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기찬경남

도정뉴스

도정뉴스

경남도, 제4단계(’21∼’30년) 수질오염총량관리 추진

2030년까지 2020년 대비 bod 66%, t-p 86% 오염물질 배출량 저감

남강수계 총유기탄소량(toc) 총량제 시범 도입으로 난분해성 유기물질 관리강화

경남도, 제4단계(’21∼’30년) 수질오염총량관리 추진


 

 

경상남도(도지사 김경수)는 낙동강에 배출되는 오염물질 감소 및 목표수질을 달성·유지하기 위해 올해부터 2030년까지「제4단계 경상남도 오염총량관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난 6월 30일 환경부로부터 2030년까지 경상남도 낙동강수계 15개 시·군, 13개 단위유역*의 하천 수질 관리를 위한 목표수질 및 할당부하량** 등이 담긴 제4단계(’21∼’30년) 경상남도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을 승인 받아 본격 추진하게 되었다.
 

 < 제4단계(’21∼’30년) 경상남도 오염총량관리 주요내용 >
∘근 거 : 「낙동강수계 물관리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 제8조의2」

∘목표수질 : 물금상수원ⅱ등급(bod 2.6㎎/l, t-p 0.049㎎/l) 달성‧유지

∘계획기간 : 2021년∼2030년(10년간)

∘대상지역 : 낙동강수계 도 관할 15개 시·군 13개 단위유역

 

 

* 단위유역 : 유역관리 및 수질관리를 위해 수계별로 구분한 유역

** 할당부하량 : 목표수질을 달성·유지하기 위하여 지정된 오염배출부하량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는 하천의 목표수질을 정하고 이를 달성·유지하기 위한 오염물질 총량을 관리하고, 오염물질량을 줄일수록 해당 지역에 개발할 수 있는 여지를 부여하는 제도이다.

 

경남도, 제4단계(’21∼’30년) 수질오염총량관리 추진2


 

 

낙동강 하류 주요 상수원인 물금 지점의 경우 목표수질을 유기물질인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은 3단계 2.9㎎/l에서 4단계 2.6㎎/l로 녹조 발생의 원인인자인 총인(t-p)은 0.065㎎/l에서 0.049㎎/l로 강화 설정되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하천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허용량은 3단계 대비 bod는 66%(96,175kg/일 → 64,066kg/일), t-p는 86%(5,089kg/일 → 4,387kg/일) 수준으로 2030년까지 관리할 계획이다.

 

이에, 경남도는 목표수질 달성과 할당부하량 준수를 위해 환경기초시설 신·증설, 하수관로 정비, 비점오염 저감사업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신규사업도 적극 발굴해 반영할 계획이다.

 

또한, 기존의 bod 중심의 유기물질 관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난분해성 유기물질 배출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남강수계에 toc(총유기탄소) 총량제를 시범도입 할 계획이다.

 

정석원 경남도 기후환경산림국장은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 도입 이후 낙동강수계 하천 수질 개선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면서, “환경부 기본계획 승인 결과에 따라 실행력이 담보되고, 방향성이 명확한 시행계획을 조속히 수립해 개발과 보전이 균형을 이루는 낙동강 수질관리가 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더 큰 경남 더 큰 미래

 


 

경남도, 제4단계(’21∼’30년) 수질오염총량관리 추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경남도, 제4단계(’21∼’30년) 수질오염총량관리 추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록
월간 인기 기사
최근기사
경남소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