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전체메뉴 닫기
경남명소
메인으로 이동메인으로 이동

문화관광

사천향교

사천향교의 파일 이미지

사천향교의 파일 이미지

기본정보

0
  • 주소사천시 사천읍 사천향교로 25  길찾기
  • 관리기관사천시 문화체육과
  • 문의전화055-831-2716
  • 편의시설
    장애인편의시설 놀이시설 수유실 유모차 자전거 와이파이

상세내용

* 경남 유형문화재 제 220호
* 지정일자 : 1983년 8월 11일
* 규모 : 3,455㎡

사천향교는 사천읍 선인리 119번지 성전봉(聖殿峯) 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당초의 향교터는 지금의 정동면 풍정리에 있었다고 전해오나 확실하지 않고, 다만 옛날의 고현지(古縣址:옛 읍터)가 현 정동면 고읍리에 있었음을 감안할 때 추정이 가능할 뿐이다. 향교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에 계승된 지방의 학교로서 오늘의 중 · 고등학교에 해당된다. 일명 교궁(校宮) 또는 재궁(齋宮)이라고도 하는데, 조선조에 이르러 교생을 가르치고 인재를 길러내기 위하여 부(府), 목(牧), 군(郡), 현(縣) 등 고을마다 1교(校)씩 이른바 대설위(大設位), 중설위(中設位), 소설위(小設位) 등의 3등급으로 나누어 큰 고을에는 교수 · 훈도 각 1명씩, 작은 고을에는 훈도만을 두었다. 위에서와 같이 사천향교는 전학후묘형(前學後廟型)의 소설위 향교로서 훈도(선생) 1명에 교생은 30명이었다.
다음 사천향교의 내력을 살펴보면, 세종 3년(1421)에 향학당(鄕學堂) 창건을 시초(전학)로, 같은 왕 22년(1440)에 치성재(致誠齋) · 동서양재(東西兩齋) · 명륜당(明倫堂) 등을 짓고 (후묘) 향교로서의 모습을 갖추었다고 한다. 그 후 세종 32년(1450)에는 풍화루(風火樓)를 지었으나 임진란 때 병화로 불타버리고 인조 23년(1645)에 다시 지금의 자리에 재건하였다. 그 후 여러 차례 중수(重修)를 거듭해오다가 1983년 8월 6일 도지정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대성전(문묘)에는 공자(孔子)를 정위(正位)로 하여 안자(顔子), 자사(子思)는 동무(동편)에, 증자(曾子), 맹자(孟子)는 서무(서편)에 모두 5성(聖)을 모시고, 다음은 송조(宋朝) 2현(賢;유현)과 우리나라 18현도 서열에 따라 동과 서로 나누어 각각 10현씩 위패(位牌 : 묘당·절 등에 모셔두는 나무 패)를 봉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향교는 먼저 학당이 생긴 후 문묘가 다음으로 설치되었다는데, 조선 중기 이후의 향교는 과거의 준비장으로 되어지다가 서원(書院)이 발흥(發興)하게 되자 점차 쇠퇴하였고, 고종(高宗) 31년(1894) 말에 과거제도의 폐지와 함께 향교는 완전히 이름만 남아 지금은 문묘를 향사(享祀:제사)할 따름이다. 그리고 문묘향사와 건물관리를 위하여 전교(典校:향교의 대표자)를 두고 있으며, 봄 · 가을 두 차례에 걸쳐 석전제(釋奠祭)라 하여 문묘제사를 지내고 있다.

연혁
  • 세종3년(1421) : 건립
  • 세종22년(1440) : 치성재, 동서양재, 명륜당, 등을 짓고 수학원 학사서제로 개칭
  • 세종32년(1450) : 풍화루건립(임진왜란의 병화로 소실)
  • 인조23년(1645) : 다시 현위치에 풍화루 중창
  • 중창이후 여러차례 부분적인 중수를 거듭
  • * 향교에는 정부에서 5∼7결(結)의 학전(學田)을 지급하여 그 수세(收稅)로써 비용에 충당하도록 하고, 향교의 흥함과 쇠함에 따라 수령(守令)의 인사에 반영하였으며, 수령은 매월 교육 현황을 관찰사에 보고하도록 하였다.

연관태그

지도

지도안 선택한 장소입니다.

인근 관광지

사천향교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사천향교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목록
  • 담당부서 : 관광개발국 관광정책과  
  • 연락처 : 055-211-6051

최종수정일 : 2018-10-20

top버튼.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