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시군별 귀농귀촌 주요정보를 지도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시군별 선택을 하시면 해당 지역의 주요정보가 나타납니다.
창원 주요정보
창원은 한반도의 동남단 경상남도의 중부남단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울산, 부산, 사천을 연결하는 동남임해 중화학공업지역내의 대규모 기계공업단지로서 경남 중부지역 산업경제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총 인구수 | 999,858명 |
---|---|
농업인 수 | 25,640명(남 17,181, 여 8,459) |
귀농귀촌가구수 | 6,654가구(귀농 3,327, 귀촌 3,327) |
경지면적 | 8,916ha(논 3,743ha, 밭 5,173ha) |
주요 재배작목 | 화훼, 단감, 수박, 당근, 고추 |
평균 농지 실거래가 | 86,357원/㎡ (최저 21,100 ~ 최고 275,238원/㎡) ※농어촌공사에서 공개하는 농촌진흥구역 평균 실거래가임. |
지역 축제 | 진해 군항제(4월), 군악의장페스티벌(4월), 마산국화축제(10월) |
작물이름 | 농가수(가구) | 작목반수 | 재배면적(ha) | 생산량(톤) |
---|---|---|---|---|
주요작물 화훼 | 114 | 9 | 90 | 61,880 |
주요작물 단감 | 3,246 | 5 | 1,546 | 28,654 |
주요작물 수박 | 201 | 0 | 295 | 9,308 |
주요작물 당근 | 64 | 0 | 147 | 7,084 |
주요작물 고추 | 2,344 | 2 | 111 | 6,724 |
진주 주요정보
진주시는 영남과 호남을 연결하는 경전선 철도와 남해고속도로가 동서로, 대전통영고속도로가 남북으로 연결되어 문화교류의 교량역할을 하고 있으며, 남으로는 사천시, 북으로는 거창, 김천으로 연결되어 있어 바다와 육로를 연결시킬 수 있는 교통적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다.
총 인구수 | 343,782명 |
---|---|
농업인 수 | 28,545명(남 14,385, 여 14,160) |
귀농귀촌가구수 | 5,891가구(귀농 2,375, 귀촌 3,516) |
경지면적 | 12,596ha(논 5,631ha, 밭 6,965ha) |
주요 재배작목 | 호박, 고추, 단감, 딸기, 배, 떫은감, 고구마 |
평균 농지 실거래가 | 51,715원/㎡ (최저 4,884 ~ 최고 311,571원/㎡) ※농어촌공사에서 공개하는 농촌진흥구역 평균 실거래가임. |
지역 축제 | 개천예술제(11월), 진주국제농식품박람회(11월), 남강 유등축제(12월), 코리아 드라마 페스티벌(12월) |
작물이름 | 농가수(가구) | 작목반수 | 재배면적(ha) | 생산량(톤) |
---|---|---|---|---|
주요작물 호박 | 730 | 2 | 269 | 20,701 |
주요작물 고추 | 1,906 | 5 | 510 | 19,784 |
주요작물 단감 | 1,432 | 3 | 1,080 | 13,462 |
주요작물 딸기 | 887 | 15 | 421 | 13,172 |
주요작물 배 | 560 | 8 | 436 | 9,845 |
떫은감 | 456 | 0 | 188 | 1,808 |
고구마 | 2,855 | 2 | 137 | 1,682 |
통영 주요정보
동해 난류의 영향을 받아 우리 고장은 한국의 육지부에서 가장 기온이 높아 연평균 기온이 14℃ 내외이고 연평균 기온교차도 전국에서 가장 적은 곳이기도 하다. 가장 추운 1월의 평균 기온은 2.5℃ 내외이고 가장 더운 8월의 평균기온은 25~26℃ 정도여서 겨울과 여름의 기온차 역시 매우 적은 곳이다. 특히 도서지방은 바다의 영향으로 일교차가 육지보다 적다.
