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방전복(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종자생산 과정
어미관리
어미는 각장 9cm 이상, 전중 100~150g 정도의 것 사용
- 연령이 4년 정도로 젊은 개체를 선택하고, 패각에 붙어 있는 부착생물 제거와 안정적인 은신처 제공
적산수온
-
사육관리중인 어미
-
전복어미 수컷(좌), 암컷(우

- 적산수온 1,500℃에서 완숙기가 되지만 실제는 1,200℃ 이상이면 산란 가능
- 산란개시 전 90~100일부터 가온사육 시작
- 일간 섭이율이 5~8%가 되도록 생미역, 생다시마를 충분히 공급, 바닥청소 등
먹이생물 배양
-
파판에 부착한 먹이생물
-
먹이생물 배양용 파판
먹이생물 : 부착성 규조류
- 배양재질 : PET파판 (골파판, 평파판)
- 배양시기 : 먹이생물 배양은 채묘 3주일 전부터 시작
- 배양조도 : 1,000~1,500lux(차광막 95%+75%) 유지하면서 포기 및 주수
- 먹이생물 : 코코네이시스, 나비큘라, 니치아 등 우점종이 되도록 관리
- ※ 치패가 성장함에 따라 조도를 점차 높여 크기가 큰 부착성 규조류의 배양
산란
산란유발
- 채란시기 : 수온 13~20℃ 사이인 4월 중순부터 5월 중순, 9월 하순경
- 산란유발
- 유생 사육수조 등 여러 기구를 반드시 차아염소산나트륨이나 듀오존으로 살균 처리
- 어미 선별하여 패각 및 연체부를 자외선 조사 해수로 세척 → 1시간정도 간출(음건) → 산란용 수조에 어미를 수용 → 수조에 자외선 조사 해수 조금씩 공급
- * 이 때에 산란용 수조에 담겨 있는 해수를 버리고 미리 준비해 둔 사육수 보다 3~5℃ 높은 자외선 조사 해수를 공급하면 1시간 이내에 수컷부터 방정 일어나고 암컷도 따라서 방란함
유생사육 관리 및 채묘
-
유생사육 수조
-
부화유생
-
담륜자 유생
-
피면자 유생
수정 후 12~14시간 (20℃ 경우)이 지나면 부화하여 부상
부화수조 상층부에 부상한 유생을 수집하여 유생사육수조에 수용
기형발생 억제 위하여 물리적 충격(에어레이션, 사육수 공급 등) 금지
수질안정 : 살균해수를 1일 1~2회 공급하면서 부착기 유생이 될 때 까지
채묘시기 결정 : 적산수온이 1,100~1,150℃인 때가 채묘 시기로서 가장 적당
채묘밀도 결정 : 먹이생물을 배양시킨 파판 1매당 300개체 이하로 채묘 실시
치패사육
-
초기 치패
-
먹이생물 파판에 부착되어 있는 치패
-
은신처에 부착한 중간패
사육관리 : 채묘한 후부터 박리까지의 치패, 각장은 대략 8㎜ 이상
- 장마철 : 일사량 부족으로 먹이생물 탈락, 배양부진 및 저비중으로 인하여 초기치패가 대량폐사 하지 않도록 세심한 관리가 필요함.
- 여름철 : 강한 광선과 사육수온이 높은 환경에서 치패가 성장
- ※ 먹이생물 부족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차광막을 이용하여 조도 조절 및 주수량 증가시켜 치패의 감모요인을 최대한 제거
- 수온하강 시기인 9월부터 점차로 조도를 높여서 성장에 따른 먹이가 부족하지 않도록 부착성 규조류 배양에 관심을 가질 것.
치패 박리작업
- 각장이 8㎜ 이상인 치패를 손으로 박리하여 중간양성 수조로 옮긴 후, 각장 3~4㎝까지 중간육성
- 먹이 : 배합사료 도는 해조류(갈조류)
- 담당부서 : 수산자원연구소
- 연락처 : 055-254-3411
최종수정일 : 2019-02-25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