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기찬경남

도정뉴스

도정뉴스

<거북선 탐사 여행④(끝)>거북선 복원은 3층 구조로

거북선 대탐사 등 이순신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경남도가 3층 구조의 거북선 복원을 추진한다. 거북선 구조와 관련해서는 2층 구조설과 3층 구조설 등 다양한 견해가 학계에 존재한다. 실물 크기의 거북선을 3층으로 복원하는 것은 경남도가 처음이다.

경남도는 전국 이순신 전문가들로 구성된 이순신 프로젝트 역사고증자문위원회 고증과 학술심포지엄 등을 진행한 결과 1592년 거북선이 3층 구조인 것으로 의견이 모아졌다고 1일 밝혔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거북선 대탐사 출항식이 열리는 2일 행사장에서 공식 발표된다.

경남도 이순신 프로젝트팀에 따르면 기존에 복원 전시돼 있는 거북선은 임진왜란이 끝난 200여년 후인 조선 정조시대(1795년) 규장각에서 편찬한 '이충무공전서'를 근거로 제작됐다. 여기에 수록된 거북선의 주요 치수와 구조·형태에 대한 설명을 근거로 해 모두 2층 구조로 돼 있다.

하지만 이같은 2층 구조에 대해 이순신 프로젝트 역사고증자문위원들은 의구심을 제기한다. 거북선이 노를 젓고 활과 포를 쏘는 전투 행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전함임에도 불구하고 2층 구조였다면 노군·사수·포수가 함께 전투행위를 원활하게 펼치기에는 한계가 있었을 것이라는 것.

역사고증자문위원회 측은 "거북선이 2층 구조라면 선내 전투장소는 주갑판 한 곳뿐이므로 150㎡ 정도의 공간에서 150명 이상이 병력이 활동하게 돼 전투 행위가 동시에 이루어지기는 불가능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특히 위원회는 "거북선이 전함으로서 전투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려면 내부구조가 3개 층으로 구성 되어야 한다"며 "1층인 선실은 군졸들의 휴식장소와 군량·무기 창고로, 2층인 갑판은 노를 젓는 격군(노군)과 사수의 전투장소로, 3층인 상갑판은 포수들의 전투장소로 운용했음이 타당하다"고 밝혀 3층 구조설에 힘을 싣고 있다.

경남도는 이런 연구결과와 주장이 설득력이 있다고 판단, 내년에는 통영 강구안, 남해 노량해전지, 고성 당항포에 전시돼 있는 2층 구조의 거북선도 모두 3층 구조로 재복원할 계획이다.

한편 이순신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경남도는 2010년까지 170억 원을 투입해 거북선과 판옥선 등 7척의 군선제작을 계획하고 있다. 올해는 50억 원을 들여 거제시에서 거북선 1척, 통영시에서 판옥선 1척을 각각 제작할 계획이다.

<거북선 탐사 여행④(끝)>거북선 복원은 3층 구조로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거북선 탐사 여행④(끝)>거북선 복원은 3층 구조로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목록
월간 인기 기사
최근기사
경남소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