년 5월 8일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 함대가 적진포(赤珍浦)에 정박 중인 일본 함선 11척을 격파함
1592년 5월 17일 임진강 방어선의 붕괴. 조방장 유극량(劉克亮) 전사
1592년 5월 25일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의 의병 부대가 정암진(鼎岩津)을 도하하는 안코쿠지 에케이(安國寺 惠瓊) 휘하의 일본군을 공격하여 함안 방면으로 격퇴시킴
1592년 5월 29일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 함대가 사천(泗川) 앞바다에서 일본 함대 13척을 격파함. 새로 건조한 장갑선인 거북선(龜船)이 최초로 실전에서 사용됨. 일본군의 총탄에 이순신 부상
1592년 6월 2일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 함대가 미륵도(彌勒島)의 당포(唐浦)에 정박 중인 일본 함대를 공격하여 21척 모두를 격파
1592년 6월 5일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3도 관찰사가 거느린 근왕병이 용인 문소산(文小山)에서 와키사카 사헤이(脇坂左兵衛)의 일본군에게 패배. 선봉장 백광언(白光彦), 이지시(李之時) 전사
1592년 6월 5일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 전라우수사 이억기(李億祺), 경상우수사 원균(元均)이 지휘하는 연합 함대가 고성(固城) 당항포(唐項浦)에서 일본 함대 26척을 격침
1592년 6월 5일 고령(高靈) 의병장 정인홍(鄭仁弘) 부대가 낙동강변의 무계(茂溪)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을 밤에 기습
1592년 6월 15일 평양성(平壤城) 함락. 선조 의주(義州)로 피난
1592년 7월 7일 진안의 웅치(熊峙)에서 나주 판관 이복남(李福男)이 전주(全州)로 침입하려는 안코쿠지 에케이(安國寺惠瓊)의 일본군을 맞아 방어하였으나 실패하고 김제 군수 정담(鄭湛) 전사
1592년 7월 8일 이치(梨峙)에서 광주 목사 권율(權栗)이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의 일본군을 맞아 격퇴함. 이치 전투로 일본군의 전라도 진출을 저지
1592년 7월 8일 이순신(李舜臣), 이억기(李億祺), 원균(元均)의 조선 함대 72척이 한산도 견내량(見乃梁)에서 와키사카 야스하루(脇坂安治)가 이끄는 일본 함대 66척을 격침
1592년 7월 9일 이순신(李舜臣), 이억기(李億祺), 원균(元均)의 조선 함대가 가덕도 안골포(安骨浦)에서 구키 요시타카(九鬼嘉隆), 가토오 요시아키(加藤嘉明)가 지휘하는 일본 함대를 공격하여 20여 척을 격파
1592년 7월 9일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전라도 의병과 전라도 방어사 곽영(郭嶸)의 관군이 금산성의 일본군을 공격하였으나 일본군의 반격으로 실패하고 고경명 전사
1592년 7월 17일 요동(遼東) 부총병 조승훈(祖承訓)의 명나라 군 3천 명과 김명원(金明元)의 조선군이 평양성(平壤城)의 일본군을 공격하였으나 실패함. 유격장 사유(史儒) 등 전사
1592년 8월 1일 평양 수복을 위해 순변사 이빈(李賓) 등이 거느린 조선군이 단독으로 평양성(平壤城)을 공격하였으나 실패
1592년 8월 2일 의병장 조헌(趙憲)의 의병, 승려 영규(靈圭)의 승병, 충청도 방어사 이옥(李沃)의 관군이 연합하여 청주성의 일본군을 격파하고 청주 탈환
1592년 8월 18일 조헌(趙憲)과 영규(靈圭)의 의병 부대가 금산의 연곤평(延昆坪)에서 고바야카와의 일본군을 맞아 싸웠으나 전멸
1592년 9월 1일 초토사 이정암(李廷馣)이 황해도 연안성을 4일 동안 포위 공격하는 일본군을 격퇴
1592년 9월 1일 이순신(李舜臣), 이억기(李億祺), 원균(元均)의 조선 수군 연합 함대가 부산포의 일본군 본진을 공격하여 1백여 척을 격침시킴. 녹도 만호 정운(鄭運) 전사
1592년 9월 9일 경상좌병사 박진(朴晋)이 경주성의 일본군을 공격하여 경주를 탈환함. 이 전투에서 신형 무기인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를 사용하여 큰 성과를 거둠
1592년 9월 16일 북평사 정문부(鄭文孚)의 부대가 경성(鏡城) 탈환하고 반역자 국세필(菊世弼) 등을 처단
1592년 10월 5일 진주 목사 김시민(金時敏)이 6일 동안 진주성을 공격하는 일본군을 방어하여 격퇴하고 전사. 이 전투는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
