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방사능 지도

  • 건강지킴이
  • 방사능분야
  • 경상남도 방사능 지도

방사능은 뭔가요?

  • 원자핵은 양성자와 중성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성자와 중성자가 결합하여 원자핵을 형성할 때는 양성자와 중성자의 비율에 의해 안정한 원자핵이 만들어지기도 하고 불안정한 원자핵이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 불안정한 원자핵은 안정한 상태로 옮아가기 위해 스스로 붕괴하면서 방사선(알파, 베타, 전자기파 등)을 방출하는데 방사선을 낼 수 있는 물질을 방사성물질(방사능)이라고 합니다. 방사선과 방사성물질을 태양과 햇빛에 비교하면 태양은 방사성물질에, 햇빛은 방사선에 해당합니다.

방사능지도에 표시되는 방사성물질은 왜 137Cs(세슘)만 있나요?

  • 보통 원자력발전소에서 200종 이상의 방사성물질이 생성되고, 그 중 131I (방사성옥소), 134+137Cs (세슘)인 방사성물질이 가장 많습니다.
  • 방사성물질 영향조사 시, 131I(방사성옥소), 134Cs(세슘), 137Cs(세슘) 등 41개 방사성물질이 검출되는지 공기, 빗물, 해수, 먹는 물, 토양 등 11종 시료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그 결과 137Cs(세슘)는 토양에서 미량 검출되는 반면, 131I(방사성옥소) 및 134Cs(세슘)는 현재까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137Cs(세슘)만을 방사능지도에 표시하였습니다.
    137Cs(세슘)만이 미량 검출되는 것은 과거 해외 선진국의 핵실험 영향(방사능낙진)으로 방사능낙진은 어디에나 존재하기 때문에 안심하셔도 됩니다.

방사능 지도

각 시군명을 클릭하시면 세부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경상남도 지도 창원시 진주시 통영시 사천시 김해시 밀양시 거제시 양산시 의령군 함안군 창녕군 고성군 남해군 하동군 산청군 함양군 거창군 합천군

도내 18개 시‧군 해수, 갯벌, 토양의 137Cs(세슘) 농도('12∼'23년)

단위 : Bq/kg-dry(토양, 갯벌), Bq/L(해수)
도내 18개 시군 토양의 세슘도내 18개 시‧군 토양, 해수, 갯벌의 세슘(137Cs) 농도('12∼'23년)에 대한 표입니다.
순번 지역 구분 137Cs(Bq/kg-dry, L) 상태
1 창원시 해양환경 해수 ND~0.00212 정상(평상범위 이내)
갯벌 ND~1.28 정상(평상범위 이내)
육상환경 토양(평지) ND∼6.34 정상(평상범위 이내)
토양(등산로) 0.86∼20.3 정상(문헌자료 이내)
2 진주시 육상환경 토양(평지) ND∼5.32 정상(평상범위 이내)
토양(등산로) 2.36∼26.9 정상(문헌자료 이내)
3 통영시 해양환경 해수 ND∼0.00228 정상(평상범위 이내)
갯벌 ND~1.68 정상(평상범위 이내)
육상환경 토양(평지) ND∼6.68 정상(평상범위 이내)
토양(등산로) ND∼1.83 정상(문헌자료 이내)
4 사천시 해양환경 해수 ND∼0.00228 정상(평상범위 이내)
갯벌 ND~1.16 정상(평상범위 이내)
육상환경 토양(평지) ND∼6.52 정상(평상범위 이내)
토양(등산로) 5.06∼34.6 정상(문헌자료 이내)
5 김해시 육상환경 토양(평지) ND∼4.13 정상(평상범위 이내)
토양(등산로) ND∼14.0 정상(문헌자료 이내)
6 밀양시 육상환경 토양(평지) ND∼6.01 정상(평상범위 이내)
토양(등산로) 4.08∼25.4 정상(문헌자료 이내)
7 거제시 해양환경 해수 ND~0.00232 정상(평상범위 이내)
갯벌 ND~2.16 정상(평상범위 이내)
육상환경 토양(평지) 0.35∼6.06 정상(평상범위 이내)
토양(등산로) 2.10∼12.7 정상(문헌자료 이내)
8 양산시 육상환경 토양(평지) ND∼16.0 정상(평상범위 이내)
토양(등산로) ND∼25.4 정상(문헌자료 이내)
9 의령군 육상환경 토양(평지) ND∼5.42 정상(평상범위 이내)
토양(등산로) ND∼5.95 정상(문헌자료 이내)
10 함안군 육상환경 토양(평지) ND∼5.59 정상(평상범위 이내)
토양(등산로) ND∼7.51 정상(문헌자료 이내)
11 창녕군 육상환경 토양(평지) ND∼6.37 정상(평상범위 이내)
토양(등산로) ND∼14.2 정상(문헌자료 이내)
12 고성군 해양환경 해수 ND~0.00184 정상(평상범위 이내)
갯벌 ND~1.76 정상(평상범위 이내)
육상환경 토양(평지) ND∼8.55 정상(평상범위 이내)
토양(등산로) ND∼13.7 정상(문헌자료 이내)
13 남해군 해양환경 해수 ND~0.00195 정상(평상범위 이내)
갯벌 ND~2.34 정상(평상범위 이내)
육상환경 토양(평지) ND∼5.52 정상(평상범위 이내)
토양(등산로) 2.56∼38.1 정상(문헌자료 이내)
14 하동군 육상환경 토양(평지) ND∼9.58 정상(평상범위 이내)
토양(등산로) 0.86∼33.9 정상(문헌자료 이내)
15 산청군 육상환경 토양(평지) ND∼6.82 정상(평상범위 이내)
토양(등산로) ND∼19.8 정상(문헌자료 이내)
16 함양군 육상환경 토양(평지) ND∼4.48 정상(평상범위 이내)
토양(등산로) 0.66∼13.5 정상(문헌자료 이내)
17 거창군 육상환경 토양(평지) ND∼9.22 정상(평상범위 이내)
토양(등산로) ND∼15.0 정상(문헌자료 이내)
18 합천군 육상환경 토양(평지) ND∼5.84 정상(평상범위 이내)
토양(등산로) 5.78∼10.8 정상(문헌자료 이내)

