展示

Gyeongnam Art Museum

過去の展示

2021 근현대미술기획《황혜홀혜 恍兮惚兮》

2021 근현대미술기획《황혜홀혜 恍兮惚兮》

 

한국근현대미술과 조선서화, 민화, 새로움, 현대성, 전시구성

한국 근현대미술의 역사에서 19세기말 조선미술계의 시대적 요구는 봉건성 극복이나 근대성 획득 보다는 민족 자주성 확립이 최고의 미적 가치였다. 이 같은 시대적 요청은 많은 화가들로 하여금 조선의 고유미술, 즉, 전통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 밖으로는 외세의 침략과 안으로는 계급모순이 거세지면서 전통 사상에 대한 충분한 반성이나 새로운 미술에 대한 견고한 해석 없이 ‘근대화는 곧 서구화’라는 급진적이고 단편적인 인식으로부터 서구 중심의 근대예술 체계를 받아들이게 되었고 전통으로부터의 내적 동인 없이 외부의 정치 사회적 조건에 맞물려 ‘서화’에서 서구의 ‘미술’로 재편되는 현상을 맞이하게 되었다. 3‧1 운동 이후 조선 미술론에 대한 정당한 비판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면서 서구미술을 주체적으로 소화하고자 하는 노력도 있어왔지만 또 한 번의 아픈 역사, 6‧25 전쟁은 이러한 과정을 무너뜨리고 말았다. 물밀 듯 밀려들어오는 서양의 미술은 국제화, 세계화라는 구호 아래 민족성, 민족주의에 대한 각성을 오히려 국수주의로 내몰았고, 서양미술이론의 잣대로 한국미술을 해석하고 재단하는 일은 당연한 것처럼 여겨지게 되었다. 이는 우리가 스스로 500년 조선의 미학을 담은 ‘서화(書畫)’의 역사를 배제하고 있다는 것조차 깨닫지 못한 체 비교적 길게 이어져 오늘에 이르렀다.

 

경남도립미술관은 이러한 고유미술의 전통, 특히 조선 서화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한국 근현대미술의 역사로 온전히 쓰여 지지 못한 우리의 예술과 사상을 공유하고 그것이 당대의 삶과 어떻게 호흡하고 있는지 동시대미술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찾아 들어가고자 한다. 아울러 전통과 현대의 관계성을 새롭게 발굴하고 한국근현대미술사의 의미망을 확장해 나가고자 한다.

 

경남도립미술관은 지난해 1900년대 변혁기 우리 예술의 횡단면을 조선의 서화를 중심으로 조망했던 『자화상Ⅱ – 나를 보다』전에 이어 올해는 서화의 역사에서 새로운 물결이라 할 수 있는 조선 ‘민화(民畵)’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의 지평을 새롭게 열어보고자 『황혜홀혜』전을 개최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민화(民畵)’라는 명칭은 민중에 의해 그려지고 민중을 위한 그림이라는 의미로 일본의 미학자이자 민예운동가인 야나기 무네요시의 주장에 따라 명명되어 지금까지 통용되고 있다. 물론 현재 민화는 서민화를 포함, 궁중장식화, 화원그림까지 두루 포괄하는 개념을 담고 있지만, 작가를 정확히 알 수 없고, 전문적인 화공의 그림이 아니라는 이유로 연구의 대상에서 배제되어 미술사적 위치를 공고히 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문자가 그림이 되고, 산이 바다를 품고, 봉황이 뒤돌아 날개 짓하며, 서가의 책과 기물이 춤을 추는 민화를 마주하게 되면 우리는 조선미술의 신비로운 예술 세계를 낯설지만 익숙하게(현대미술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게) 받아들이게 될 것이다.

 

민화는 인간과 자연의 조화, 출세와 부귀, 자손번성, 영웅담, 무병장수, 현실과 꿈 등 우리의 삶과 죽음을 사유하는 근원적인 욕망을 아우르고 있다. 18세기 후반과 19세기를 거치며 급변하는 시대에 의지할 곳 없는 민중이 세속적 욕망에 매달리며 인생의 궁극적이고 가장 인간적인 소망을 담아낸 것이라 할 수 있는 민화는, 외세의 침략과 개항, 계급모순으로 혼란스러웠던 조선 말기에 인간의 가장 본질적인 삶의 가치를 사유하게 한 조선인들의 시대적 욕망, 달리 말해 대안적 세계, 새로운 세계, 즉, 유토피아를 시각화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유토피아, 예술에 있어 본질적인 질문이라 할 수 있는 새로운 세계에 대한 주제 의식은 새로운 형식을 창출하는 구조로 이어지며, 민화가 민중의 그림이라는 단순한 의미를 넘어 매우 개성 있고 해학적이며 불가사의한 조형성이 배어있다는 것에 주목하게 한다. 민화는 다시점을 통해 추상과 구상을 넘나들며 대상을 해체 전복 시키는화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수많은 도상으로 저마다의 의미를 가지며 사회상을 담아내는 시대성까지 드러낸다. 아울러 민화의 작가는 그림을 배운 화공이 아니었기에 사회적으로 규정된 어떤 원칙이나 법칙을 따르기보다 스스로 해결책을 찾는 작자의 자유의지가 그 익명성을 담보로 더욱 자유롭고 실험적인 조형성을 구축한다. 이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예술작품의 근원, 예술작품의 조건이 무엇인가를 따지기 이 전에 작자미상의 산수도, 책가도, 문자도, 화조도 등으로 일컬어지는 그림 그 자체로서의 가치, 즉 회화성에 대해 강조 할 수 있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비록 사대부의 고급문화를 모방하고자 했고, 그들의 사의적(寫意的)그림을 차용하였으나 문인화와는 또 다른 아름다움이 개방성과 익명성을 통해 특별한 의미를 부여 받는다.

