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충성질병

  • 질병정보
  • 주요가축전염병 정보
  • 국내발생가축전염병
  • 기생충성질병

꿀벌응애감염증(Infestation Varroa jacobsoni)

  • 조회 : 2189
  • 등록일 : 2012.08.04 11:34:06
  • 기관명 : 동물위생시험소 
3. 꿀벌응애감염증(Infestation Varroa jacobsoni)
 
꿀벌응애 감염증은 꿀벌의 번데기 시절인 유충과 성충 벌에 바로아지콥스니(Varroa jacobsoni)라 불리우는 꿀벌응애가 기생하여 체액을 빨아먹는 응애병(acariosis)을 유발하는 질병임.

가. 원인체
  • 병을 일으키는 기생체는 바로아지콥스니(Varroa jacobsoni)라 불리우는 응애이며 성충의 크기가 1.00 ~
     1.77mm× 1.50 ~ 1.00mm 정도인 외부기생충으로 가시응애와는 다른 종류임.

나. 전염경로
  • 벌에서 벌로 또는 벌에서 벌집, 식물의 표면, 꽃 등을 거쳐 전염되며 채밀기에 감염되지 않는 봉군에 감염된
     다른 봉군의 벌에 의해 전파되기도 함.
  • 산란육아의 진행 중에는 응애들이 봉개 소방내에서 번식, 기생하다가 산란육아가 끝나면 모두 성충벌의 몸
     에 옮겨 기생, 월동하여 다음해 산란육아 방의 봉개 직전, 벌방에 들어가 알을 낳고 번식함.
  • 암컷 한 마리의 산란 수는 약 5개이며, 암컷의 발육기간은 약 10일, 숫컷의 발육기간은 약 6일이므로 연중
     20여회 발생할 것을 추정됨.
 
다. 발생 및 증상
  • 꿀벌응애의 암컷은 꿀벌의 유충, 번데기, 성충벌에 기생하여 체액을 빨아먹어 소위 응애병(acariosis)을 유
     발함.
  • 감염된 꿀벌성충의 무게는 정상적인 것보다 7.1~30.4%까지 감소하며 기생이 심한 경우에는 불구봉이 되
     거나 발육이 정지되기도 함.
  • 꿀벌번데기의 경우에도 기생이 심한 경우 10%의 체중감소를 보임.
  • 체중감소 외에도 꿀벌의 복부가 위축되게 하며, 몸 다른 부위의 기형을 일으키게 함.
  • 경우에 따라서는 다리의 불구나 번데기의 사망이 발생하기도 함. 이와 같은 봉세약화로 말미암아 체밀성적
     이 크게 떨어져 채밀량 감소율이 30~46% 가량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냄.
  • 국내에서 1950년 서양종꿀벌 벌통에서 꿀벌응애가 처음 발견된 이래 이 종은 여전히 벌통 유지에 위협이
     되는 존재임.
  • 국내 몇 양봉장에서 꿀벌응애의 감염실태에 대한 지속적인 자료확보와 아울러 이들의 생태를 조사한 바, 월
     동 직후와 가을철 조사된 양봉장에서 벌통당 0~62마리의 꿀벌응애가 발견되었고, 감염수준은 채집시기와
     지역, 각 농가의 응애방제수준에 따라 변이가 큼.
  • 한편 매우 심하게 감염된 양봉장 내 벌통들에서 수벌 성충에 대한 기생정도는 일벌의 기생율에 비해 높은 기
     생율을 보임.
  • 유충방에서도 수벌방에 대한 꿀벌응애의 기생밀도가 일벌방보다 훨씬 높았는데, 수벌방 하나에서 발견된 꿀
     벌응애 암컷성충의 수는 1~4마리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나 10마리 이상 기생된 방들도 적지 않았고 최
     고 16마리가 기생된 방이 관찰됨.
  • 일벌방의 경우 5마리까지 기생된 방이 관찰되었고, 1, 2마리 기생하는 방이 많았음.
    ※ 참고로 중국가시응애에 대한 국내 발생 상황은 농업과학기술원 감사곤충부의 조사성적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1999년과 2000년에 걸쳐 국내 43개 양봉장에서 꿀벌응애와 중국가시응애의 감염실태를 조사하였는
    데 그 중 중국가시응애는 19개 양봉장에서 발견되었다. 감염된 봉군들에 아미트라즈 훈연지를 처리하여 벌
    통 바닥에 떨어지는 응애를 포획한 수는 0.3~146마리로 양봉장들 사이에 기생밀도 차이가 컸다. 심하게 감
    염된 전주의 한 양봉장에서 훈연처리로 평균 58.7마리의 성충이 포획되었고, 이 때 감염된 유충방의 비율은
    45.2%(n=93)로 유충방에는 최고 15마리까지 기생하는 것이 관찰된다 한편 제주도 한 양봉장에서 9월 말
    훈연처리에 의한 조사로 평균 146마리가 관찰되었는데, 이후 방제 처리 후 11월 초에는 12.7마리가 관찰
    됨. 이때 유충방 기생율은 7.9%(n=140)였고 감염된 유충방의 대부분에서 중국가시응애 1마리가 발견됨.
    중국가시응애가 발견된 시기는 모두 가을철이었고, 그 중 제주도를 제외한 8개 양봉장들의 실제 월동처는 중
    국가시응애 월동하지 못한다고 알려진 지역이어서 이들 양봉장 봉군 내의 중국가시응애는 월동 이후 어떤 경
    로를 거쳐 그 해 감염된 것으로 추정됨. 제주도 지역에서 조사된 12개 양봉장 중 11개 양봉장이 중국가시응
    애에 기생되어 있었다. 한편 1999년 경기 수원시와 화성시에서 중국가시응애에 감염되었던 봉군들은 월동
    후 조사된 모든 봉군에서 중국가시응애가 발견되지 않아 중국가시응애가 월동을 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음.
 
