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경남

문화/예술

문화/예술

통영 예술가 찾아 바닷길 걷기 - 윤이상 기념관부터 김춘수 유품관까지

온라인홍보 명예기자단 황선영

황선영 

 


▲ 기념관 안은 윤이상의 음악으로 가득하다.

윤이상 기념관은 음악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예술가의 손때가 묻은 첼로, 음표 하나하나를 써내려간 자필 악보, 음악을 발표했던 연주회 포스터.... 이곳의 모든 것은 거장 “윤이상”의 인생을 보여주는 것들이지요. 기념관 안을 돌아보다 잠시 멈춰섭니다. 아직 곡이 끝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윤이상의 동상.

통영은 예향입니다. 그 뿌리는 조선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통영에는 삼도수군통제영이 있었습니다. 지금으로 말하면 해군사령부에 비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서울에서 임명된 삼도수군통제사는 통영에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당시에는 수령이 부임할 때 가족 모두를 데리고 가는 것이 관행이었습니다.




▲ 통영의 바다.

서울의 최신 패션은 통제사와 그의 가족들을 통해 전달되었지요. 음악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조선 말기, 소리꾼들의 꿈은 통영에서 공연하는 것이었다고 합니다. 판소리를 좋아하는 삼도수군통제사가 이름난 소리꾼을 초청한 것이지요. 통제사 앞에 불려간 소리꾼의 공연은 통영의 백성들에게 화제가 되었습니다.




▲ 통영터널.

옛 속담에 “원님 덕에 나발 분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통제사 앞에서 한 공연은 끝이 아닙니다. 통영의 유지들이 앞 다투어 소리꾼을 초청했지요. 이런 공연들은 통영사람들의 귀를 트이게 했습니다. 판소리에 “귀명창”이란 말이 있습니다. 소리를 잘 하는지 잘 못하는지 판단하는 수준 높은 팬을 지칭하는 명칭입니다.




▲ 이순신 장군을 모신 착량묘.

“나는 한 번도 통영을 잊어 본 적이 없습니다. 그 잔잔한 바다, 그 푸른 물색, 가끔 파도가 칠 때도 파도 소리는 나에겐 음악으로 들렸고, 그 잔잔한, 풀을 스쳐가는, 초목을 스쳐가는 바람도 내겐 음악으로 들렸습니다.” 작곡가 윤이상 선생님의 회고입니다. 통영의 파도 소리는 음악이 되었고, 그 음악은 사람들을 매료시켰지요.





▲ 충무교에 그려진 전혁림 화백의 그림.

충무교 아래를 지나 갈매기 한 마리가 울음소리를 냅니다. 괭이갈매기입니다. 통영의 시인 김춘수 선생님은 이런 글을 남겼습니다. “요즘도 나는 화창한 대낮 길을 가다가 /문득 어디선가 갈매기 우는 소리를 듣곤 한다./ 물론 환청이다./갈매기의 울음은 고양이의 울음을 닮았다./ 바다가 없는 곳에 사는 것은 답답하다./ 바다가 보고 싶은데 뜻대로 되지 않는다.”




▲ 김춘수 유품전시관.

시인 김춘수에게도 “통영 바다”는 그리움의 대상이었습니다. 갈매기 울음소리를 환청으로 들을 정도로 바다를 보고 싶어 했습니다. 훌쩍 떠나면 되지만, 뜻대로 되지 않음을 시인은 글로 남깁니다. 그가 보고 싶어 했던 쪽빛 하늘과 푸른빛 바다가 펼쳐져 있습니다. 충무교를 건너 김춘수 유품전시관으로 향합니다.



▲ 예향 통영을 노래한 김춘수 시인.

김춘수 시인의 시를 읽고 있노라면, 묘한 리듬감이 있습니다. 파도소리를 듣는 듯, 규칙적인 리듬 말이지요. 윤이상과 김춘수, 음악과 문학의 두 거장에게 통영은 창작의 근원이었습니다. 그들이 어린 시절, 들어왔던 파도소리는 마치 심장 박동처럼 예술을 지속시키는 힘이 되었지요. 통영의 바다를 따라 걸으며, 두 거장의 예술을 조금이나마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ㅊ
황선영 

 

통영 예술가 찾아 바닷길 걷기 - 윤이상 기념관부터 김춘수 유품관까지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통영 예술가 찾아 바닷길 걷기 - 윤이상 기념관부터 김춘수 유품관까지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록
월간 인기 기사
최근기사
경남소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