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검

도검(刀劍)

도와 검은 조선시대 군사들의 개인 휴무무기 가운데 대표적인 단병기이다. 도는 날이 한 쪽에만 있으며 곡선의 형태로 되어 있고 자루가 길면서 칼집이 없었다. 주로 베어서 살상효과를 냈다.
반면 검은 날이 양쪽에 있으며 형태는 직선으로 되어 있고 도에 비해서 자루가 짧고 칼집이 있다. 검은 베는 것 외에도 찔러서 살상효과를 높힐 수 있다.

도와 검은 최초 혼용되어 사용되었으나 전장에서의 효용도와 제작 공정상의 이점으로 인해 도는 전투용으로서의 보편화되기 시작했다. 전투용 도의 보편화추세는 패용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종래 검에만 있었던 칼집을 도에도 갖추게 했다.
한편 검은 칼날을 중시하는 형태에서 벗어나 자루와 장식에 치중하는 형태로 전환되기에 이른다. 이른바 상감(象嵌) 등의 방법으로 꽃무늬, 별자리, 문구를 새겼으며, 옥을 검에 매달거나 혹은 박아 끼운 옥구검(玉具劒) 등이 등장하게 되었다.

도검은 전투용부터 수렵용ㆍ지휘 의례용ㆍ장식용ㆍ호신용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또 크기에 다른 구분은 장검(장도ㆍ대도)과 단검(단도)으로 한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도검으로는 환도(還刀)ㆍ예도(銳刀)ㆍ인검(寅劍)ㆍ운검(雲劍)ㆍ칠성검(七星劍) 등이 있다.

한편 전투용 도가 보편화됨에 따라 조선 정부는 군사의 기본 무기인 환도를 규격화하려 하였다. 특히 문종은 환도를 기병용은 칼날 길이를 1척 6촌, 자루를 1권(拳) 3지(指)로 하였고, 보병용은 칼날 길이를 1척 7촌 3푼, 자루를 2권으로 규격화하였다. 그러나 개인마다 근력의 차이로 인하여 현실적으로는 그대로 적용되지 못하였다.
도(곽재우유품), 칠성검(이억기유품) 도(곽재우유품), 칠성검(이억기유품)

조선 전기의 환도의 크기는 조선후기의 규격과 비교할 때 절반 수준에 불과하였는데, 이는 실전을 위해서 길이가 짧은 것을 혹은 직단(直短)을 우선시 하였기 때문인데, 이는 대여진전(對女眞戰)의 주전투무기가 궁시였고, 환도는 보조무기에 불과하여 긴박한 상황하에서나 사용되는 하나의 방신용(防身用) 혹은 호신용의 기능에 중점을 둔 결과였다.

그후 환도는 임란을 통한 일본과의 군사적인 대결을 통하여 접근전의 주전투무기로 그 기능의 중요성이 재인식되었다. 환도는 왜검으로 무장한 왜병과 대응하기 위해서 3 ~ 4척의 왜검에 비견되는 길이와 예리함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선 전기의 환도가 대 여진전의 산물이라면 후기의 예도(銳刀)는 대 일본전의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조선후기 각 군영에 실제로 비치된 단병기의 주종은 환도였다. 그러나 환도가 각 군영의 개인 병사의 기본적인 휴대무기였음에도 불구하고 접근전에 있어서 전투용의 주기능보다는 방신용 내지는 의장용의 기능에 머물고 말았다.
이는 당시의 기본적인 방위전술이 성곽 중심의 수성론이었기 때문에 화약병기 및 궁시류 등의 장병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던 반면에 단병기의 활용도는 낮았을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환도(環刀)

환도라고 부르게 된 것은 칼집이 있어 고리를 달고, 이 고리에 끈을 드리우고 그것을 찬데 있었다. 일반적으로 요도(腰刀), 패도(佩刀)라 호칭하기도 한다.
환도는 전투용 무기였지만 개인이 소지할 적에는 몸을 보호하는 기능이 더욱 중요시되었다. 이렇듯 평상시의 몸을 보호하는 기능이 높아지자 휴대의 간편성과 비상시의 사용성에 중점을 두게 되자 환도의 규격은 점차 짧아지고 가벼워졌다. 그러나 임란이후 왜검의 영향을 받아 길어지고 예리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