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목표
- 감염병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으로 감염병 사전 유행예측
- 감염병 감시 및 보고체계 확립으로 방역대책 수립에 기여
사업개요
- 질병관리청과 공동 및 자체감시망 추가 운영으로 감염병 유행양상 파악
추진계획
-
수인성·식품매개감염병 병원체 감시사업
-
협력병원(최상호소아청소년과, 솔내과, 경상대병원) 내원환자 대변 가검물 검사
- 검사항목 : 세균(10균속 15종) 및 바이러스(5종), 원충(4종)
-
협력병원(최상호소아청소년과, 솔내과, 경상대병원) 내원환자 대변 가검물 검사
-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증 병원체 감시사업
-
협력병원(최상호소아청소년과, 솔내과) 내원 엔테로바이러스환자 대변(직장채변), 뇌척수액, 인후도찰물 가검물 검사
- 검사항목: 엔테로바이러스 유전자(EV/EV71)
-
협력병원(최상호소아청소년과, 솔내과) 내원 엔테로바이러스환자 대변(직장채변), 뇌척수액, 인후도찰물 가검물 검사
-
국가 호흡기바이러스 통합감시(K-RISS)
-
협력병·의원(최상호소아청소년과, 아이비소아청소년과, 김영호내과, 서정철내과) 내원환자의 인후 및 비인두 도찰물 검사
- 검사항목 : 인플루엔자 및 급성호흡기 바이러스
-
협력병·의원(최상호소아청소년과, 아이비소아청소년과, 김영호내과, 서정철내과) 내원환자의 인후 및 비인두 도찰물 검사
-
참진드기 매개감염병 감시망
- 기후변화 등에 따른 매개체전파질환의 확산에 대처하기 위한 참진드기류의 분포 실태조사 및 채집된 참진드기 중 SFTS 원인병원체 보유 여부 검사
-
일본뇌염 유행예측사업
-
진주 지역(호탄동) 우사에서 유문등으로 모기채집
- 일본뇌염 매개모기 분류 및 바이러스 분리
-
진주 지역(호탄동) 우사에서 유문등으로 모기채집
-
흰줄숲모기의 병원체 보유현황 감시
-
플라비바이러스(지카, 뎅기열, 일본뇌염, 황열, 웨스트나일열) 및 토가바이러스(치쿤구니야열) 보유 여부 조사
- 추진방법: 모기채집 트랩 설치→가동(일출시에서 일몰까지)→모기채집→모기 분류→바이러스(6종) 유전자검사
-
플라비바이러스(지카, 뎅기열, 일본뇌염, 황열, 웨스트나일열) 및 토가바이러스(치쿤구니야열) 보유 여부 조사
-
해양환경 내 병원성 비브리오균 유행예측 모니터링
- 비브리오(패혈증, 콜레라) 환자 유행 예측과 주의보 발령을 위한 감시사업
- 창원(진동면), 통영(광도면), 거제시(사등면), 사천(대포동), 고성(회화면), 남해(고현면), 하동(금남면) 등 7개 해안지역의 해수, 갯벌 및 패류 검사
- 담당부서 : 보건환경연구원 감염병연구부 감염병진단팀
- 연락처 : 055-254-2242~2248
최종수정일 : 2024-07-30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