총 인구수 | 118,250명 |
---|---|
농업인 수 | 6,576명(남 3,081, 여 3,495) |
귀농귀촌가구수 | 1,687가구(귀농 1,262, 귀촌 425) |
경지면적 | 1,753ha(논 408ha, 밭 1,345ha) |
주요 재배작목 | 시금치, 마늘, 고구마, 딸기, 파프리카, 베리류 |
평균 농지 실거래가 | 450,000원/㎡ (최저 180,000 ~ 최고 1,400,000원/㎡) ※농어촌공사에서 공개하는 농촌진흥구역 평균 실거래가임. |
지역 축제 | 통영국제음악제(4월), 통영한산대첩축제(8월), 윤이상국제음악콩쿠르(11월), 한려수도 굴 축제(11월) |
작물이름 | 농가수(가구) | 작목반수 | 재배면적(ha) | 생산량(톤) |
---|---|---|---|---|
주요작물 시금치 | 1,346 | 3 | 167 | 1,703 |
주요작물 마늘 | 893 | 2 | 66 | 778 |
주요작물 고구마 | 180 | 1 | 60 | 660 |
주요작물 딸기 | 31 | 2 | 16 | 530 |
주요작물 파프리카 | 4 | 1 | 2 | 249 |
주요작물 베리류 | 18 | 1 | 5 | 28 |
사천 주요정보
❍ 사천시는 경남의 서부지역에 위치하며 해상으로는 한려해상 국립공원의 중심에 위치 ❍ 항공우주청 설립으로 항공우주산업의 메카도시로 성장
총 인구수 | 111,989명 |
---|---|
농업인 수 | 14,863명(남 7,419, 여 7,444) |
귀농귀촌가구수 | 6,426가구(귀농 3,213, 귀촌 3,213) |
경지면적 | 6,667ha(논 4,431ha, 밭 2,236ha) |
주요 재배작목 | 단감, 토마토, 딸기, 마늘 |
평균 농지 실거래가 | 53,030원/㎡ (최저 15,000 ~ 최고 100,000원/㎡) ※농어촌공사에서 공개하는 농촌진흥구역 평균 실거래가임. |
지역 축제 | 선진리성 벚꽃축제(4월), 삼천포항수산물축제(4월), 농업인한마당축제(10월), 사천에어쇼(10월), 고려현종대왕축제(10월) |
작물이름 | 농가수(가구) | 작목반수 | 재배면적(ha) | 생산량(톤) |
---|---|---|---|---|
주요작물 단감 | 1,242 | 4 | 715 | 7,650 |
주요작물 토마토 | 69 | 5 | 25 | 3,676 |
주요작물 딸기 | 271 | 5 | 129 | 3,666 |
마늘 | 357 | 0 | 59 | 827 |
김해 주요정보
김해시는 한반도의 동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으로는 부산광역시, 북으로는 밀양시, 남서쪽으로 창원시와 접하고 있으며, 온대기후지역으로 4계절 구분이 뚜렷하고 남해의 해양성 기후 영향을 많이 받아 인간 활동에 좋은 기후 조건을 갖추고 있다.
총 인구수 | 561,668명 |
---|---|
농업인 수 | 21,289명(남 11,048, 여 10,241) |
귀농귀촌가구수 | 6,647가구(귀농 3,807, 귀촌 2,840) |
경지면적 | 6,930ha(논 3,428ha, 밭 3,502ha) |
주요 재배작목 | 단감, 토마토, 베리류, 화훼, 상추 |
평균 농지 실거래가 | 102,430원/㎡ (최저 17,321 ~ 최고 301,802원/㎡) ※농어촌공사에서 공개하는 농촌진흥구역 평균 실거래가임. |
지역 축제 | 가야문화축제(4월), 김해한우축제(5월), 김해예술제(9~10월), 김해문화재야행(9~10월), 분청도자기축제(10월), 진영단감축제(11월) |
작물이름 | 농가수(가구) | 작목반수 | 재배면적(ha) | 생산량(톤) |
---|---|---|---|---|
주요작물 단감 | 832 | 6 | 865 | 11,807 |
주요작물 토마토 | 151 | 3 | 63 | 4,012 |
주요작물 베리류 | 144 | 6 | 45 | 162 |
주요작물 화훼 | 324 | 10 | 118 | 46 |
상추 | 229 | 1 | 7 | 1,029 |
밀양 주요정보
밀양시는 뛰어난 명승지와 수려한 자연이 함께 어우러진 아름다운 문화 관광의 도시로 햇살과 물이 좋고 농업기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나노융합 국가산업단지 조성 등 신성장 동력 조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는 희망이 있고 미래지향적인 도농복합도시이다.
