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팡이성·기타질병

  • 질병정보
  • 주요가축전염병 정보
  • 국내발생가축전염병
  • 곰팡이성·기타질병

꿀벌부저병(Foul brood)

  • 조회 : 1920
  • 등록일 : 2012.08.04 11:31:29
  • 기관명 : 동물위생시험소 

1. 꿀벌부저병(Foul brood)

꿀벌의 유충에 병원균(미국부저병 : Paenibacillus larvae, 유럽부저병 : Melissococcus pluton White)이 침투하여 유충벌을 썩게 하는 질병임.

가. 원인체

  • 미국부저병 유충벌의 질병 중 가장 무서운 질병이며 원인균은 Paenibacillus larvae로,  1993년
    Bacilluslarvae에서 개명됨.
  • P.larvae는 그람양성의 간균(2.5~5.0mm * 0.7~0.8mm)으로, 편모에 의한 운동성이 있으며, 내생포자
    (endospore ; 간단히 포자, spore)를 만들기에 내열성 및 화학살균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여 건조상태
    에서 35년간 감염력을 보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유럽부저병도 세균성 질병인데 병원균은 Melissococcus pluton White임.

나. 전염경로
  • 미국 부저병의 전염은 감염 봉군에서 채밀한 오염된 꿀의 재사용, 오염된 기구의 사용이나 교환, 또는 도봉
    들에 의하여 유충에서 유충으로, 한 봉군에서 다른 봉군으로 또한 한 양봉장에서 다른 양봉장으로 옮겨감.
  • P. larvae 내생포자의 감염력은 꿀벌(Apis mellifera) 1종에만 국한되며, 다른 생명체에서는 감염, 증식
    되지 않음.
  • 성봉의 경우 많은 포자가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거의 발병되지 않으며, 유충의 경우도 부화 후 1일 정도 된
    유충은 평균 35개의 포자에 의해 감염, 발병되나, 2일 또는 그 이상 경과된 유충은 수천 개 이상의 내생포
    자가 감염되어야 발병되며, 부화된 지 53시간이 지난 유충은 거의 감염되지 않음.
  • 감염된 내생포자는 유충의 경구를 통하여 중장관(midgut)에 도착한 후 24시간 내에 활성형세포(영양세포)
    로 부화되며 급속히 증식함.
  • 유충의 온몸에 퍼져 증식된 활성형 세포들은 유충이 치사됨에 따라 내생포자의 형태로 변환 되며, 1개 사체
    에 들어 있는 P. Larvae의 내생포자의 수는 500만~1000만개 수준으로 알려져 있음.
  • 유럽부저병은 유충벌이 썩어 죽는 과정이나 전염경로는 미국 부저병과 유사함.
 
다. 발생 및 증상
  • 미국부저병의 초기 증상은 병에 걸린 유충의 채색이 유백색을 나타내다가 시간이 경과함에따라 점차 갈색
    으로 변해가는 것이 특징임.
  • 주로 일벌의 유충벌에 걸리는데 간혹 숫벌이나 여왕벌 유충에 걸리는 때도 있음.
  • 이 병에 걸린 유충은 채색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물러 터지는데, 이 때에 시큼한 냄새가 남. 
  • 죽은 유충 또는 번데기의 시체는 점성이 있다가 나중에는 벌방 밑에 딱지로 말라붙게 됨. 
  • 이 질병의 잠복기는 평균 12.5일로써 대부분 감염된 유충은 부화 후 10~15일 사이에 유충의색깔이 변
    하는 증상을 나타냄.
  • 이와 같은 유충이 있으면 봉개는 평소보다 빨리 일어나며 축축하고 짙은 갈색으로 변함. 
  • 봉개는 안으로 함몰되며 건강한 성충벌들은 이 질병에 감염된 유충을 제거하는데 처음에는 봉개에 조금만
    구멍을 내다가 나중에는 열린 상태 그대로 두어 유충이 사멸케 함.
  • 붕개가 함몰되어 있는 소방에 성냥개비 등으로 유충을 찔러 제거하면 갈색의 교질성 물질이 딸려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음.
  • 유럽부저병은 미국 부저병에 비하여 병세가 가볍고 썩어 죽은 유충은 별로 찐득찐득하지 않으며 썩어 죽은
    유충의 마른 딱지가 벌방 및에 놓이지만 잘 떨어져 청소벌들에 의하여 쉽게 제거됨.
 