라. 진단
  • 벌의 몸체나, 유충 및 번데기를 직접 육안적 또는 현미경으로 검사. 또는 봉군내 표본이 될 수 있는 유충과
    성충 벌들을 70% 알코올에 넣고 강하게 흔들고 나서 벌 체표에서 떨어지는 것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진단
    함.

마. 치료
  • 꿀벌응애나 중국가시응애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 주로 약제방제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 꿀벌응애의 경우 유럽에서는 일년에 한번만 약제를 살포하도록 제한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Apistan 한
     종류만을 꿀벌응애에 대한 공시약제로 인정해 주고 있음.
  • 이두가지 응애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Amitraz, Apistan(fluvalinate), Apitol(cymiaol, HCI), Bayvarol
    (flumetrin), FlovaxVA(bromopropylate), Formic acid, Lactic acid(10~15%), Malathion(1%),
     Perizin(coumaphos)등의 약제가 전세계적으로 이용되고 있음.
  • 개미산(Formic acid)의 경우 약제가 봉개된 소방안으로 까지 침투하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선호되었으나,
     방제효과는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최근에는 티몰(Thymol)제재 등이 국내에 사용을 앞두고 기술검토 중이며, 이들 약품도 외국에서 효과가 좋
     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 국내에서는 피투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진드기 구제 약제이며 원료 약품은 플루발리 네이트
     (Fluvalinate)로 사용 시기는 이른봄 1차 내검시부터 월동 포장 직전까지 즉 2월부터 11월까지 꿀벌의
     활동기간에는 항상 사용이 가능하며 가급적 기온이 10도 이상시 사용하며 유밀기에 사용하면 안된다.
  • 최근에는 플루발리네이트(Fluvalinate) 제제를 국내에서 장기간 사용한 결과 내성이 생겨 사용량과 사용횟
     수를 늘려야만 효과가 나타나는 지역이 많아졌음.
  • 내성으로 약효가 떨어질 경우에는 3~4년간 사용을 중지하여 내성 응애가 없어지도록 기다리는 것이 좋고
     이 기간에는 내성이 생기지 않은 다른 약제를 사용하여 꿀벌응애를 구제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임.
  • 근래에 들어서는 벌의 월동전과 월동 직후, 아카시아꿀 채취 직후 등 1년에 3회 이상 구제하지 않는 경우 번
     식력인 강한 응애의 기생으로 인한 양봉 피해가 일부지역에서는 심각한 실정이므로 년 3회 이상 구제를 권
     장함.
 
바. 예방
  • 꿀벌응애는 지금까지 조사된 바에 의하면 5~6월에 최고밀도를 보이며, 아카시아꿀을 따기 위한 이동양봉
    이 끝나고 더운 여름을 보낸 8~9월에 전국적으로 전파되므로 이른봄 즉 월동직후 약제처리를 한번하고, 여
    름 장마철을 지내고 바로 두 번째 약제처리를 한 후에 마지막으로 월동 전에 약제를 처리하는 방법을 치료 
    및 예방방법으로 권장.
  • 아울러 약제방제의 무분별한 남용 및 오용을 줄여 저항성 유발을 최소화 하여야 함.
  • 효과좋은 약제라하여 한가지만 연용하다보면 규정량보다 많은 약제를 사용하는 것은 외부기 생성 응애의 저
     항성을 보다 높게하여 이후의 방제에 보다 많은 약량과 다른 약제를 써야만 하는 악순환을 되풀이 할 수 있
     다. 따라서 사용하는 치료약제를 시기적으로 성분이 다른 약제로 바꿔가며 처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임.

사. 인체에 미치는 영향
  • 사람은 감염되지 않음.

 

꿀벌응애감염증(Infestation Varroa jacobsoni)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꿀벌응애감염증(Infestation Varroa jacobsoni) 저작물은 자유이용을 불가합니다.

목록
  • 담당부서 : 동물위생시험소 질병진단과  
  • 연락처 : 055-254-3031

최종수정일 : 2017-11-22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기생충성질병 메뉴로 이동 (QRCode 링크 URL: http://www.gyeongnam.go.kr/index.gyeong?menuCd=DOM_000000403002001004)
방문자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