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닫기
경남명소
메인으로 이동메인으로 이동

문화관광

거창둔마리벽화고분

거창둔마리벽화고분의 파일 이미지

거창둔마리벽화고분의 파일 이미지

기본정보

0
  • 주소거창군 남하면 안흥1길  길찾기
  • 관리기관거창군 문화관광과
  • 문의전화055)940-3410
  • 편의시설
    장애인편의시설 놀이시설 수유실 유모차 자전거 와이파이

상세내용

* 지정 번호 : 사적 239호
* 지정일 : 1974년 9월 5일
* 분류 : 장방형 석실분묘
* 규모(수량) : 1基
* 시대 : 고려시대
* 소유자 : 거창군

고분은 금귀봉(827m)에서 남쪽으로 흘러내린 높이 450m쯤 되는 능선상에 위치하며 이 일대는 석장(石葬)골 또는 재궁(梓宮)골이라 불리던 곳이다. 고분의 모양은 능선상의 좁은 평지 위에 방형으로 지대석을 설치하고 그 위에 호석(護石)을 올려 놓고 봉토(封土)를 쌓은 방형호석 형태이다. 석축의 동·서 쪽에 2구의 석인(石人)이 있는데 동쪽 석인은 높이 232㎝로 두관(頭管)을 착용한 문인석(文人石)으로 이목구비가 뚜렷한 형상이다. 서쪽의 석인은 가슴 윗부분이 절단되고 하반신만 남아 있으나 동편과 비슷한 형태로 보인다. 봉토는 적갈색의 사질점토로 석실천정석의 윗부분까지 덮혀 있다. 석실은 암반을 깍아내고 구덩이를 만들어 여기에 남북을 장축으로 경계벽을 공유하는 두 개의 장방형 석실을 동서로 나란히 배치하였고 중앙 경계벽 가운데에는 방형의 투창(透窓)을 만들었다. 동실(245×92×90㎝)과 서실(245×93×93㎝)은 대소의 판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천장석도 거의 같은 크기의 판석으로 덮혀 있다. 동서 석실의 각 벽에는 회칠을 한 뒤에 벽화를 그렸는데 그 내용은 천녀상(天女像)과 주악상(奏樂像) 그리고 남녀가 혼합된 무용도(舞踊圖)이다. 각 벽면별로 살펴보면, 동실의 동벽에는 천녀들이 그려져 있는데 크게 남북의 두 군으로 나누어지며 남쪽에 3명, 북쪽에 2명이 있다.
이 두 군사이에는 약 60㎝정도의 공간이 있는데 이곳에도 원래 1명이 그려져 있던 것이 없어진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남쪽에 그려진 천녀는 높이는 약 50㎝이며, 빗어올려 얹은 머리에 둥근테 모양의 관을 썼고, 관의 양 옆에 깃 같은 장식꼬리가 뻗어 날리고 있다. 얼굴은 타원형에 눈동자가 뚜렷한 소녀상이며 귀에는 귀걸이를 달았다. 옷은 둥근 깃에 소매 끝을 팔목에서 잘라맨 상의에 발목이 꼭 끼는 바지를 입었고 허리에는 띠가 감겼는데 그 한 끝이 왼쪽다리 위로 드리워져 있다. 조그만 장구를 가슴에 달고 오른손으로 고면(鼓面)을 때리고 왼손은 옆으로 뻗어 장구를 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상반신은 정면을 향하고 있으나 하반신은 거의 허리를 직각으로 돌렸고 오른쪽다리는 뒤로 꺽어 올리고 왼쪽다리로 구름위에 서서 장구를 치며 춤을 추는 모습이다. 남쪽에서 두 번째 천녀상은 보살들의 화관과 비슷한 장식을 하고 있어 불상처럼 보인다. 그 밖의 천녀상들은 머리에 화관을 쓰고 손에 지물을 들거나 춤추는 듯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북벽에서는 적외선 촬영에 의해 세로 3행의 묵서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당시 부적에 쓰이던 주술문이나 범(梵)자를 아무렇게나 쓴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서벽에는 서쪽 실과 통하는 투창 부근에 주악천녀상이 그려져 있는데 그 형상은 한손에 피리를 들고 또 한손에는 접시에 과일을 담은 것으로 보이는 것을 들고 있으며 옷자락은 불상에 나타나는 문양으로 되어 있고 어깨에 스카프를 걸쳐 늘어뜨린 형상이다. 서실에는 서벽 남반부에만 인물도의 일부가 남아 있는데 벽화 중 천녀상들은 동실의 주악천녀상들과 비슷하나 북단의 것은 뚜렷한 수염으로 보아 남자임이 분명하다. 이러한 그림의 내용은 피장자의 혼을 극락으로 인도하고 안주하게 하기위하여 축복해주고 있는 모습들로써 불교적인 요소가 기본을 이루며 여기에 도교적인 성격이 가미된 보다 현실적인 종교화라 볼 수 있다. 그림을 그린 방법은 먼저 묵선으로 윤곽을 그린 뒤 머리는 검게, 옷은 토황색 또는 황갈색 일색으로 엷게 칠했으며, 치른바 후레스코(Fresco)법으로 벽면이 마르기전에 단숨에 그린 자유롭고 생기가 도는 필선으로 되어 있어 색채가 맑고 연하여 수채화 같은 인상을 준다. 둔마리 고분 벽화는 피장자의 신분 등을 알 수 없는 점이 아쉬우나 그 당시 회화사 및 복식(服飾)연구에 귀중한 유적으로 1971년 최남식(崔南植)·김태순(金泰淳)에 의해 발견되어 그 이듬해 발굴조사되어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거창 금귀봉이 동남쪽으로 뻗어 내린 산등성이에 자리잡고 있는 고려시대의 무덤이다. 꼭 하나의 무덤만이 들어설 수 있는 좁은 산등성이는 양쪽으로 급한 경사를 이룬 깊은 계곡으로 풍수지리적으로 좋은 자리라 한다. 근처에는 원래의 모습대로 복원된 고려·조선시대의 민묘(民墓)가 흩어져 있다. 벽화고분은 이중의 벽으로 된 돌방무덤으로, 땅을 파서 판석(板石)으로 벽을 두르고, 그 안에 돌방[石室]을 설치한 굴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이다. 서쪽 돌방에는 1개의 나무관[木棺]이 있었지만, 동쪽 돌방은 비어 있었다. 양쪽 돌방의 모든 벽은 회칠하고 그 위에 흑·녹·갈색으로 인물을 그렸다.
동쪽 돌방의 동쪽 벽에는 6명의 선녀가 그려져 있고, 북쪽 벽에는 희미하게 글자가 보이고 있다. 서쪽 돌방의 서쪽 벽에는 여자 2명, 남자 1명의 얼굴이 그려져 있다. 벽화는 악기를 연주하는 그림으로 붓의 움직임이 자유롭고 생기가 있다. 불교사상을 중심으로 도교적 요소가 가미된 내용이다. 고려시대의 고분형식과 종교사상, 그리고 생활상을 보여주는 얼마 되지 않는 귀중한 유적이다. 비슷한 시대와 내용의 벽화고분으로는 북한 개성시의 공민왕릉과 수락암동 1호분이 있고, 2000년에 경상남도 밀양시 청도면 고법리에서 발견된 박익공묘(朴翊公墓)가 있을 뿐이다.

