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하나의 수도권 부울경 메가시티
왜 부울경 메가시티인가?
수도권 일극체제에서 다극체제로 전환
수도권은 인구 과밀, 지방은 소멸
- (수도권 과밀화와 부동산 양극화) '22.3월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수도권 인구 전국 인구의 50.4%, 부동산 가격 폭등 등 수도권 집중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균형발전 요구 증가
- (비수도권 인구감소로 소멸 가속화) 자연적 요인에 의한 국가전체 인구감소와 수도권 인구집중 문제해결을 위한 정부전략 필요
지역 성장 잠재력인 청년·인재의 수도권 집중
- (30대 이하 수도권집중) '21년 수도권에서 30대 이하 8만 3천명 유입
⇒ 수도권 청년인구 비중 지속적 상승
- (교육기관의 수도권 집중) 총 대학 수의 34%가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고 우수대학의 수도권 집중으로 교육으로 인한 청년인구 유출 문제 해결 필요
- 수도권 대학 쏠림, 지방대학 위기) 지속적인 학령인구 감소에도 수도권 대학의 경쟁률은 비수도권 대학의 두 배를 나타내고 있음. 지역의 경제·문화·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지방대학 위기 극복을 위해 지역대학 특성화, 산학연 연계를 통한 지역 인재양성 기능 강화 필요
숙련된 우수인력 수도권 집중
- (연구개발인력 61.8% 수도권 집중) 비수도권은 전문기술인력 부족으로 고부가가치 첨단기업 유치나 주력산업 혁신을 위한 기술도입도 곤란
- (우수인력 확보를 위한 생산설비 수도권 이동) 기술혁신의 속도 증가로 생산현장과 연구개발의 결합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지역의 제조산업 등 생산인프라가 기술인력 확보가 용이한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악순환 발생
새로운 기회인 자본·소득의 수도권 집중
- (벤처기업·벤처투자·창업기획자 모두 수도권 집중) 첨단 기술과 창조적 아이디어를 보유한 기술 집약 벤처기업의 59.3%가 수도권에 있으며, 이 중 매출 천억 이상 기업의 62.2%가 수도권 소재
수도권 과밀의 폐해, 낮은 삶의 만족도
- (수도권 집중 비효율) 대중교통망 구축을 위한 수도권 집중 투자에도 수도권 교통혼잡비용이 매우 높음
- (새로운 사회적 문제 야기) 20~30대 청년의 수도권 집중으로 수도권 내 청년층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낮은 삶의 만족도로 서울의 출산율은 전국 최하위
수도권은 인구 과밀, 지방은 소멸

- (수도권 과밀화와 부동산 양극화) '22.3월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수도권 인구 전국 인구의 50.4%, 부동산 가격 폭등 등 수도권 집중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균형발전 요구 증가
- (비수도권 인구감소로 소멸 가속화) 자연적 요인에 의한 국가전체 인구감소와 수도권 인구집중 문제해결을 위한 정부전략 필요
지역 성장 잠재력인 청년·인재의 수도권 집중

- (30대 이하 수도권집중) '21년 수도권에서 30대 이하 8만 3천명 유입
⇒ 수도권 청년인구 비중 지속적 상승

- (교육기관의 수도권 집중) 총 대학 수의 34%가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고 우수대학의 수도권 집중으로 교육으로 인한 청년인구 유출 문제 해결 필요
- 수도권 대학 쏠림, 지방대학 위기) 지속적인 학령인구 감소에도 수도권 대학의 경쟁률은 비수도권 대학의 두 배를 나타내고 있음. 지역의 경제·문화·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지방대학 위기 극복을 위해 지역대학 특성화, 산학연 연계를 통한 지역 인재양성 기능 강화 필요
숙련된 우수인력 수도권 집중
- (연구개발인력 61.8% 수도권 집중) 비수도권은 전문기술인력 부족으로 고부가가치 첨단기업 유치나 주력산업 혁신을 위한 기술도입도 곤란
- (우수인력 확보를 위한 생산설비 수도권 이동) 기술혁신의 속도 증가로 생산현장과 연구개발의 결합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지역의 제조산업 등 생산인프라가 기술인력 확보가 용이한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악순환 발생
새로운 기회인 자본·소득의 수도권 집중

- (벤처기업·벤처투자·창업기획자 모두 수도권 집중) 첨단 기술과 창조적 아이디어를 보유한 기술 집약 벤처기업의 59.3%가 수도권에 있으며, 이 중 매출 천억 이상 기업의 62.2%가 수도권 소재
수도권 과밀의 폐해, 낮은 삶의 만족도

- (수도권 집중 비효율) 대중교통망 구축을 위한 수도권 집중 투자에도 수도권 교통혼잡비용이 매우 높음
- (새로운 사회적 문제 야기) 20~30대 청년의 수도권 집중으로 수도권 내 청년층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낮은 삶의 만족도로 서울의 출산율은 전국 최하위
- 담당부서 : 미래전략국 동남권전략기획과
- 연락처 : 055-211-4111
최종수정일 : 2022-04-19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 등록된 댓글이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