※ND(Not Detection, 계측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음)

창원시 토양의 세슘(137Cs) 농도

토양의 세슘(137Cs) 농도('12∼'20년)에 대한 표입니다.
지역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과거 9년('12~'20년)의
137Cs 농도(Bq/kg, L)
최근 3년
2021년 2022년 2023년
창원시 해양환경 해수 마산항5부두 ND~0.00158 - - -
진해항2부두 ND~0.00149 - - -
진해구 ND ND~0.00119 ND~0.00212 ND~0.00177
갯벌 진해구 - 1.28 ND~1.21 ND~1.12
육상환경 토양(평지) 산업단지 ND∼3.01 - - -
농경지 ND∼6.34 - - -
주택단지 ND∼2.07 - - -
기타 ND∼1.80 0.619 0.513 ND
토양(등산로) 등산로 0.86∼20.3 - - -

1. ND(Not Detection, 계측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음)
2. 기타는 솔잎 및 쑥 채취지점의 토양임

진주시 토양의 세슘(137Cs) 농도

토양의 세슘(137Cs) 농도('12∼'20년)에 대한 표입니다.
지역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과거 9년('12~'20년)의
137Cs 농도(Bq/kg, L)
최근 3년
2021년 2022년 2023년
진주시 육상환경 평지 산업단지 ND∼2.16 - - -
농경지 ND∼1.85 - - -
주택단지 0.19∼5.32 - - -
기타 ND~0.963 ND ND 0.912
등산로 등산로 2.36∼26.9 - - -

1. ND(Not Detection, 계측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음)
2. 기타는 솔잎 및 쑥 채취지점의 토양임

통영시 토양의 세슘(137Cs) 농도

토양의 세슘(137Cs) 농도('12∼'20년)에 대한 표입니다.
지역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과거 9년('12~'20년)의
137Cs 농도(Bq/kg, L)
최근 3년
2021년 2022년 2023년
통영시 해상환경 해수 척포항 - - ND~0.00228 ND~0.00194
갯벌 척포항 - - 0.584~1.68 ND~1.37
육상환경 평지 산업단지 ND~4.75 - - -
농경지 0.800~6.68 - - -
주택단지 ND~3.11 - - -
기타 ND~2.33 ND 0.873 1.19
등산로 등산로 ND~1.83 - - -

