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형 실습과정 커리큘럼
교육생이 자기 주도적으로 농장을 운영하면서 경영시설 작물 등 필요 보수교육 지원
실습영역 | 경영형 실습과정 주요 내용 | 이론교육 연계교과목 |
---|---|---|
경영관리 |
- 농업경영장부 프로그램 활용 방법 - 경영형 실습과정 평가 및 토론 |
- 입문교육 평가 및 마무리토론 - 농업회계의 이해 |
- SNS 마케팅 / 근로기준법 / 노동력관리 / 인적자원관리 / 농산업취업전략 / 선진유통사례견학 |
- 농산물 유통 및 마케팅의 이해 - 농산물 생산 판매 현장학습 |
|
시설관리 |
- 시설원예 작물과 온실환경제어 기술 - 주간 데이터 입력자료 그래프 작성법 - PH, EC, CO2, 습도, 온도, 유량, 저울값/센서의 표준시약 및 표준치 설정 실습 |
- 온실 환경제어 프로그램 설정 및 실습 |
- 클라우드 기반 프로그램 이용 실습 - 데이터 공유기술 실습 - 난방 및 차광용 스크린갭 설정 기술 - 품목별 데이터 경향 및 특성 비교 발표/데이터 공유폴더 활용법 |
- 온실 환기 개념 및 설정 - -온실 환경제어 프로그램 설정 및 실습 |
|
생물관리 |
- 스마트팜 WiFi 데이터 수집 기기 설치 - 스마트팜 난방기기의 에너지효율 분석 |
- 온실 내 난방, 냉방원리 및 자동화시스템 구축 |
- 온도 습도 CO2 센서 무선설치 실습 - 무선네트워크 설정과 데이터 저장 실습 - 온실에너지 열화상 카메라 테스트 실습 - 열 분포에 따른 균일화 작업 실습 |
-양수분 모니터링 및 급배액관리 | |
- 열림 닫힘 시 갭설정과 무설정 비교 실습 - 습도 조절 스크린 설정 값 비교 실습 - 스마트팜 운영 센서의 보정 기술 |
- 온실 환기 개념 및 설정 | |
- 스마트팜 재배시설 관수시설 관리 | - 스마트팜 관수설비 | |
- 관수 자재의 최신기술 / 드리퍼 막힘 청소의 다양성 실습 | - 병해충 관리 | |
- 농업용 자동제어 활용 실습 | - 농업 전기전자 관리실습 | |
- 모터의 정회전 역회전 회로구성 실습 - 시간 및 온도 컨트롤러 및 자동화 실습 |
- 농산물 생산·판매 현장학습 | |
- 샌드 필터의 성능 실습/ 자외선 소독기술과 화학적 소독기술 | - 온실소독 및 청결관리 | |
- 스마트 무인방제용 분사 노즐 선택 - 무인 방제기의 정역 주행방법/농약 펌프 성능과 노즐의 분사 특성 실습 |
- 스마트팜 온실 자재 선택 | |
- 품목별 농작업 주간 점검표 작성(종자소독, 육묘준비, 파종 등) 컨설팅 - 준비사항 시설점검 및 보완점 |
- 작물재배기초 | |
- 양액 재활용 기기의 성능 비교와 선택 | - 양수분 모니터링 및 급배액관리 최적화 | |
- 광합성 측정과 기공전도도 측정 실습 | - 시설원예 작물생리 | |
- 수확 후 품질관리 및 선도 유지를 위한 관리기술 | - 농산물 수확 후 관리기술 | |
- PAR 측정값과 기공전도도와 증산량 - 광량에 따른 양수분 공급 설정 기술 |
- 작물별 재배 환경관리 | |
품목관리 |
- 파프리카 토마토: 연간 작물관리 총평 - 딸기: 꽃대 꺾기 및 잎 작업 - 오이: 수확, 온실가루이 등 해충 방제 - 멜론: 양액조성 및 관리, 생육조사 |
- 숙기판정 및 수확 |
- 품목별 품종, 모종, 정식 계획 - 딸기: 원원묘 선택과 모종관리 - 오이: 파종 등 육묘준비 - 멜론: 시설점검, 모종관리 |
- 품종선택 - 온실 시설구성 - 파종, 이식, 정식 |
|
