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주요업무보고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체계적인 시설 운영·관리
- 체계적인 시설 점검·관리를 통한 안전하고 쾌적한 청사 환경 조성
- 스마트팜 기반·핵심시설 안정화 및 주변 시설(설비) 정비·개선
시설개요
- 위치 :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임천리 일원
- 조성기간 : 2019년 ~ 2023년(5년)
- 규모 : 22.3ha(핵심시설 10.8ha)
- 조성비 : 953억원(국 576, 도 377)
- 시설현황 : 교육·창업·연구·생산 기능 직접화
- 기반시설 : 단지 내 도로 등 부지, 전기, 용수, 오수처리시설 등
- 핵심시설 : 보육센터(2.6ha), 임대형팜(6.0ha), 실증단지(1.8ha), 지원센터(0.4ha)
추진상황
- 2025년 스마트팜 시설 유지관리 계획 수립 및 시행
- 시설별 연간 점검(검사) 계획·주기표 작성 및 점검 실시
- 스마트팜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기능 보강 및 개선사업 추진
- 소화설비 및 비상조명등 추가, CCTV 추가·정비 등 개선사업 시행 중
- 농업인력자원관리원 시설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수시·법정점검 실시
- 전기, 소방 등 안전관리자 선임(7명) 및 유지관리 용역 시행(13개 분야, 323백만원)
- 안전한 근무 환경 조성을 위한 중대재해예방 시책 추진
- 위험성평가(1회), 특수검진(수시) 등
향후계획
- 스마트팜 시설 안정적 운영을 위한 시설점검·관리
- 안전한 근무·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시설 유지관리(연중)
스마트팜 혁신밸리의 운영 체계 강화
- 스마트팜 전문인력 육성으로 미래농업 성장 동력 확보
- 스마트팜 기자재 기술개발과 AI 데이터 농업 실현으로 디지털 농업 전환
사업개요
- 사 업 비 : 46억원(국비 28, 도비 18)
- 사업내용 : 청년창업 보육센터 및 임대형 스마트팜 운영, 실증단지 및 빅데이터 센터 운영, 지원센터 및 기숙사 운영 등
추진상황
- 청년창업 보육센터 운영 및 교육생 선발 추진(재학 51명, 신규 52명)
- 운영기간 : 연중
- 교육생 수요 맞춤 작물재배 여건 개선* 및 안정적 교육환경 조성
* 고온기 냉방가동 연장(4~6월), 교육생 간담회 실시(상시), 농작업 장비 추가 확보(리프트카 등)※ 청년창업보육과정(20개월) : 입문(이론, 2월) → 교육형실습(현장실습, 6월) → 경영형실습(재배경영, 12월)
- 4기(49명) : 수료('25. 4.)
- 5기(51명) : 경영형실습('25. 5. ~ '26. 4.)
- 6기(52명) : 모집⦁선발('25. 5. ~ 7.), 입문교육('25. 9. ~ 10.), 교육형실습('26. 1. ~ '26. 6.)
- 임대형 스마트팜 운영(11개팀 36명, 3년 임대)
- 임대형팜 입주경영(3년), 청년창업농 컨설팅 지원
- 실증단지 운영(9개 기업 입주) ※ 한국재료연구원 위탁
- 스마트팜 기술·제품 개발 및 실증공간 제공
- 스마트팜 빅데이터 센터 운영(3개 품목 18개 항목 생육조사) ※ 경남TP 위탁
- 작물 생육데이터 수집·분석 및 데이터 활용 표준화·고도화
- 행정지원 및 교육생 주거 안정을 위한 지원센터 및 기숙사 운영(26실)
향후계획
- 청년창업 보육센터 6기 교육생 입문 교육 추진(9~10월)
- 임대형 스마트팜 청년농 컨설팅/디자인 개발 지원사업 추진
고품질 종자생산 및 토종자원 보존 육성
- 농가소득 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고품질 우량종자 생산 및 보급
- 우수한 토종 농업유전자원 수집‧보존으로 미래 농업자원 확보
사업개요
- 사 업 량 : 답·전작 7작물(원종․보급종), 토종 500여 작물
- 답작 : 1작물(벼), 9품종, 14.9ha / 71.5톤
- 전작 : 6작물(보리․밀․콩․고구마․땅콩․참깨), 10품종, 25.65ha / 59.6톤
- 종자은행 운영(4,045점), 토종전시포, 약용포, 증식포 등 조성(1.8ha)
- 사업비 : 15.7억원(국비 6.3, 도비 9.4)
- 사업내용 : 원종․보급종, 원원종(참깨‧땅콩) 생산․공급, 토종종자 보존‧육성
추진상황
- 농가가 선호하는 고품질 우량 벼 종자 생산 및 보급
- 하계작물 종자생산협의회 개최(국립종자원 주관 7개 기관 품종·수량 결정) : '25. 2월
- 벼 종자(9품종, 71.5톤) 생산‧보급을 위한 적기영농 실시 : '25. 4월 ~ 11월
※ 벼 대체작물인 바로미2(가루쌀) 전량 생산‧종자검사 합격으로, 전국 원종생산기관 선도 역할 수행
- 농가선호 전작 동계작물(보리, 밀) 및 하계작물(콩 등 4작물) 우량종자 생산
- 하계작물(7품종, 11톤), 동계작물(3품종, 48.6톤) 생산 : '24. 10월 ~ '25. 11월
- 정부 미보급 종자(고구마‧참깨‧땅콩) 농가 무상보급(3.28톤) : '25. 2월
- 정선 및 종자검사 완료된 우량 종자(벼, 콩) 인도
- 종자검사 합격 및 국립종자원 인도(58.63톤) : '25. 2월
- 토종종자 무상분양을 통한 농가 보급 및 테마 전시포 운영
- 수확, 건조, 정선 후 무상분양(15품종, 1,571kg) : '25. 2월
- 토종 전시포, 약용포, 증식포 등 조성(1.8ha, 700여점) 및 개방
향후계획
- 고품질 종자산업 육성을 위한 우량 벼 및 전작 원종 생산
- 토종농업 유전자원의 안정적 보존‧보급으로 지역농업 활성화
최종수정일 : 2025-08-27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