교통정보

(둔마리벽화고분)88고속도로 이용 시, 거창 IC에서 거창읍에 진입후 남하면 양항리를 지나 둔마리 대촌마을에 위치


벽화는 현재 거창박물관에 소장 되어 있다.


현지 교통




  • 거창 시외버스 터미널 : 1666-3601




버스 이용시




  • 서울(남부)-거창 : (02) 521-8550, 첫차 08:40, 막차 23:00, 15회 운행, 3시간 30분 소요


  • 대구(서부)-거창 : (053)625-2824, 첫차 6시, 막차 21시, 68회 운행(10-15분 마다), 1시간 10분 소요


  • 진주-거창 : (055)741-6039, 첫차 06:50, 막차 19:47, 44회 운행, 2시간 20분 소요


  • 부산(서부)-거창 : (051)322-8303, 첫차 07:00, 막차 18:40, 40~50분 간격 운행, 2시간 40분 소요


  • ※ 거창까지는 서울 남부터미널, 부산 서부 터미널, 대구 서부 터미널, 마산, 김천, 진주, 함양, 전주, 광주 등지에서 직행버스를 이용한다.


연관태그

지도

지도안 선택한 장소입니다.

인근 관광지

거창둔마리벽화고분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거창둔마리벽화고분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목록
  • 담당부서 : 관광개발국 관광정책과  
  • 연락처 : 055-211-6051

최종수정일 : 2018-10-20

top버튼.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