- 파프리카: 작기 후반 부 생육관리 - 토마토: 여름철 물관리 및 냉방기술 - 딸기: 수확 및 선별 포장 - 오이: 수확, 가격 비교 - 멜론: 진딧물 바이러스 예방 |
- 숙기 판정 및 수확 | |
- 파프리카: 천적을 이용한 친환경 병해충 방제, 농약안전사용 관리 - 토마토: 생육중기 작물 영양관리 - 딸기: 정식과 정식 후 온도관리 - 오이: 지주세우기 - 멜론: 교배 및 착과, 적과 및 과실 매달기 |
- 병해충 관리 | |
- 파프리카: 고온기 착과 기술 - 토마토: 고온기 스크린 설정기술 - 딸기: 난방개시 후 온실 환기 관리 - 오이: 병해충 예찰 및 방제 - 멜론: 꽃화인, 유인,환경관리 |
- 온실 환경관리 - 병해충 관리 |
|
- 파프리카: 관주용 농약사용법 - 토마토: 바이러스 예방 작물관리 - 딸기: 상토 담기 및 포습, 물관리 - 오이: 유인, 적엽, 적심 등 - 멜론: 유인, 적엽 |
- 온실 환경관리 - 병해충 관리 |
|
- 파프리카: 배액 조사 후 양액 보정 - 토마토: 고온 및 저온 작물관리 - 딸기: 정식 준비 포장 준비 - 오이 멜론: 양액조성 및 환경관리 |
- 본포작업 관리 - 온실 환경관리 - 원수확보 및 재배시스템 선정 |
|
- 파프리카: 작물유인과 적과 적엽 - 토마토 오이 멜론: 발근 촉진과 착과법, 정식묘 환경관리 - 딸기: 런너 받기와 모종 물 관리 |
- 품목별 본포작업 관리 - 온실 환경관리 |
|
- 파프리카: 수확 및 포장 유통 방식 - 토마토: 수확물 선도관리 법 - 딸기: 육묘장 병해충관리 - 오이 멜론: 정식, 묘 환경관리 |
- 병해충 관리 | |
- 파프리카: 정식 후 물 관리 - 토마토: 근권 확보 생육관리 - 딸기: 어미묘 관리 - 오이: 시설소독, 접목 - 멜론: 시설소독 등 품목별 정식관리 |
- 품목별 본포작업 관리 - 온실 환경관리 |
|
- 파프리카: 작기 말 온실 보수 및 개선 - 토마토: 온실 수확 후 청소 및 소독 |
- 온실 시설 구성 - 온실 환경관리 |
|
- 오이 멜론: 수확, 고객 분석과 타겟 선정 |
- 품종 선택
- 파종, 이식, 정식 |
교육형 실습과정 커리큘럼
이론교육에서 학습한 내용을 현장에서 실습 적용함으로현장적응 역량 강화
실습영역 | 경영형 실습과정 주요 내용 | 이론교육 연계교과목 |
---|---|---|
경영관리 |
- 실습농장 현황 파악(규모, 시설, 인력, 생산 판매) - 작물과 농장특성 등 현황 보고서 작성 - 농작업 일지 작성, 농자재, 도구, 설비 용도 및 활용 에너지에 대한 내용, 필요 자재 목록작성 및 자재별 거래처 조사 - 교육형 실습과정 평가 및 경영형 실습과정 계획서 작성 및 토론 |
- 교육실습 계획서 작성 - 품목별 온실운영 시나리오 작성 |
- 당해년도 실습장 품목 출하가격 분석표/투입요소 비용 - 작년 대비 경영분석표 작성 예측 조사서 |
- 농업회계의 이해 - 경영분석과 진단 |
|
- 갈등관리 전략과 전술 - 수출지원 정책과 수출영농 준비 - 선별 및 포장, 물류실습 |
- 경영분석과 진단 - 농산물 마케팅 전략 수립 |
|
시설관리 | - 농장의 전기 설비의 용량 및 전기 사용량 파악하기 | - 농업 전기전자 실습 |
- 실습농장의 환경제어 프로그램 메뉴 - 환기, 난방, 스크린 설정법 작성 - 은실 공기순환과 작물생육 관리방법 작성 - 환경제어프로그램의 이해와 활용방법 실습 |
- 온실 환기 개념 및 설정 - 온실 환경제어 프로그램 설정 및 실습 |
|
- 실습농장의 환경제어 프로그램 메뉴 / 양액기 설정법 | - 온실 환경제어 프로그램 설정 및 실습 | |