총 인구수 | 100,262명 |
---|---|
농업인 수 | 20,097명(남 10,070, 여 10,027) |
귀농귀촌가구수 | 3,613가구(귀농 1,999, 귀촌 1,614) |
경지면적 | 12,557ha(논 4,228ha, 밭 8,329ha) |
주요 재배작목 | 고추, 사과, 감자, 딸기, 대추, 떫은감 |
평균 농지 실거래가 | 68,956원/㎡ (최저 12,212 ~ 최고 317,625원/㎡) ※농어촌공사에서 공개하는 농촌진흥구역 평균 실거래가임. |
지역 축제 | 삼랑진딸기한마당축제(4월), 밀양아리랑대축제(5월), 얼음골사과축제(11월) |
작물이름 | 농가수(가구) | 작목반수 | 재배면적(ha) | 생산량(톤) |
---|---|---|---|---|
주요작물 고추 | 1,548 | 18 | 542 | 37,513 |
주요작물 사과 | 1,273 | 3 | 923 | 25,549 |
주요작물 감자 | 503 | 1 | 923 | 25,549 |
주요작물 딸기 | 1,548 | 20 | 535 | 19,777 |
주요작물 대추 | 354 | 1 | 333 | 1,076 |
떫은감 | 498 | 0 | 191 | 2,209 |
거제 주요정보
거제시는 경남의 남해안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섬으로서, 사면이 푸른바다이며, 푸른 바다를 끼고 발전하는 세계 1위의 조선 산업 도시이자 해양관광 휴양도시이다.
총 인구수 | 231,951명 |
---|---|
농업인 수 | 11,849명(남 5,605, 여 6,244) |
귀농귀촌가구수 | 4,347가구(귀농 2,452, 귀촌 1,895) |
경지면적 | 3,555ha(논 1,278ha, 밭 2,277ha) |
주요 재배작목 | 양파, 고구마, 포도 |
평균 농지 실거래가 | 101,974원/㎡ (최저 13,289 ~ 최고 755,940원/㎡) ※농어촌공사에서 공개하는 농촌진흥구역 평균 실거래가임. |
지역 축제 | 일운면 공곶이 수선화축제(4월), 남부면 수국축제(6월), 거제옥포대첩축제(6월) 거제예술제(10월), 거제섬꽃축제(10~11월) |
작물이름 | 농가수(가구) | 작목반수 | 재배면적(ha) | 생산량(톤) |
---|---|---|---|---|
주요작물 양파 | 50 | 1 | 25 | 1,350 |
고구마 | 650 | 0 | 53 | 972 |
포도 | 107 | 30 | 98 |
양산 주요정보
양산시는 부산·울산과 인접해 있고 도시 간의 기능분담으로 인해 하나의 연담 도시권을 형성하고 있으나, 물금신도시를 중심으로 교통, 교육, 문화 등 도시기반시설 및 편의 시설의 확충으로 독립된 도시형태로 갖추어 가고 있다.
