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열린마당
  • 보도자료

경남 산림환경연구원, 학술연구 및 스마트산림바이오 혁신성장거점 조성사업 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 조회 : 305
  • 등록일 : 21.12.13

경남 산림환경연구원, 학술연구 및 스마트산림바이오 혁신성장거점 조성사업 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1 번째 이미지



경남 산림환경연구원, 학술연구 및 스마트산림바이오 혁신성장거점 조성사업 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 노각나무 유래 식의약품 소재 개발 및 산업화 연구용역

- 산약초 기능성 물질 탐색 및 실용화 연구용역

- 스마트산림바이오 혁신성장거점 조성사업 기본계획 및 건축기획 용역

- 경남도의회 도의원 및 자문위원 의견 반영

 

경상남도 산림환경연구원은 1213일 대회의실에서 산림분야 산림소득 학술연구 및 스마트산림바이오 혁신성정거점 조성사업 용역에 대한 최종보고회를 개최하였다.

 

최종보고회에는 경남도의회 경제환경위원회 위원장 박준호 의원, 각 분야 전문가 자문위원 6, 연구용역 3과제 발표교수, 산림환경연구원장, 연구과장 및 연구사가 참석하여 최근 연구 결과에 대하여 소통의 장을 마련하였다.

 

이번에 발표한 용역은 2020년에 산림청 공모사업에 신청하여 경남도가 3번째로 선정되어 추진 중인 스마트산림바이오 혁신성장거점 조성사업 기본계획 및 건축기획 용역과, 2019년도에 산림환경연구원 본연의 연구기능 활성화를 위해 연구비 확보한 연구용역으로 2020년에 최초 예산 반영된 이후 3년차 과정 중 올해는 2년차 연구 과정의 결과물이다.

 

연구용역 제1과제 노각나무 유래 식의약품 소재 개발 및 산업화 연구용역(책임연구사 유찬열)”의 경우, 항생물질학 전공인 경상국립대 제약공학과 조수정교수 연구팀과 거창군에서 노각나무를 대량으로 재배하고 있는 업체 모리(대표 권영익)의 원료 제공으로, 지리산·덕유산권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의 생리적 활성에 대하여 연구를 추진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노각나무에서 유래한 천연물질 중 항균활성이 뛰어난 유용성분 탐색, 전염증성 cytokines 생성 억제효과 탐색, 노각나무 내 유용물질이 대식세포주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으며, inos, cox2 등의 발현량 평가를 통한 선천성 면역 기능성 개선 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구강균(p. gingivalis)에 대한 항균작용 기전을 밝혀내어 노각나무 잎을 활용한 구강청결제 시제품을 만들었다.

 

연구용역 제2과제 산약초 기능성 물질 탐색 및 실용화 연구용역(책임연구사 심선정)”의 경우, 조직배양학 전공인 경상국립대 산림환경자원학과 최명석교수 연구팀과 추진하고 있으며, 약용식물로서 산약초 수요가 많은 큰조롱·천문동·고삼·병풀 등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생명공학적 방법에 의한 우량종묘 생산 기술 개발, 산약초의 그로우백 재배법 기술 개발, 유망수종 최적지 구명 및 생산단지 조성 기반 연구, 토양 및 기상환경 제어시스템을 활용한 산약초의 스마트 재배법 도입 등에 대하여 2년차 연구를 수행하였다.

 

용역 발표 제3과제는 스마트산림바이오 혁신성장거점 조성사업 기본계획 및 건축기획 용역(담당자 김석범 주무관)”으로, 2020년에 산림청에서 실시한 권역별 산림생명산업 공모사업에 경남이 선정되었으며, 총사업비는 200억 원이고 산림바이오비즈니스센터·양묘기술센터·스마트온실·생산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경남 임업은 풍부한 산림자원 및 임산물 생산 규모에 비해 임업생산물은 낮은 부가가치로 임가소득은 열악하고 또한 산···관 인프라는 잘 구축되어 있으나 거점기능 시설이 부재하였다. 스마트산림바이오 거점단지 조성으로 경남을 대표하는 산림연구기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향후 경남지역에 산재된 산림바이오 연구개발(r&d) 및 사업화 역량을 집중시키고, 공공기관, 임업인 그리고 바이오 기업의 참여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할 수 있다.

 

최종보고회에 참석한 경남도의회 경제환경위원회 박준호 위원장은 오늘 발표한 연구용역은 전문적인 산림분야에 대해 노력한 흔적이 보일 정도로 과학적 검증이 잘 된 것으로 보이며, 스마트산림바이오 용역은 설계부터 잘 조성하여 경남의 거점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 단계에서부터 더욱 세밀하게 논의해야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앞으로 연구 분야 뿐만 아니라 산림바이오 사업에도 더욱 정진하여 실용화를 통해 임업인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면, 도의회 차원에서도 적극적으로 산림환경연구원의 연구인력 충원 및 연구비 확보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하겠다.”라고 했으며,

 

오성윤 산림환경연구원장은 이번에 발표한 노각나무와 산약초 관련 연구용역은 임업인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발굴한 것으로 앞으로도 더욱 연구과제를 발굴하여 임업인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으며, 스마트산림바이오 혁신성장거점 조성사업 기획용역은 향후 우리 산림환경연구원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추진 원동력을 확보한 것으로 본다라고 말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산림환경연구원 산림연구과 유찬열(055-254-3852)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경남 산림환경연구원, 학술연구 및 스마트산림바이오 혁신성장거점 조성사업 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경남 산림환경연구원, 학술연구 및 스마트산림바이오 혁신성장거점 조성사업 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록

최종수정일 : 2023-06-21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보도자료 메뉴로 이동 (QRCode 링크 URL: http://www.gyeongnam.go.kr/index.gyeong?menuCd=DOM_000002704007000000)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