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사흐름도
순서 | 단계명 | 상세내용 |
---|---|---|
1 | 사전계획수립 | 문헌 조사,장비 점검,현지 답사,위치 파악 |
2 | 거북선탐사조사 | 해저지형 조사,지층 탐사,해저면 영상조사,저질 조사,지자기 조사 |
- | 자료처리 및 분석 | |
3 | 잠수조사 | 부표 설치,고정 부표 설치,유물육안확인 및 해저면 촬영,Air Lift 사용(필요시),유물 1차 수집 및 샘플 채취,유물 2차 수집 및 샘플 채취,전문가 의뢰,전문판독관, 역사고증위원 분석 |
4 | 인양계획 | 보고서 작성,성과물 작성,추후작업 결정(경남발전연구원) |
해저지형조사(멀티빔 지형측량) : 해저면에 노출된 유물 탐사
-
투입장비 : 고해상도 멀티빔(SeaBat 7125)
-
성과 : 침선
- 고해상도 멀티빔 (SeaBat 7125) 최신 장비 사용
- 수심의 4배 주사폭으로 정밀, 소해측량으로 정밀도 제공
- 조사선에 멀티빔과 사이드스캔 소나를 동시 운용
- 이상물체 발견시 이상체의 위치, 수심, 형상, 규모 등 확인 후 잠수팀에 정보제공
해저면 영상조사(사이드 스캔소나) : 해저면에 노출된 유물 탐사
-
투입장비
-
성과 : 폐철통
- 거북선과 총통 및 기타 해저자성체의 존재 유무를 확인
- 이상체의 확인을 위해 해저면 가까이에 투하하여 견인
- 지자기조사, 천부지층탐사 동시 운영
- 오측자료를 최소화 하기 위해 FRP 또는 목재 선박을 이용
- 자력계의 센서를 조사선박의 3배수 이상 이격시켜 예인
- 취득된 자료를 이용하여 자력 분포도를 작성하여 이상체를 확인
해저면 영상조사(사이드 스캔소나) : 해저면에 노출된 유물 탐사
-
투입장비
-
성과 : 파이프 배관
- 이상체 발견시 강한 반사신호와 음향 이상 발생
- 지자기 조사와 지층탐사를 동시에 운용
- 현장조사 수행중 이상체 발견시 확인을 위한 격자 형태의 정밀 조사 수행
- 이상물체 발견시 이상체의 위치, 수심, 형상, 규모 등 확인 후 잠수팀에게 정보 제공
거북선 탐사 가능성
나무로 만든 거북선이 침몰할 가능성이 있는가?
- 해외사례 → 스웨덴 앞바다 목선 바사호(17C), 영국 목제 범선 메리로즈호 발견(16C)
400년을 버틸 수 있을까?
- 고려시대 배도 바다속에서 발견됨 (완도선, 12동파도선, 안좌도선, 달리도선)
- 목재를 파먹는 해양생물체인 배좀벌레의 피해를 입지 않아야 함
- 가장 좋은 보존방법은 갯벌이나 모래층 속에 배가 파묻혀 부식으로 부터 보호
- 칠천도 주변은 두께 4m정도의 뻘층이 존재해 보존에 적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