총 인구수 | 353,792명 |
---|---|
농업인 수 | 6,616명(남 3,320, 여 3,296) |
귀농귀촌가구수 | 17,054가구(귀농 10,167, 귀촌 6,887) |
경지면적 | 2,399ha(논 1,256ha, 밭 1,143ha) |
주요 재배작목 | 매실, 미나리, 당근, 딸기, 콩 |
평균 농지 실거래가 | 213,857원/㎡ (최저 75,000 ~ 최고 908,101원/㎡) ※농어촌공사에서 공개하는 농촌진흥구역 평균 실거래가임. |
지역 축제 | 배내골고로쇠축제(3월), 원동매화축제(3월), 원동청정미나리축제(3월), 삽량문화축전(10월) |
작물이름 | 농가수(가구) | 작목반수 | 재배면적(ha) | 생산량(톤) |
---|---|---|---|---|
주요작물 매실 | 297 | 3 | 47 | 749 |
주요작물 미나리 | 26 | 2 | 23 | 470 |
당근 | 61 | 1 | 53 | 2,030 |
딸기 | 65 | 3 | 30 | 1,363 |
콩 | 994 | 0 | 75 | 164 |
의령 주요정보
의령군은 낙동강의 본류와 지류(남강)가 합류하는 지대에 위치하고 있어 강을 접한 남쪽은 비옥한 토지로 광야가 전개되고 있고, 산간지대에도 곳곳에 분지가 발달하여 생활환경이 좋은 곳이다.
총 인구수 | 25,150명 |
---|---|
농업인 수 | 7,039명(남 3,408, 여 3,631) |
귀농귀촌가구수 | 2,101가구(귀농 1,030, 귀촌 1,071) |
경지면적 | 6,035ha(논 4,237ha, 밭 1,798ha) |
주요 재배작목 | 마늘, 수박, 양파, 옥수수, 콩 |
평균 농지 실거래가 | 32,444원/㎡ (최저 4,721 ~ 최고 111,900원/㎡) ※농어촌공사에서 공개하는 농촌진흥구역 평균 실거래가임. |
지역 축제 | 홍의장군축제(4월), 의령소싸움(9월), 의령농특산물축제(11월) |
작물이름 | 농가수(가구) | 작목반수 | 재배면적(ha) | 생산량(톤) |
---|---|---|---|---|
주요작물 마늘 | 930 | 258 | 18,655 | |
주요작물 수박 | 184 | 7 | 333 | 13,846 |
주요작물 양파 | 406 | 2 | 144 | 2,684 |
옥수수 | 154 | 2 | 43 | 636 |
콩 | 1,082 | 0 | 110 | 499 |
함안 주요정보
함안군은 아라가야의 유서깊은 역사와 찬란한 문화를 간직한 고장이며, 경남의 중심지로서 교통이 편리하고 마산 창원 배후지역으로 발전하는 추세에 있고, 경남의 중심지로서 시설채소의 메카이자 대한민국 대표 수박의 고장이다.
총 인구수 | 58,849명 |
---|---|
농업인 수 | 10,117명(남 4,545, 여 5,573) |
귀농귀촌가구수 | 3,054가구(귀농 1,688, 귀촌 1,366) |
경지면적 | 9,084ha(논 5,874ha, 밭 3,210ha) |
주요 재배작목 | 수박, 단감, 파프리카, 포도, 참외 |
평균 농지 실거래가 | 38,897원/㎡ (최저 7,213 ~ 최고 189,798원/㎡) ※농어촌공사에서 공개하는 농촌진흥구역 평균 실거래가임. |
지역 축제 | 함안곶감축제(1월), 삼칠민속줄다리기(2~3월 중), 함안수박축제(4월), 함안낙화놀이(5월), 강주해바라기축제(7~9월 중), 함안아라가야문화제(9월) |
작물이름 | 농가수(가구) | 작목반수 | 재배면적(ha) | 생산량(톤) |
---|---|---|---|---|
주요작물 수박 | 473 | 19 | 1,604 | 60,838 |
주요작물 단감 | 536 | 1 | 916 | 9,200 |
주요작물 파프리카 | 33 | 28 | 3,822 | |
포도 | 67 | 2 | 25 | 1,020 |
참외 | 0 | 0 | 50 | 670 |
창녕 주요정보
창녕군은 동부 산악지대, 서부 낙동강변 비옥한 농토로 형성되어 있고, 양파, 마늘, 고추, 단감, 시설채소 등 다양한 작목 재배로 전형적 농업지역을 이루고 있으며, 중부내륙고속도로 등 사통팔달의 교통망을 이루고 있다. 유네스코 3관왕 도시, 경남 창녕!(영산줄다리기, 창녕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우포늪)
총 인구수 | 55,707명 |
---|---|
농업인 수 | 13,464명(남 6,442, 여 7,022) |
귀농귀촌가구수 | 4,223가구(귀농 2,343, 귀촌 1,880) |