1. ND(Not Detection, 계측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음)
2. 기타는 솔잎 및 쑥 채취지점의 토양임

사천시 토양의 세슘(137Cs) 농도

토양의 세슘(137Cs) 농도('12∼'20년)에 대한 표입니다.
지역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과거 9년('12~'20년)의
137Cs 농도(Bq/kg, L)
최근 3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사천시 해상환경 해수 삼천포항 - - ND~0.00186 ND~0.00228
갯벌 송포동 - - ND~1.16 ND~0.655
육상환경 평지 산업단지 ND~5.75 - - -
농경지 ND~1.15 - - -
주택단지 ND∼6.52 - - -
기타 ND~2.13 ND 0.604 ND
등산로 등산로 5.06~34.6 - - -

1. ND(Not Detection, 계측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음)
2. 기타는 솔잎 및 쑥 채취지점의 토양임

김해시 토양의 세슘(137Cs) 농도

토양의 세슘(137Cs) 농도('12∼'20년)에 대한 표입니다.
지역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과거 9년('12~'20년)의
137Cs 농도(Bq/kg, L)
최근 3년
2021년 2022년 2023년
김해시 육상환경 평지 산업단지 ND~4.13 - - -
농경지 ND~1.96 ND~1.10 - -
주택단지 ND∼4.97 - - -
김해대학교 - ND∼1.10 ND∼9.20 ND∼0.788
기타 ND~4.13 ND~0.665 - -
등산로 등산로 ND~11.9 ND~14.0 ND~12.6 ND~9.94

1. ND(Not Detection, 계측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음)
2. 기타는 솔잎 및 쑥 채취지점의 토양임

밀양시 토양의 세슘(137Cs) 농도

토양의 세슘(137Cs) 농도('12∼'20년)에 대한 표입니다.
지역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과거 9년('12~'20년)의
137Cs 농도(Bq/kg, L)
최근 3년
2021년 2022년 2023년
밀양시 육상환경 평지 산업단지 ND~1.39 - - -
농경지 ND~6.01 - - -
주택단지 ND∼3.20 - - -
기타 ND~1.55 1.2 0.619 0.901
등산로 등산로 4.08~25.4 - - -

1. ND(Not Detection, 계측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음)
2. 기타는 솔잎 및 쑥 채취지점의 토양임

거제시 토양의 세슘(137Cs) 농도

토양의 세슘(137Cs) 농도('12∼'20년)에 대한 표입니다.
지역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과거 9년('12~'20년)의
137Cs 농도(Bq/kg, L)
최근 3년
2021년 2022년 2023년
거제시 해양환경 해수 해수 ND~0.00232 ND~0.00175 ND~0.00221 ND~0.00212
갯벌 갯벌 ND~2.16 ND~1.49 ND~1.09 ND~1.12
육상환경 토양(평지) 산업단지 0.96~3.04 - - -
농경지 0.91~2.60 - - -
주택단지 0.43~6.06 - - -
기타 0.35~2.41 0.572 1.03 ND
토양(등산로) 등산로 2.1~12.7 - - -

1. ND(Not Detection, 계측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음)
2. 기타는 솔잎 및 쑥 채취지점의 토양임

양산시 토양의 세슘(137Cs) 농도

토양의 세슘(137Cs) 농도('12∼'20년)에 대한 표입니다.
지역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과거 9년('12~'20년)의
137Cs 농도(Bq/kg, L)
최근 3년
2021년 2022년 2023년
양산시 육상환경 평지 산업단지 ND∼0.45 - - -
농경지 ND∼6.65 - - -
주택단지 ND∼1.12 - - -
웅상정수장 ND∼8.50 0.845~3.55 - -
영천초등학교 ND∼5.15 - - -
삼호34근린공원 ND∼16.0 0.616~8.36 - -
금산근린공원 - ND~7.64 - -
원동자연휴양림 - ND~1.14 - -
천성사 주변 - - ND~1.19 ND~1.15
기타 ND∼5.90 ND∼2.13 - -
등산로 등산로 ND∼25.4 ND∼18.5 ND∼5.92 ND∼21.4

