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장군의 정신
- 이순신 장군은 임진왜란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충, 효, 의, 애, 선(忠, 孝, 義, 愛, 善)을 가르치신 분이었다.
아시아의 역사를 바꾼 불멸의 이순신 장군으로부터 배워야 할 지혜를 살펴보자.
불가능한 것을 가능한 것으로 만드는 필사즉생 정신(必死則生精神)
이순신 장군은 목표 달성을 위해 죽기를 각오하고 싸우면 이길 수 있다는 정신으로 책임을 다하였다.
필사즉생의 유명한 말을 남긴 대표적인 전투는 명량해전이었다. 해전이 시작되었을 무렵 공격해 오는 일본 전선을 본 군졸들은 아군이 열세라는 것을 알고 낙심하여 도망 갈 궁리만 하고 있었다.
이때 이순신 장군은 중군장 김응함과 거제 현령 안위를 호출하여 전선 가까이 다가오게 했다.
이순신 장군은 뱃전에서 안위에게 말하기를
“안위야, 네가 군법에 죽고 싶으냐? 도망간다고 어디 가서 살 것이냐?”
라고 꾸짖었고 김응함에게는
“너는 중군장으로서 멀리 피하고 대장을 구원하지 않았으니 죄를 어찌 면할 것이냐? 당장 처형할 것이로되 전세가 급하므로 우선 공을 세우게 한다.”
라고 하여 스스로 사지[死地죽을 지경의 매우 위험하고 위태한 곳]에 처해 있음을 상기시켰다.
이에 두 장수는 진격명령이 떨어지자 앞장서서 돌격하였다. 이렇게 두 장수가 용전분투[勇戰奮鬪있는 힘을 다하여 용감하게 싸우다]한 것이 명량해전을 승리로 이끄는 결정적 역할이 되었다.
해전 후 이순신 장군은 안위에게 전투전의 죄를 묻지 않았고 오히려 해전 공로로 통정대부[通政大夫조선 시대의 정삼품 문관 품계]를 제수 받는 영광을 안게 했다.
이순신 장군은 행동에 앞서 여러 사람들의 뜻을 한 곳으로 모았으며, 그것을 깊이 생각한 다음 명령을 내렸다.
지휘관으로 책임을 다하는 그 정신력에 감동되어 장수와 군사들은 죽음을 눈앞에 두고도 장군을 믿고 따랐다.
라고 꾸짖었고 김응함에게는
“너는 중군장으로서 멀리 피하고 대장을 구원하지 않았으니 죄를 어찌 면할 것이냐? 당장 처형할 것이로되 전세가 급하므로 우선 공을 세우게 한다.”
라고 하여 스스로 사지[死地죽을 지경의 매우 위험하고 위태한 곳]에 처해 있음을 상기시켰다.
이에 두 장수는 진격명령이 떨어지자 앞장서서 돌격하였다. 이렇게 두 장수가 용전분투[勇戰奮鬪있는 힘을 다하여 용감하게 싸우다]한 것이 명량해전을 승리로 이끄는 결정적 역할이 되었다.
해전 후 이순신 장군은 안위에게 전투전의 죄를 묻지 않았고 오히려 해전 공로로 통정대부[通政大夫조선 시대의 정삼품 문관 품계]를 제수 받는 영광을 안게 했다.
이순신 장군은 행동에 앞서 여러 사람들의 뜻을 한 곳으로 모았으며, 그것을 깊이 생각한 다음 명령을 내렸다.
지휘관으로 책임을 다하는 그 정신력에 감동되어 장수와 군사들은 죽음을 눈앞에 두고도 장군을 믿고 따랐다.

이순신 장군의 일대기(一代記) 중 불가능한 것을 가능한 것으로 만든 예를 더 찾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