경지면적 | 10,067ha(논 5,433ha, 밭 4,634ha) |
주요 재배작목 | 마늘, 양파, 단감, 고추, 오이, 감자, 토마토, 파프리카, 미나리, 딸기 |
평균 농지 실거래가 | 46,563원/㎡ (최저 737 ~ 최고 285,714원/㎡) ※농어촌공사에서 공개하는 농촌진흥구역 평균 실거래가임. |
지역 축제 | 3.1민속문화제(3월), 낙동강유채축제(4월), 부곡온천축제(4월), 비사벌문화제(9~10월) |
작물이름 | 농가수(가구) | 작목반수 | 재배면적(ha) | 생산량(톤) |
---|---|---|---|---|
주요작물 마늘 | 3,196 | 1 | 3,205 | 63,704 |
주요작물 양파 | 667 | 1 | 580 | 50,286 |
주요작물 단감 | 936 | 3 | 690 | 9,970 |
주요작물 고추 | 430 | 158 | 8,857 | |
오이 | 306 | 1 | 84 | 8,247 |
감자 | 284 | 0 | 111 | 4,463 |
토마토 | 82 | 35 | 3,682 | |
파프리카 | 10 | 10 | 1,151 | |
미나리 | 13 | 8 | 134 | |
딸기 | 3 | 2 | 71 |
고성 주요정보
고성군은 지맥은 동북에서 서남으로, 지세는 서북이 높고 동남이 기울은 편이며 큰 강이나 높은 산이 없어 무험순령하나 사방이 기복하고 하천은 군의 중심부에서 사방으로 흐르고 있다.
총 인구수 | 48,005명 |
---|---|
농업인 수 | 9,862명(남 4,956, 여 4,906) |
귀농귀촌가구수 | 1,958가구(귀농 1,097, 귀촌 861) |
경지면적 | 9,195ha(논 6,523ha, 밭 2,672ha) |
주요 재배작목 | 시금치, 고추, 토마토, 딸기, 파프리카 |
평균 농지 실거래가 | 34,763원/㎡ (최저 2,857 ~ 최고 248,078원/㎡) ※농어촌공사에서 공개하는 농촌진흥구역 평균 실거래가임. |
지역 축제 | 당항포대첩축제(7월), 가리비수산물축제(10월), 거류산등산축제(10~11월), 고성공룡세계엑스포(10~11월) |
작물이름 | 농가수(가구) | 작목반수 | 재배면적(ha) | 생산량(톤) |
---|---|---|---|---|
주요작물 시금치 | 1,714 | 0 | 324 | |
주요작물 고추 | 96 | 9 | 56 | |
주요작물 토마토 | 59 | 8 | 30 | |
주요작물 딸기 | 78 | 7 | 59 | |
주요작물 파프리카 | 13 | 2 | 21 |
남해 주요정보
남해군은 수입개방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마늘, 쌀농사 위주의 농업에서 다양한 소득 작물을 개발하는 농업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남해의 특산물인 유자는 향이 뛰어나 전국에서 가장 높은 값을 받고 있으며, 가공식품으로 유자술과 유자차를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총 인구수 | 39,565명 |
---|---|
농업인 수 | 13,237명(남 6,310, 여 6,927) |
귀농귀촌가구수 | 3,924가구(귀농 2,253, 귀촌 1,671) |
경지면적 | 5,261ha(논 2,501ha, 밭 2,760ha) |
주요 재배작목 | 마늘, 고사리, 시금치, 호박 |
평균 농지 실거래가 | 34,566원/㎡ (최저 10,067 ~ 최고 90,732원/㎡) ※농어촌공사에서 공개하는 농촌진흥구역 평균 실거래가임. |
지역 축제 | 보물섬 마늘&한우축제(6월), 상주은모래비치 섬머페스티벌(8월), 독일마을 맥주축제(10월) |
작물이름 | 농가수(가구) | 작목반수 | 재배면적(ha) | 생산량(톤) |
---|---|---|---|---|
주요작물 마늘 | 3,823 | 10 | 514 | 5,407 |
주요작물 고사리 | 591 | 0 | 251 | 1,247 |
주요작물 시금치 | 4,030 | 9 | 850 | 11 |
호박 | 391 | 1 | 81 | 1,371 |
하동 주요정보
하동군은 장엄하게 우뚝 솟은 지리산 국립공원과 맑고 푸른 섬진강이 굽이굽이 흐르고 산자수려한 자연과 임진왜란 시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최후 승전장이었던 한려해상국립공원, 청정해역의 노량 앞바다 등 아름답고 유서 깊은 고장이다.
