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목적
- 유방염 감염 젖소의 조기발견과 효과적인 항생제 적정 선별을 통한 유방염 조기치료
- 원유의 위생관리를 통한 낙농가 피해방지와 항생제 오남용을 방지하여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위생적인 축산물 공급
시행근거
- 젖소 유방염 방제사업 세부실시요령
-
원유의 위생등급기준
유방염의 종류 및 증상
- 임상형(臨床型) 유방염
- 유방이 붓고 열이 나며 통증 및 유방 기능장애가 나타남
- 유즙변화가 육안적으로 쉽게 구별되는 상태(화농, 색변화 등)
- 준임상형(準臨床型) 유방염
- 유방염에 감염되어 있으나 육안적으로는 확인 할 수 없는 상태
- 캘리포니아 유방염진단법(CMT)이나 유즙의 세균배양 등 실험실적 진단
- 만성 유방염
- 염증경과가 수개월 지속하거나, 다음 비유기까지 지속되는 상태
- 유방조직내에 흉터가 생겨 유방의 형태와 크기가 변화되기도 하며 산유량 감소
- 치료를 하면 쉽게 회복되는 듯 하나 곧 재발하는 특징
- 비특이성 유방염(무균성 유방염) 병원균을 분리할 수 없는 유방염으로 착유기기의 점검등 예방하는 것이 최선
약제표현형식
- 담당부서 : 동물위생시험소 축산물위생과
- 연락처 : 055-254-3051
최종수정일 : 2018-02-06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