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메인 콘텐츠

은퇴 후 소득공백기가 걱정이라면? 우리 도에는 ‘경남도민연금’이 있어요 _ /data/content/152/THUMB_6 썸네일.jpg
/data/content/152/THUMB_6 썸네일.jpg

은퇴 후 소득공백기가 걱정이라면? 우리 도에는 ‘경남도민연금’이 있어요

경남도가 일반적인 퇴직 시점부터 국민연금 등공적연금 수급 개시 전까지의 소득공백기에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남도민연금’ 사업을 확정하고내년 1월부터 시행한다.전국 최초의 개인연금 지원시책이다.‘경남도민연금’이란?은퇴(60세) 후부터 공적연금 수령 전(65세)까지의 소득 공백기를 메워주기 위해, 시중 금융기관의 개인형퇴직연금(IRP)을 활용한 개인연금 지원시책이다. 도민이 연간 일정 금액 이상 납입하면 경남도와 18개 시군이 연간 최대 24만 원, 최대 10년간 240만 원을 지원한다.가입자격은?만 40세 이상 55세 미만의 경남도민으로, 연소득 9352만 4227원 이하면 신청할 수 있다. 이는 2026년 4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20%를 준용한 것으로, 매년 해당연도 기준에 따를 계획이다. 특히, 경남도는 저소득·정보 접근 취약계층이 소외되지 않도록 모집시기를 소득 구간별로 나눠 소득이 낮은 층부터 순차적으로 모집할 계획이다.내년부터 연간 1만 명의 신규 가입자를 모집하기 시작해 10년 후 누적 가입자 10만 명 유지를 목표로 한다.지원 내용은?가입자의 연간 총 납입액을 기준으로 8만 원당 2만 원을 지원한다. 연간 24만 원까지, 최대 10년 동안 적립해 지급한다. 단, 지원금은 도내에 주민등록 주소를 유지한 기간에만 지원된다.지원금 수령 시기는?다음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하면 도의 지원금이 일시 지급된다. ▲가입일로부터 10년이 경과한 때 ▲가입자가 만 60세가 된 때 ▲최초 납입일로부터 5년이 경과하고 만 55세 이상이 된 가입자가 연금 수령을 개시하는 때이다. 도는 지원금 일시 지급을 통해 중도해지율을 낮추고, 지원금 환수 문제를 사전 차단한다는 계획이다.도민연금 효과를 설명드립니다!● 2026년 50세 경남 씨가 매월 8만 원씩 10년간 960만 원을 납입하면, 매월 2만 원씩 총 240만 원을 지원 받아요. 여기에 연복리 2% 이자를 더해 총액은 1302만 원이 되면서 수익률은 35.7%가 됩니다.●​ 이 기간동안 연말정산 시 매년 최대 16.5%의 세액공제를 적용해 15만 8400원을 환급받거나 납부할 세금이 줄어드는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세액공제 혜택을 합치면 총 경제적 가치는 약 1461만 원이 돼 960만 원 대비 수익률은 52.2%가 된다고 할 수 있어요.●​ 10년 납입이 끝나는 60세부터 5년간 매월 21만 7000원의 도민연금을 수령할 수 있어요.경남도, 사업 지속 가능성 & 재정 안정성 확보경남도는 지난 8월 보건복지부와 사회보장제도 신설 협의를 마쳤으며, 9월에는 경남도민연금 조례를 제정해 제도 시행을 위한 법적 기반도 마련했다. 더 나아가 사업의 지속 가능성과 재정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민연금기금을 조성한다.기금의 이자수익은 가입자에게 지급하여 도민연금 수익률을 제고하는 데 쓰인다. 도는 올해 말까지 시스템 구축, 매뉴얼 개발, 기금 조성 등을 완료하고, 내년 1월부터 가입자 모집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도민연금 운영을 시작한다.문의 경상남도 민원콜센터 055)120 경상남도 인구정책담당관 055)211-2242~2244글 황숙경

기사 보러가기
신청해요! 뉴스레터 신청해요! 뉴스레터
닫기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