총 인구수 | 42,465명 |
---|---|
농업인 수 | 11,382명(남 5,758, 여 5,624) |
귀농귀촌가구수 | 1,935가구(귀농 1,042, 귀촌 893) |
경지면적 | 8,887ha(논 4,432ha, 밭 4,455ha) |
주요 재배작목 | 떫은감, 배, 매실, 딸기, 콩 |
평균 농지 실거래가 | 33,150원/㎡ (최저 3,186 ~ 최고 220,651원/㎡) ※농어촌공사에서 공개하는 농촌진흥구역 평균 실거래가임. |
지역 축제 | 화개장터 벚꽃축제(4월), 하동야생차문화축제(5월), 섬진강문화 재첩축제(7월), 북천 코스모스,메밀꽃축제(9~10월) |
작물이름 | 농가수(가구) | 작목반수 | 재배면적(ha) | 생산량(톤) |
---|---|---|---|---|
주요작물 떫은감 | 1,285 | 3 | 625 | 6,938 |
주요작물 배 | 205 | 5 | 205 | 4,580 |
주요작물 매실 | 1,225 | 6 | 289 | 3,190 |
딸기 | 539 | 27 | 289 | 9,804 |
콩 | 1,335 | 2 | 102 | 281 |
산청 주요정보
산청군은 중앙부를 남북으로 관류하는 경호강은 황매산을 원천으로 하는 양천강과 단성면에서 합류되어 지리산을 유원으로 하는 덕천강과 더불어 남강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하 3강의 유역은 지세가 비교적 평탄하고 관개가 편리하고 지질이 비옥하여 농경에 적합합니다.
총 인구수 | 33,259명 |
---|---|
농업인 수 | 10,604명(남 5,123, 여 5,481) |
귀농귀촌가구수 | 2,214가구(귀농 1,009, 귀촌 1,205) |
경지면적 | 8,348ha(논 4,678ha, 밭 3,670ha) |
주요 재배작목 | 딸기, 떫은감, 사과 |
평균 농지 실거래가 | 34,152원/㎡ (최저 7,778 ~ 최고 145,658원/㎡) ※농어촌공사에서 공개하는 농촌진흥구역 평균 실거래가임. |
지역 축제 | 지리산 산청곶감축제(1월), 황매산철쭉축제(5월), 산청한방약초축제(9~10월), 남명선비문화축제(10월) |
작물이름 | 농가수(가구) | 작목반수 | 재배면적(ha) | 생산량(톤) |
---|---|---|---|---|
주요작물 딸기 | 448 | 21 | 249 | 11,338 |
주요작물 떫은감 | 891 | 1 | 465 | 11,046 |
주요작물 사과 | 93 | 4 | 65 | 1,346 |
함양 주요정보
함양군은 경상남도의 서북단에 위치하며, 서쪽으로는 전북 남원시와 장수군과 연접하고 있고, 소백산맥의 최고봉이며, 영남의 진산(鎭山)인 지리산을 남쪽에 두고 있다.