- 은실환경제어 프로그램 에러 요인 파악 및 대안 수립 - 실습장 운영 관련 주요 리스크 파악 및 비용 산출 - 실습농장에 사용 중인 주요 ICT센서 조사 - 주요 시설기자재의 이해와 활용방법 토론 |
- 스마트팜 온실 자재와 선택 - 온실 환경제어 프로그램 설정 및 실습 |
|
- 실습 품목별 마이스터 농가 현장학습 - 현장학습 보고서 작성 및 토론 |
- 스마트팜 선도농장 견학 | |
- 수질검사표, 양액조성표 작성 및 센서 보정 - 실습농장 광투과율, 채광성 보고서 작성 - 실습농장 그늘 해소방안 보고서 |
- 온실 환경제어 프로그램 설정 및 실습 | |
- 스마트폰 앱이용 온실관리 기술 - 데이터 수집과 그래프 작성법 |
- 온실 환경제어 프로그램 설정 및 실습 | |
- 미스트를 활용한 온실 냉방기술 - 실습 발전방향 설정하기 |
- 온실 내 난방, 냉방원리 및 자동화시스템 | |
- 공급 주배관 가지배관 드리퍼 용량·전자밸브 개수펌프 용량 파악 | - 온실 환경제어 프로그램 설정 및 실습 | |
- 1개월 급액 및 배액량 조사표 분석 | - 스마트팜 관수설비 | |
- 난방배관 공급, 회수 온도 조사 및 에어밴드 작동점검 결과 보고서 작성 - 누수, 낙수 파악 및 개선 보고서 작성, 침하 조사 - 침수, 배수로 불량, 집중호우 등 재해 대비 예방대책 마련 |
- 농작업 안전사고 예방 - 스마트팜 관수설비 |
|
- 스마트팜과 코딩 | - 데이터활용 의사결정 실습 | |
<외부기관 연계교육> - 스마트팜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방법(전북대) - 스마트팜 IoT이론 및 실습(순천대) - 종자와 품종의 특성 및 개발(국립종자원) - 다양한 온실구조와 수경재배(함양시설원예연구소) |
- 데이터활용 의사결정 실습 - 온실유형 및 기반 시설 - 스마트 수경재배기술 |
|
작물생리 |
- 적엽, 적순, 유인 시 상태변화 사진촬영 비교분석 보고서 작성 - 화방 관찰 개화초기 착과후 사진 |
- 작물재배기초 |
- 증산량 추정을 위한 급액 관리 - 배액량 조사표 작성하기 |
- 양수분 모니터링 및 급배액관리 | |
- 작물관리 모니터링(지상부 및 지하부 작물생장 파악) - 배관설비조사 - 작물생육 및 재배관리 기록의 비교분석 |
- 양수분 모니터링 및 급배액관리 | |
- 실습농장 pH, EC센서 보정 결과 보고 - 급액, 배액량 조사표분석 및 배지 함수율 변화표 작성 |
- 배지의 종류 특성 | |
- 병해충(천적을 이용한 친환경 방제 등) 관리방법 - 방제노즐 특성에 따른 방제효과 농작업 개선 세미나 - 병해충 방제에 활용중인 자재목록 및 사용방법 파악하기 |
- 병해충 관리 | |
- 실습농장의 수확 후 시설 현황파악 및 관리 기술 보고서작성 | - 농산물 수확 후 관리기술 | |
- 각 품목별 마이스터 농가 현장학습 및 보고서 작성 | - 농산물 생산·판매 현장학습 |
청년창업 보육센터 입문교육 커리큘럼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 커리큘럼(교육시간 244h, 필수 180 + 권고 64)
구분 | 교육내용 | 구분 | 교육시간(h) | 비고 | |
---|---|---|---|---|---|
경영관리 | 보육과정 오리엔테이션 | 권고 | 1 | ||
농생명산업의 이해 | 필수 | 2 | |||
변화하는 세계농업 | 필수 | 2 | |||
창농지원 정책 | 필수 | 2 | |||