1593년 1월 6일 이여송(李如松)의 명나라 군과 김명원(金明元) 휘하의 조선군 연합군이 평양성(平壤城)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일본군을 공격하여 평양 탈환
1593년 1월 27일 이여송(李如松)이 고양 벽제관(碧蹄館) 근처에서 일본군의 기습으로 패배하고 파주(坡州)로 퇴각
1593년 2월 12일 전라 감사 권율(權慄)이 거느린 2,300명이 행주산성(幸州山城)에서 3만 여명의 일본군을 대파. 이 전투에서 변이중(邊以仲)이 제작한 화차(火車)가 큰 역할을 함
1593년 3월 29일 유성룡(柳成龍)이 군제를 진관체제(鎭管體制)로 복구할 것을 청함
1593년 6월 22일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직접 명령으로 우키타 히데이(宇喜多秀家)가 지휘하는 일본군 9만 여명이 진주성을 공격함. 6일 간의 전투 후 성이 함락되고 주민 6만 여명이 살륙됨
1593년 8월 13일 하삼도(下三道)의 번상병들을 명나라 군중에 보내어 남병(南兵)의 무기와 진법(陳法) 등을 익히게 함
1593년 8월 16일 일본군이 경상도 안의(安義)의 황석산성(黃石山城)을 공격하여 성이 함락되고 현감 곽준(郭?) 등이 전사
1593년 9월 25일 동지사 허진(許晉)에게 명하여 척계광의 기효신서(紀效新書)중 왕세정(王世貞)이 서문을 쓴 판본을 구입하게 함
1594년 2월 1일 훈련도감(訓鍊都監)을 설치하고 유성룡(柳成龍)을 도제조로 임명함
1594년 5월 17일 낭청 한교(韓嶠)를 기복(起復)시켜 『기효신서(紀效新書)』를 번역하여 편찬하게 함
1594년 10월 21일 황해도 정병(精兵) 4천 명을 『기효신서(紀效新書)』의 속오법(束伍法)으로 편성하여 훈련하게 함
1595년 5월 28일 입직 포수(砲手)로 하여금 삼안총(三眼銃)을 연습하게 하고, 살수(殺手) 훈련을 위해 『살수보(殺手譜)』 편찬을 독촉함
1595년 6월 13일 훈련도감(訓鍊都監)에서 『기효신서절요(紀效新書節要)』 1권 등 병서 편찬 상황을 보고함
1595년 12월 16일 각 지방의 병사들을 무학사목(武學事目)에 따라 거주지에 모여 군사 훈련을 시킬 것을 명함
1596년 1월 도체찰사 유성룡(柳成龍)이 <연병규식(鍊兵規式)>을 정하여 경기, 황해, 평안, 함경도에 반포함
1596년 7월 6일 이몽학(李夢鶴)이 반란을 일으켜 홍산현(鴻山縣)을 습격하여 점령함. 이후 청양(淸陽) 등 여러 고을을 점령하여 위세를 떨치다 진압됨(이몽학의 난)
1596년 12월 8일 훈련도감(訓鍊都監)에 명하여 불랑기(佛狼機) 등 각종 화포의 사용법을 번역하게 하고, 안변에 있는 연환(鉛丸) 10만개를 가져오게 함
1597년 7월 경상 우조방장 곽재우가 창녕(昌寧)의 화왕산성(火旺山城)을 거점으로 가토오 키요마사 휘하의 일본군 공격을 수 차례 격퇴함
1597년 7월 8일 일본군의 침공군 주력이 6백여 척의 선단에 의하여 경상도 남해안 일대에 상륙. 정유재란 발발
1597년 7월 15일 삼도수군통제사 원균(元均)이 거느린 조선 수군이 칠천량(漆川梁)에서 일본 수군의 기습으로 패배하고 원균, 이억기(李億祺) 등 전사 (칠천량 해전)
1597년 8월 16일 일본군의 포위 공격으로 명나라와 조선군이 지키던 남원성(南原城)이 함락됨. 명나라 부총병 양원(楊元)은 도주하고 전라 병사 이복남(李福男) 등 다수 장수가 자결함
1597년 9월 7일 경기도 직산(稷山)에서 부총병 해생(解生)이 지휘하는 명나라군이 구로다 나가마사(黑田長政)의 일본군 우군을 격파함. 일본군의 북상 좌절 (직산 전투)
1597년 9월 16일 명량(鳴梁) 수로에서 이순신(李舜臣) 함대 12척이 일본 함대 130여 척을 격파. 전라도 해안의 제해권 회복
1597년 12월 명나라 경리 양호(楊鎬)가 지휘하는 조,명 연합군이 울산 도산성(島山城)의 일본군을 수 차례 공격하였으나 실패함
1598년 9월 21일 제독 마귀(麻貴)의 명나라 동로군이 울산 도산성의 일본군을 여러 날 공격하였으나 실패
1598년 9월 21일 제독 유정(劉綎)이 지휘하는 명나라 서로군(西路軍)이 이순신(李舜臣)의 조선 수군과 합동으로 순천 왜교성(倭橋城)의 일본군을 10여 일 동안 공격하였으나 실패함
1598년 9월 28일 명나라 중로군(中路軍)이 사천(泗川)의 일본군을 공격하여 신성(新城)으로 몰아냈으나 불랑기(佛狼機)의 오발 사고로 일본군의 역습을 받아 성주(星州)로 철수함
1598년 10월 한교(韓嶠)가 조선 최초의 무예서인 『무예제보(武藝諸譜)』를 편찬함
1598년 11월 19일 통제사 이순신(李舜臣)의 조선 수군과 진린(陳璘)의 명나라 수군 연합 함대가 노량(露梁) 앞 바다에서 일본군 선단을 공격하여 2백여 척을 격파함. 이순신은 일본군의 유탄에 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