총 인구수 | 36,396명 |
---|---|
농업인 수 | 18,283명(남 9,254, 여 9,029) |
귀농귀촌가구수 | 1,682가구(귀농 1,001, 귀촌 681) |
경지면적 | 8,647ha(논 5,533ha, 밭 3,114ha) |
주요 재배작목 | 양파, 사과, 떫은감, 산양삼, 감자, 고구마 |
평균 농지 실거래가 | 27,700원/㎡ (최저 3,028 ~ 최고 105,644원/㎡) ※농어촌공사에서 공개하는 농촌진흥구역 평균 실거래가임. |
지역 축제 | 고종시곶감축제(1월), 백운산벚꽃축제(4월), 함양산삼축제(9월), 연암문화제(10월) |
작물이름 | 농가수(가구) | 작목반수 | 재배면적(ha) | 생산량(톤) |
---|---|---|---|---|
주요작물 양파 | 460 | 9 | 318 | 69,264 |
주요작물 사과 | 426 | 15 | 470 | 17,082 |
주요작물 떫은감 | 94 | 1 | 251 | 4,250 |
주요작물 산양삼 | 285 | 2 | 322 | 8 |
감자 | 1,431 | 3 | 76 | 2,800 |
고구마 | 1,514 | 2 | 93 | 1,100 |
거창 주요정보
거창군은 경상남도의 최서북단 전북, 경북과 접경하고있으며, 3대 국립공원의 중심지(지리, 덕유, 가야산)에 위치하여 있어 수승대관광지, 월성계곡 등의 수려한 자연경관을 자랑하고 있다.
총 인구수 | 59,514명 |
---|---|
농업인 수 | 11,128명(남 9,234, 여 9,204) |
귀농귀촌가구수 | 2,441가구(귀농 1,305, 귀촌 1,136) |
경지면적 | 9,947ha(논 4,009ha, 밭 5,938ha) |
주요 재배작목 | 사과, 딸기, 포도, 양파, 감자 |
평균 농지 실거래가 | 31,053원/㎡ (최저 2,494 ~ 최고 151,235원/㎡) ※농어촌공사에서 공개하는 농촌진흥구역 평균 실거래가임. |
지역 축제 | 거창한마당 대축제(9~10월), 금원산얼음축제(12월), 크리스마스트리문화축제(12월) |
작물이름 | 농가수(가구) | 작목반수 | 재배면적(ha) | 생산량(톤) |
---|---|---|---|---|
주요작물 사과 | 1,853 | 45 | 1,742 | 41,959 |
주요작물 딸기 | 428 | 25 | 185 | 6,691 |
주요작물 포도 | 316 | 9 | 151 | 1,695 |
양파 | 83 | 9 | 114 | 7,255 |
감자 | 1,157 | 0 | 90 | 2,800 |
합천 주요정보
합천군은 농업중심의 항노화산업을 육성하고 안정적인 농업경영 및 청정 축산 생산 기반을 구축하는데 힘쓰고 있으며, 황매산 4계절 관광지화를 통해 ‘머무는 관광’을 시행하고 있다.
총 인구수 | 39,938명 |
---|---|
농업인 수 | 12,231명(남 6,066, 여 6,165) |
귀농귀촌가구수 | 1,441가구(귀농 739, 귀촌 702) |
경지면적 | 10,540ha(논 5,865ha, 밭 4,675ha) |
주요 재배작목 | 양파, 마늘 |
평균 농지 실거래가 | 원/㎡ (최저 ~ 최고 원/㎡) ※농어촌공사에서 공개하는 농촌진흥구역 평균 실거래가임. |
지역 축제 | 벚꽃마라톤대회(4월), 황매산 철쭉제(5월), 합천바캉스축제(7~8월), 합천예술제(7~8월), 합천기록문화축제(10~11월), 황매산 억새축제(10~11월) |
작물이름 | 농가수(가구) | 작목반수 | 재배면적(ha) | 생산량(톤) |
---|---|---|---|---|
주요작물 양파 | 553 | 12 | 465 | 38,141 |
주요작물 마늘 | 1,309 | 8 | 926 | 20,2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