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메뉴 바로가기 본문기사 바로가기

도민의 소리

[도민의 소리]함안 가야 방목시장의 톱 가는 장인

한 번 씨고 내삐리모 사람도 그랄낀가.”

쓰고 버리고 필요하면 또 새로 사는 요즘 사람들을 야단치는 어느 장인의 말이다. 40년째 가야 방목시장에서 톱을 갈아주는 박점교(80) 어르신이다. 요즘에도 톱을 쓰는 사람이 있을까 싶지만 몸이 아프거나 비 오는 날을 빼고는 장날마다 출근한다. 인근에 톱 가는 사람이 없으니 창원, 남지, 의령, 진동 등 인근 사람들이 모두 찾는다. 한 명이 다녀가도 공친 적이 없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함안군 가야읍이 고향인 박점교 어르신은 마흔 고개를 바라보고 있을 때 톱 가는 일을 시작했다고 한다. 열심히 농사를 지었지만 땅 한 평 가져 보지 못했기에 그 어떤 것도 농사보다 나을 거라는 생각에서였단다. 당시 톱 장인이 네 명이나 되고, 쉴 틈이 없을 정도면서 농사일보다 나았다고 하는 걸 보니, 제법 돈이 됐던 모양이다. 그렇게 가야장과 의령장, 남지장까지 부지런히 다니면서 장돌뱅이로 긴 세월을 보냈다.

톱을 한 번 갈아주면 처음에는 700원을 받았는데 지금은 6000원을 받는다고 했다. 1만 원 남짓 하는 톱 값을 생각하면 새로 살 법도 한데 새 톱도 갈아 써야 제대로 잘리는 기라, 날이 서야제라며 곧바로 내 생각을 읽어낸다.

톱을 가는 일은 특별한 기술이 필요한 건 아니지만 아무나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고 했다. “톱이 한 가지만 있는 기 아이다라며, 톱니가 잘고 촘촘하고 날 끝이 약간 어긋난 것이 자르는 톱이고, 톱니가 약간 성글고 날 어김이 없는 것이 켜는 톱이라고 했다. 그래서 톱의 생김에 맞게 갈아야 한단다. 거치대에 톱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고, 오랫동안 손에 익은 줄(야스리)을 잡고 한 치의 어긋남도 없이 작은 톱날을 하나하나 갈기 시작한다. 방향을 바꾸고 돌려서 하나의 톱을 가는 데 톱날마다 네 번을 줄로 갈아야 완성된다. 정성도 이런 정성이 없다.

지금은 세상도 사람도 물건도 모두 변해 옛날만큼 손님이 찾아오진 않지만, 몸을 움직일 수 있는 한 톱 가는 일을 계속하고 싶다는 어르신이다. “산다는 기 고달픈거이 아이가 일할 데가 있어야제. 6000원이면 어떻고 또 톱 가는 사람이 없으모 어떻노. 그냥 한다라며 오랜 세월을 녹인 자신만의 철학을 툭 하고 내뱉는다.

가야장으로 불리는 방목장은 기록에 의하면 500년 이상 이어지고 있다. 1587년에 한강 정구 선생이 쓴 <함주지>에도 기록돼 있으니 세월을 지킨 시장이나 다름없다. 게다가 임진왜란을 겪기도 했고, 510일 장으로 처녀뱃사공의 작곡자 윤부길이 부길부길 쇼단을 이끌고 공연도 한 장이다. 입곡의 나뭇꾼들이 나무나 숯을 구워 팔았고, 마산의 어물들이 이곳에 모이곤 했다.

지금은 철로를 걷어낸 자리에 예쁜 아라길이 생겨 시장과 연결되었다. 주차장도 넓어졌고, 쉼터도 좋아 장보는 환경이 더 쾌적해졌다. 오늘도 장 보는 사람들의 얼굴에 풍요와 행복한 미소가 가득하다.

 

황복희 명예기자(함안군)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