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닫기
경남명소
메인으로 이동메인으로 이동

문화관광

신벽동 지석묘

신벽동 지석묘의 파일 이미지

신벽동 지석묘의 파일 이미지

기본정보

0
  • 주소사천시 신벽동  길찾기
  • 관리기관사천시 문화체육과
  • 문의전화055-831-2716
  • 편의시설
    장애인편의시설 놀이시설 수유실 유모차 자전거 와이파이

상세내용

* 지정번호 : 도지정 기념물 제 39호
* 지정일자 : 1977년 12월 28일
* 규모 :734㎡

남양초등학교 북쪽편으로 군도 1호선의 동쪽 약 50m지점의 논밭 가운데 모두 7기(基)로 북두칠성의 형태로 놓여 있다. 우리고장에서 지금까지 확인된 고인돌무덤은 모두 100여기나 되는데, 대개 사천바다를 중심으로 동부 4개면과 남양동 지역에서 주로 발견된다. 즉 사천읍 두량리, 장전리, 정동면 소곡리, 사남면 화전리, 그리고 용현면 신복리와 가장 많이 군집(群集)하고 있는 덕곡리 등이다.
고인돌무덤은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의 묘제(墓制)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의 청동기문화의 개시연대(開始年代)에 대해서는 학계의 논쟁이 있으나 대체로 기원전(B.C) 10세기에서 B.C. 3세기까지로 보고 있다. 그러나 고고학(考古學:고대 문화를 연구하는 학문)의 연구 발달로 최근에 나온 학설에 따르면 개시연대의 상한을 B.C. 2500년경으로 보는 학자도 있다.
청동기시대의 사람들은 고인돌 또는 돌멘(Dolmen)이라고 하는 지석묘와 돌널무덤을 만들어 시체를 매장하였는데, 묘제에 따라 부장품(副葬品;패물과 그릇 같은 것을 무덤에 같이 묻던 일)이 석기류(石器類), 동기류(銅器類), 토기류(土器類), 철기류(鐵器類) 등 각기 달리하며, 지석묘는 선돌(立石)과 함께 거석문화(巨石文化)의 상징으로서 오늘날 남아 있는 대표적인 선사시대(先史時代)의 생활 유적이라 할 수 있다. 1969년 8월, 단국대학교 박물관에서 정동면 소곡리 신월마을의 청동기시대의 무덤을 발굴하였는데 이때 많은 토기류의 유물을 발굴하기도 하였다.

연관태그

지도

지도안 선택한 장소입니다.

인근 관광지

신벽동 지석묘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신벽동 지석묘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목록
  • 담당부서 : 관광개발국 관광정책과  
  • 연락처 : 055-211-6051

최종수정일 : 2018-10-20

top버튼.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