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실천

정의실천

이순신은 일생을 ‘정의(正義)를 실천하는 정신’으로 살았으며, 그 정신의 불꽃은 꺼지지 않고 전해져 지금까지도 우리에게 교훈으로 전해지고 있다.
정의란 ‘바른 도리’, ‘바른 행동’을 말한다. 또 지혜와 용기, 절제가 각각 법도를 지켜 조화를 이룩하는 일을 일컫는다. 그 정의는 공(共)과 사(私)를 구분하는 대의명분이 되며, 나라의 안위(安危)가 앞서는 진리 속에서의 올바른 길임을 뜻한다.
이순신은 일평생 정의를 실천함에 있어, 조금도 불의와 타협하지 않는 올곧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무관으로서 항상 공과 사를 엄격히 구분하였으며, 옳다고 생각되는 일에는 상관이나 권력자에게도 서슴없이 오류를 지적하는 직언을 하였다. 비록 이로 인해 여러 차례 불이익을 당하기도 하였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늘 정의를 삶의 핵심가치로 삼고 온전히 실천하였다. 정의를 실천함에 있어 장군은 타인보다 본인에게 더 엄격하였다.
예를 들면 이순신은 1593년 웅천포해전을 마치고 귀환하던 중 통선 1척을 잃은 것에 대해 스스로 죄를 청하는 장계를 한 적이 있다. 사실 이 통선이 전복된 원인은 휘하 장수들이 이순신의 지휘를 제대로 따르지 않았기 때문이었으나 이순신은 지휘관으로써 본인이 책임을 지겠다고 하였던 것이다.

통선(統船) 1척을 마침내 전복시켜 많은 죽음이 있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신이 군사 쓰는 방법이 좋지 못하고 지휘가 잘못된 때문인 바, 극히 황공하여 거적자리에 엎드려 죄를 기다리나이다.(통선일척경복후대죄장, 1593. 4. 6)

또한 장군은 해전에서 공을 세울 수 있는 기회를 여러 휘하 장수들에게 골고루 주고, 이를 엄격히 평가하여 해전의 상황을 아뢰는 장계에 상세히 기록함으로 각자 공적에 따라 공정한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또한 당시 천대받던 여러 분야의 기술자들까지도 고루 기용하고, 이들의 공을 높이 평가하였다.

신의 군관 정사준이 묘한 법을 찾아내어 대장장이 낙안 수군 이필종, 순천 사삿집 종 안성, 피난하여 본영에 와 사는 김해 절의 종 동지, 거제 절의 종 언복 등을 데리고 정철(正鐵)을 두들겨 만들었는데 그 체제도 잘 되었고 총알 나가는 힘도 조총과 꼭 같습니다.(봉진화포장, 1593. 8. 10)

1593년 8월 일본의 조총과 조선의 승자총통을 개량하여 정철총통을 제작을 아뢰는 이순신의 장계에는 군관 정사준을 비롯하여 대장장이와 천민인 종들의 이름까지도 세세히 적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이순신은 일평생 본인의 신념에 따라 정의를 실천하는 삶을 살았다. 그리고 무엇보다 정의로써 타인을 평가하기에 앞서 장군 스스로 온전히 정의를 실천하는 솔선수범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순신의 모습은 구국의 위대한 업적을 이룰 수 있는 밑바탕이 되어준 동시에, 이순신의 업적을 더욱 빛나게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