라. 진단
  • 미국부저병은 온대지방에 폭넓게 발생하며, 각 나라마다 1.0~10%에 이르는 봉군에서 이미원인균인
    P. larvae의 내생포자가 발견될 정도로 널리 퍼져 있음. 양봉의 선진국인 뉴질랜드 에서도 1.2%의 봉
    (1995)에서 P.larvae의 내생포자가 발견되고 있으나 내생포자가 봉군 내에 발견되었다고 바로 발병이
    되는 것은 아니며, 발병의 가능성이 보다 높다는 것임.
  • 정량적으로 정확한 연구를 필요로 하나 봉군 당 500만 이상의 포자가 존재할 때 일반적으로 최초의 발병이
    일어난다는 실험결과가 발표된 바 있음.
  • 이 질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주로 우유를 반응물질로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미국형 부저명 원인균인
    P. larvae는 포자형성과정에서 단백질분해효소를 형성하기 때문임.
  • 대부분의 미국형 부저병은 40초 내에 우유위 응결현상이 이루어지며, 유럽형 부저병은 1분 47초내에
    우유의 응결현상이 이루어짐.
  • 진단은 주로 균분리와 현미경검경, 생화학적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최근 미국형 부저병의 원인
    균인 B. larvae의 단크론성 항체를 생산하여 면역효소법에 의한 진단이 시도되고 있음.
 
마. 치료
  • 미국부저병의 방제는 조기발견, 진행의 억제, 전파차단으로 요약될 있음. 미국부저병은 최고 수십년간
    감염력을 유지하며 생존할 수 있는 내생포자에 의하여 발병되며, 이미 세계적으로 상당수의 봉군에서 포자가
    발견된 이상 상당량의 봉군을 수입하고 있는 국내 양봉의 실정에서 검역에 의한 외래 병원균의 유입을
    가능한 한 차단하고, 국내의 발병을 최대로 억제하는 것만이 최선의 국가적 예방책임.
  • P. larvae는 꿀벌에 의해서만 증식되며, 내생포자는 꿀벌없이 스스로 증식할 수 없기 때문임.
  • 이 질병의 치료제로는 항생제를 사용하는데 그중 소디움설파디아졸(sodium sulphadiazole)이나 옥시테
    트라싸이클린(oxytetracycline)을 사용하는데 항생제의 벌꿀 내 잔류성에 대하여 주의하여야 함.
  • 급여시기는 월동 직후 육아 개시 시기를 택하는 것이 좋음.
  • 이들 약제를 이용한 완전한 치료는 어려우며 또한 포자까지는 멸균이 되지 않으므로 예방적 차원에서 철저
    한 봉군 관리가 절실함.
  • 또한 부저병이 꿀벌 유충의 질병이라는 점을 이용하여 질병의 증상을 보이는 벌통에서 벌이 붙어있는
    소비를 꺼내어 다른 새 벌통에 덜어 담고 소비를 태우는 방법이 있는대 이 방법은 성봉의 몸에 포자가 붙어
    있을 가능성이 있고 완전히 포자를 제거할 수 없으므로 재발 여지가 많음.
 
바. 예방
  • 부저병에 대한 예방적 대책으로는 도봉방지, 오염된 벌꿀의 사양금지, 오염 봉군의 처치, 오염 소비의 소각,
    오염 양봉기구의 소독을 실시하고 저항성 벌종을 구입하는 방법들이 있음.
  • 오염원의 근절을 위해서는 병에 걸린 봉군을 발견하는 대로 불에 태워 버리는 일과 나머지 양봉기구는 철저
    히 소독을 실시하여야 함.
 
사. 인체에 미치는 영향
  • 사람은 감염되지 않음.

꿀벌부저병(Foul brood)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꿀벌부저병(Foul brood)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목록
  • 담당부서 : 동물위생시험소 질병진단과  
  • 연락처 : 055-254-3031

최종수정일 : 2017-11-2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곰팡이성·기타질병 메뉴로 이동 (QRCode 링크 URL: http://www.gyeongnam.go.kr/index.gyeong?menuCd=DOM_000000403002001003)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