스마트팜 청년창업 사례 | 필수 | 2 | |||
농산물 생산판매 현장학습 | 권고 | 16 | |||
농업경영의 이해 | 필수 | 2 | |||
농업회계의 이해 | 필수 | 3 | |||
농산물 유통 및 마케팅의 이해 | 필수 | 2 | |||
농산물 수출관리 | 필수 | 2 | |||
가치사술관리 | 권고 | 2 | |||
농산물 마케팅 전략 수립 | 필수 | 2 | |||
경영분석과 진단 | 필수 | 2 | |||
데이터활용 의사결정 실습 | 필수 | 2 | |||
농업 경영 리스크관리 | 필수 | 2 | |||
영농창업 계획서 작성 | 필수 | 2 | |||
교육실습계획 발표 | 권고 | 3 | |||
품목별 온실운영 시나리오 작성 | 권고 | 3 | |||
입문교육 평가 및 마무리 토론 | 필수 | 3 | |||
소계 | 55 * 필수 30 + 권고 25 |
||||
시설관리 | 온실유형 및 기반 시설 | 필수 | 5 | ||
스마트팜 온실 자재와 선택 | 필수 | 5 | |||
온실 내 난방, 냉방원리 및 자동화 시스템 구축 | 필수 | 5 | |||
스마트팜 관수 설비 | 필수 | 4 | |||
온실 환기 개념 및 설정 | 필수 | 4 | |||
농업 전기전자 실습 | 필수 | 4 | |||
은실 환경제어 프로그램 설정 실습 | 필수 | 8 | |||
온실의 소독 및 청결관리 | 권고 | 2 | |||
농작업 안전사고 예방 | 필수 | 2 | |||
스마트팜 선도농장 견학 | 권고 | 14 | |||
소계 | 53 * 필수 37 + 권고 16 |
||||
작물생리 | 작물재배기초 | 필수 | 6 | ||
원예작물의 특성 | 필수 | 3 | |||
스마트 수경재배기술 | 필수 | 3 | |||
배지 종류 특성 | 필수 | 4 | |||
시설원예 작물생리 | 필수 | 6 | |||
온실 환경 제어 기술 | 필수 | 3 | |||
공기의 물리적 특성 | 필수 | 3 | |||
농산물 수확 후 관리기술 | 필수 | 2 | |||
수경재배기술 | 필수 | 3 | |||
양수분 모니터링 및 급배액관리 최적화 | 필수 | 3 | |||
작물별 수경재배와 양액조성 | 필수 | 3 | |||
토양관리 및 미생물 활용 | 권고 | 3 | |||
작물별 재배 환경관리 | 필수 | 3 | |||
작물별 근권부 환경관리 | 필수 | 3 | |||
병해충(천적을 이용한 친환경 방제 등) 관리 | 필수 | 4 | |||
작물 모니터링 | 권고 | 4 | |||
소계 | 56 * 필수 49 + 권고 7 |
||||
품목관리 | 작물별 경제성분석(출하/유통/수출 등) | 필수 | 2 | ||
4개 품목 공통과정 * 토마토, 딸기, 파프리카, 오이 등 |
품종선택 | 필수 | 4 | ||
온실시설 구성 | 필수 | 4 | |||
파종, 이식, 정식 | 필수 | 8 | |||
본포작업 관리 | 필수 | 12 | |||
온실 환경 관리 | 필수 | 8 | |||
원수확보 재배시스템 반영 | 필수 | 4 | |||
숙기 판정 및 수확 | 필수 | 4 | |||
병해충(천적을 이용한 친환경 방제 등) 관리 | 필수 | 12 | |||
생리장해 진단 | 필수 | 8 | |||
농산물 생산판매 현장학습 | 권고 | 16 | |||
소계 | 82 * 필수 66 + 권고 16 |
||||
합계 | 246 * 필수 182 + 권고 64 |
최종수정일 : 2025-09-09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