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중소기업 녹색인증 컨설팅 지원사업 시행
- 조회 : 147
- 등록일 : 22.01.16
-
제공부서
중소벤터기업과
-
구분
보도자료
-
담당자
강기진
-
전화번호
055-211-3366
-
부제목
- ‘중소기업 녹색인증 컨설팅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 녹색인증을 위한 컨설팅, 시험비용, 인증비용까지 기업당 5백만 원 내 지원
-
첨부파일
220116보도자료(녹색인증컨설팅사업)-중소벤처기업과.hwp (113 kb)
(붙임)2022년중소기업녹색인증컨설팅지원사업참여기업모집공고(안).hwp (40 kb)
2022 중소기업 녹색인증 컨설팅 지원사업 시행
- ‘중소기업 녹색인증 컨설팅 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 녹색인증을 위한 컨설팅, 시험비용, 인증비용까지 기업당 5백만 원 내 지원
경상남도(도지사권한대행 하병필)는 ‘중소기업 녹색인증 컨설팅 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기업을 2월 18일까지 모집한다.
‘녹색인증제’란 2010년부터「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의거하여 사회·경제활동 전 과정에서 온실가스 등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한 기술이나 제품을 인증하여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다. 인증 획득 시 조달청 우수 조달제품 등록, 중소기업 정책자금 융자 지원, 마케팅 지원 등의 각종 혜택이 주어진다.
경남도는 녹색기술 인증 컨설팅, 시험분석 등 녹색인증 획득에 필요한 전 과정을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신재생에너지, 탄소저감 등 녹색기술 인증범위에 속하는 총 10개의 업종을 영위하는 도내 중소기업으로 최종 10개 내외의 중소기업을 선정하여 기업당 최대 500만 원까지 지원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창원컨벤션센터 1층에 소재한 (재)경상남도경제진흥원에 직접 방문하거나 이메일, 우편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관련 공고는 (재)경상남도 경제진흥원 누리집(https://www.gnepa.or.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21년에는 녹색인증 컨설팅 지원사업에 9개의 기업이 선정되어 지원을 받았다. 특히 대림비닐공업 주식회사는 원자재 사용은 줄이면서도 기존과 동일한 품질의 비닐봉투를 만들어 내는 기술로 약 20%의 온실가스를 절감시켜 녹색인증을 취득하였다.
우명희 도 중소벤처기업과장은 “중소기업의 녹색인증은 저탄소, 기후위기 시대에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많은 기업이 참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첨부 : 녹색기술 인증범위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중소벤처기업과 강기진 주무관(055-211-3366)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대분류 | 중분류 | 대분류 | 중분류 |
01 신재생에너지 | 01 태양광 | 05 그린차량․선박·수송기계 | 01 친환경 자동차 |
02 연료전지 | 02 저공해 고효율 차량 | ||
03 풍력 | 03 친환경 농기계 | ||
04 igcc(석탄/중질잔유 복합발전) | 04 친환경 선박 | ||
05 바이오매스 | 05 스마트 선박 | ||
06 해양에너지 | 06 첨단 철도 | ||
07 태양열 | 07 친환경 개인 이동수단 | ||
08 지열 | 08 고효율 해상물류 | ||
09 수소 | 09 해사안전 | ||
02 탄소저감 | 01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 | 10 드론 | |
02 non-co2 온실가스 처리 | 06 첨단그린 주택․도시 | 01 스마트-city | |
03 원자력 | 02 its(지능형교통시스템) | ||
04 에너지저장 | 03 gis(공간정보) | ||
05 청정연료 | 04 저에너지 친환경주택 | ||
06 히트펌프 | 07 신소재 | 01 초경량 마그네슘 소재 | |
07 신광원 고효율 조명 | 02 ionic liquid 소재 | ||
08 소형열병합 | 03 나노탄소융합소재 | ||
09 에너지 다소비 기기 및 산업공정 고효율화 | 04 기능성 나노필름 | ||
10 핵융합 | 05 농산자원유래 천연소재 | ||
03 첨단수자원 | 01 자연친화적 하천관리 | 06 희토류자성소재 | |
02 담수 플랜트 | 07 고특성 알루미늄소재 | ||
03 자연재해 대응시스템 | 08 그린섬유 소재 | ||
04 통합수자원관리 | 09 광소자용 단결정 소재 | ||
05 수계 수질평가/관리 | 10 에너지하베스팅 소재 | ||
06 해양수자원 | 11 그린고분자 소재 | ||
07 고효율 농어촌 용수 자원 | 12 해양생명공학 | ||
08 고도 수처리 | 13 의약소재 | ||
09 누수방지 및 절수 | 08 청정생산 | 01 국제환경규제대응 | |
04 그린it | 01 led | 02 무오염생산 | |
02 시스템 반도체 | 03 자원순환 | ||
03 메모리 반도체 | 04 해양광물자원 | ||
04 차세대 디스플레이 | 09 친환경 농수산식품 및 시스템 | 01 생태환경변화대응 | |
05 그린 sw&솔루션 | 02 생물자원 | ||
06 그린 컴퓨팅 | 03 저 투입생산 | ||
07 그린 임베디드 sw | 04 첨단자동화시스템 및 기자재 | ||
08 사물인터넷(iot) | 05 식품생산 | ||
09 스마트그리드 | 06 안전유통 | ||
10 3d프린팅 | 07 친환경 농자재 | ||
11 웨어러블 | 10 환경보호 및 보전 | 01 기후변화 감시 및 예측 | |
12 지능형로봇 | |||
02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 | |||
13 이차전지 | |||
03 폐기물 및 폐자원 | |||
14 디지털방송 | |||
04 유기성 부산물 | |||
15 무선통신 | |||
05 친환경제품 | |||
16 방송통신네트워크 | |||
06 생태계 보전 및 복원 | |||
17 전자파 | |||
07 유해성 물질 모니터링 및 환경 정화 | |||
18 콘텐츠 제작기술 | |||
08 기상·지진·화산 | |||
19 저장장치 |

2022 중소기업 녹색인증 컨설팅 지원사업 시행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 등록된 댓글이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