1. ND(Not Detection, 계측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음)
2. 기타는 솔잎 및 쑥 채취지점의 토양임

의령군 토양의 세슘(137Cs) 농도

토양의 세슘(137Cs) 농도('12∼'20년)에 대한 표입니다.
지역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과거 9년('12~'20년)의
137Cs 농도(Bq/kg, L)
최근 3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의령군 육상환경 평지 산업단지 ND~5.42 - - -
농경지 ND~4.48 - - -
주택단지 ND~1.68 - - -
기타 ND~5.10 ND 1.45 2.82
등산로 등산로 ND~5.95 - - -

1. ND(Not Detection, 계측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음)
2. 기타는 솔잎 및 쑥 채취지점의 토양임

함안군 토양의 세슘(137Cs) 농도

토양의 세슘(137Cs) 농도('12∼'20년)에 대한 표입니다.
지역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과거 9년('12~'20년)의
137Cs 농도(Bq/kg, L)
최근 3년
2021년 2022년 2023년
함안군 육상환경 평지 산업단지 ND~2.53 - - -
농경지 ND~5.59 - - -
주택단지 ND~1.02 - - -
광산지역 4.33~5.42 - - -
기타 ND~0.8 1.92 1.57 ND
등산로 등산로 ND~7.51 - - -

1. ND(Not Detection, 계측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음)
2. 기타는 솔잎 및 쑥 채취지점의 토양임

창녕군 토양의 세슘(137Cs) 농도

토양의 세슘(137Cs) 농도('12∼'20년)에 대한 표입니다.
지역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과거 9년('12~'20년)의
137Cs 농도(Bq/kg, L)
최근 3년
2021년 2022년 2023년
창녕군 육상시료 평지 산업단지 ND~4.43 - - -
농경지 ND~6.37 - - -
주택단지 ND~1.29 - - -
기타 ND~1.05 ND ND ND
등산로 등산로 ND~14.2 - - -

1. ND(Not Detection, 계측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음)
2. 기타는 솔잎 및 쑥 채취지점의 토양임

고성군 토양의 세슘(137Cs) 농도

토양의 세슘(137Cs) 농도('12∼'20년)에 대한 표입니다.
지역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과거 9년('12~'20년)의
137Cs 농도(Bq/kg, L)
최근 3년
2021년 2022년 2023년
고성군 해양환경 해수 외산항 - - - ND~0.00184
갯벌 외산항 - - - ND~1.76
육상환경 평지 산업단지 ND~4.09 - - -
농경지 ND~6.68 - - -
주택단지 ND~3.94 - - -
광산지역 1.76~7.58 - - -
기타 0.68~8.55 0.822 ND 1.34
등산로 등산로 ND~13.7 - - -

1. ND(Not Detection, 계측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음)
2. 기타는 솔잎 및 쑥 채취지점의 토양임

남해군 토양의 세슘(137Cs) 농도

토양의 세슘(137Cs) 농도('12∼'20년)에 대한 표입니다.
지역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과거 9년('12~'20년)의
137Cs 농도(Bq/kg, L)
최근 3년
2021년 2022년 2023년
남해군 해양환경 해수 해수 ND~0.00193 ND~0.00170 ND~0.00195 ND~0.00179
갯벌 갯벌 ND~2.34 ND~2.25 ND~0.830 ND~0.729
육상환경 토양(평지) 산업단지 ND~1.58 - - -
농경지 0.62~5.52 - - -
주택단지 0.46~4.24 - - -
기타 ND~1.13 ND 1.05 3.84
토양(등산로) 등산로 2.56~38.1 - - -

1. ND(Not Detection, 계측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음)
2. 기타는 솔잎 및 쑥 채취지점의 토양임

하동군 토양의 세슘(137Cs) 농도

토양의 세슘(137Cs) 농도('12∼'20년)에 대한 표입니다.
지역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과거 9년('12~'20년)의
137Cs 농도(Bq/kg, L)
최근 3년
2021년 2022년 2023년
하동군 육상환경 평지 산업단지 1.30~9.58 - - -
농경지 ND~3.56 - - -
주택단지 0.47~1.51 - - -
기타 ND~1.43 ND ND ND
등산로 등산로 0.86~33.9 - - -