 

일각에서 민화를 이름 없는 장식화나 기능적 도구로 치부하며 변방으로 내몰아 둔 것도 사실이지만, 민화가 주목받지 못한 옛것이라고 했을 때 그것은 오히려 문화적 전통에 부정적으로 순응하는 혁신으로써 ‘새로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혁신은 문화 외적인 게 아니라 문화적 위계와 가치를 다루는 것이며, 숨겨져 있는 걸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이미 우리가 보고 알고 있는 것의 가치를 전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section1 산山을 나는 바다, section2 수수壽壽 복복福福, section3 문자文字와 책冊의 향香과 기氣 를 통해 산수도, 화조도, 문자도, 책가도, 책거리 등의 민화 원작을 중심으로, 근현대 한국미술의 역사에서 그 가치의 논의가 다소 소극적이었던 조선 ‘민화’ 의 내적인 면모를 미술과 시대사회적 관점에서 두루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앞서 인트로섹션 두 개의 태양에서는 이미 알고 있는 민화라고 하는 옛것을 통해 우리가 모던이라 부르던 시대에 그토록 찾아내고자 했던 ‘새로운 것’의 당대적 비전, 시간성의 복잡한 엮임, 현재‧과거‧미래 사이의, 단편화와 연속성 사이의, 예견과 지체 사이의, 운동과 부동 사이의 복잡한 관계집합을 통해 현대성(modernity)의 의미를 확장시켜 보고자 한다.

 

 

전시구성

인트로섹션 : 두 개의 태양太陽

Section1: 산山을 나는 바다

Section2 : 수수壽壽 복복福福

Section3 : 문자文字와 책冊의 향香과 기氣

 

 

참여작가

           김기창, 김성호, 김종학, 김지평, 류성실, 박생광, 백은배, 손동현, 안상수, 양아치, 오수환, 원성원, 이승희, 이우환, 이진경, 장욱진, 전정우, 전혁림, 전혜림, 조인호,

           최하늘, 홍지윤, 황석봉

 

 

대표작품 캡션

[김지평] 기암열전(奇巖列傳), 2019, 혼합매체 92⨉690cm

[김지평] 기운생동(氣韻生動), 2017, 단채널 비디오, 6min 8sec

[원성원] IT 전문가의 물풀 네트워크, 2017, C-프린트, 178⨉297cm

[원성원] 천으로 덮은 풍경, 2017, 종이에 혼합매체, 59⨉77cm

[전혜림] 이어진 산수#2 (캡쳐, 패치, 픽쳐), 2021, 혼합매체, 가변설치

[전혜림] 이어진 산수#2 (캡쳐, 패치, 픽쳐), 2021, 혼합매체, 388.3⨉390.2cm

[양아치], 뼈와 살이 타는 밤, 2014, C-프린트, 디아섹, 150_100cm

[전혜림] 이어진 산수#2 (캡쳐, 패치, 픽쳐), 2021, 혼합매체, 116.7⨉72.9cm

[양아치], 바다 소금 극장, 2014, 단채널 비디오, 10min 10sec

[양아치], 뼈와 살이 타는 밤, 2014, C-프린트, 디아섹, 140⨉93.3cm

[양아치], 신용, 2018-2021, 혼합매체, 가변설치

작가 미상, 구운몽도, 20세기 초반, 종이에 채색; 병풍, 65.3⨉35.5⨉(8)cm

           [류성실], 대왕트래블 칭쳰 투어 - 김첨지 리바이벌 2019, 2019, 단채널 비디오, 25min

[최하늘] 일필휘지 조각_계획 풍경: 도시, 2021, 혼합매체, 가변설치

작가 미상, 관동팔경, 19세기 후반, 종이에 채색; 병풍, 56⨉31.5⨉(8)cm

[조인호], 고군산군도전도古群山群島全圖, 2020, 순지에 수묵, 190⨉780cm

작가 미상, 금강산도, 19세기 중반, 종이에 먹; 병풍, 85⨉34⨉(10)cm

작가 미상, 무이구곡도, 19세기 후반, 종이에 채색; 병풍, 93.5⨉44⨉(10)cm

[전정우], 수수壽壽 복복福福, 2021, 종이에 먹, 41⨉34.5cm (each)

[이진경], 목숨 수 – 제주문자도 시리즈, 2021, 패널, 종이에 채색

작가 미상, 제주문자도, 20세기 초반, 종이에 채색; 병풍, 92⨉36⨉(6)cm

[안상수], 문자도 홀려라.A., B., 2021, 패널, 캔버스에 유채, 260⨉194cm

작가 미상, 충효문자도, 19세기 중반, 종이에 채색, 54⨉34.5⨉(8)cm

[황석봉], 먹물낙지의 꿈, 2021, 종이에 먹, 가변설치

작가 미상, 책거리, 19세기 후반, 종이에 채색; 병풍, 97⨉43⨉(12)cm

작가 미상, 반닫이 설치, 19세기 중반, 고가구, 가변설치

 

[사진설명(한글) : "황혜홀혜 2021.6.25 ~ 10.10"]
[사진설명(영문) : "Sunset, Sunrise 2021.6.25 ~ 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