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찰의 목적
- AI 예찰을 통한 발생위험 사전예방 및 유입여부 조기검색에 따른 피해최소화
- 유입가능 경로별 예찰검사(철새, 닭, 오리 및 기타 가금류)를 통한 발생위험 최소화 및 조기 경보시스템 운용
예찰의 개요
개요
- 예찰방법 :임상검사(2종) 및 모니터링 검사(11종)
- 모니터링 검사항목
- 항원(부화란 접종 후 HA 검사, h4 · H7 · H9 판독검사)
- 항체(c-ELISA, HI) 및 확진검사
주요내용
구분 | 대상지역 | 예찰기관 | 비고 |
---|---|---|---|
집중관리지역 (가금류 사육농가) |
발생지역 | 발생지역(공수의사, 양계수의사, 방역본부, 축협 등) | 임상예찰(매주) |
종오리농장 | 종오리농장 | 한국오리협회 | 전화조사(매일) |
모니터링 검사 : 11종
구분 | 검사대상 | 비고 |
---|---|---|
종오리검사 | 종오리 농장 | 분기 |
육용오리 검사 | 육용오리 농장 | 분기 |
야생조류 분변검사 | 철새도래지 3곳 | 월별(9회) |
야생조류 포획검사 | 철새도래지 야생조류 | 연중 |
재래시장 가금류검사 | 상설재래 시장 | 2회 |
수입사료 검사 | 수입사료 원료 하역업체/사료공장 | 연중(1회) |
관상/전시용 조류검사 | 관상조류 사육농가 | 2회 |
친환경이용 오리검사 | 오리농법 이용농가 | 1회 |
저병원성 AI검사 | 종계 · 산란계 · 토종닭 | 2회 |
기타 가금류 검사 | 메추리 · 칠면조 등 기타 가금류 농장 | 2회 |
AI 위험지역 돼지검사 | 철새도래지/집중관리 지역 인근 양돈장 | ※ |
계(11종) | - | - |
※ 신종플루 방역대책 추진에 따른 양돈농가 검사와 연계 추진
- 담당부서 : 동물위생시험소 질병진단과
- 연락처 : 055-254-3031
최종수정일 : 2022-05-27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