1. ND(Not Detection, 계측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음)
2. 기타는 솔잎 및 쑥 채취지점의 토양임

산청군 토양의 세슘(137Cs) 농도

토양의 세슘(137Cs) 농도('12∼'20년)에 대한 표입니다.
지역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과거 9년('12~'20년)의
137Cs 농도(Bq/kg, L)
최근 3년
2021년 2022년 2023년
산청군 육상환경 평지 산업단지 ND∼4.79 - - -
농경지 1.78~6.82 - - -
주택단지 ND∼5.35 - - -
광산지역 1.70~5.21 - - -
기타 ND~2.54 1.09 0.49 1.3
등산로 등산로 ND~19.8 - - -

1. ND(Not Detection, 계측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음)
2. 기타는 솔잎 및 쑥 채취지점의 토양임

함양군 토양의 세슘(137Cs) 농도

토양의 세슘(137Cs) 농도('12∼'20년)에 대한 표입니다.
지역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과거 9년('12~'20년)의
137Cs 농도(Bq/kg, L)
최근 3년
2021년 2022년 2023년
함양군 육상환경 평지 산업단지 ND~4.31 - - -
농경지 ND~4.48 - - -
주택단지 0.52~1.59 - - -
기타 ND~1.69 ND ND 0.875
등산로 등산로 0.66~13.5 - - -

1. ND(Not Detection, 계측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음)
2. 기타는 솔잎 및 쑥 채취지점의 토양임

거창군 토양의 세슘(137Cs) 농도

토양의 세슘(137Cs) 농도('12∼'20년)에 대한 표입니다.
지역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과거 9년('12~'20년)의
137Cs 농도(Bq/kg, L)
최근 3년
2021년 2022년 2023년
거창군 육상환경 평지 산업단지 ND~1.08 - - -
농경지 ND~9.22 - - -
주택단지 0.51~2.30 - - -
광산지역 0.80~1.14 - - -
기타 0.46~0.52 ND ND 0.844
등산로 등산로 ND~15.0 - - -

1. ND(Not Detection, 계측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음)
2. 기타는 솔잎 및 쑥 채취지점의 토양임

합천군 토양의 세슘(137Cs) 농도

토양의 세슘(137Cs) 농도('12∼'20년)에 대한 표입니다.
지역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과거 9년('12~'20년)의
137Cs 농도(Bq/kg, L)
최근 3년
2021년 2022년 2023년
합천군 육상환경 평지 산업단지 ND~2.53 - - -
농경지 0.45~4.19 - - -
주택단지 0.73~5.84 - - -
광산지역 ND~0.94 - - -
기타 0.99~1.53 ND 0.809 1.25
등산로 등산로 5.78~10.8 - - -

1. ND(Not Detection, 계측하였으나 검출되지 않음)
2. 기타는 솔잎 및 쑥 채취지점의 토양임

134Cs와 137Cs 동시검출(인공 방사성물질 영향), 137Cs만 검출(방사능낙진 영향)인공 방사성물질 또는 방사능낙진 분류기준 : 134Cs와 137Cs 반감기 차이 137Cs 평상 범위 평상범위(전국평지): 불검출~29.7 Bq/kg-dry(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12~’18년) 문헌자료(등산로): 13.2~103 Bq/kg-dry(한국방사선폐기물학회, ‘14년)
부연 설명
  • 134Cs(세슘) 및 137Cs(세슘) 특성

    • 134Cs와 137Cs 원자번호가 같아 환경에서 거동 동일
    • 두 핵종 모두 핵분열(예: 원전, 연구형원자료, 핵실험 등)에 의해서만 발생
    • 두 핵종의 유일한 차이는 반감기(134Cs 2년, 137Cs 30년)
      • 반감기란 방사능이 반으로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 134Cs 기준 137Cs는 15 반감기 차이)
      • 초기에 같은 양(예: 100 Bq)의 134Cs와 137Cs이 동시에 방출되었고, 30년이 지난 후에 137Cs 농도는 50 Bq이고 134Cs 농도는 0.0031 Bq로 감소된다는 뜻임
    • 예시) 반감기와 방사능농도
      134Cs(세슘) 및 137Cs(세슘) 특성에 대한 예시 반감기와 방사능농도(핵종(반감기),방사능 농도(Bq),초기,2년후,4년후,30년후) 표입니다.
      핵종(반감기) 방사능 농도(Bq)
      초기 2년후 4년후 30년후
      134Cs(2년) 100 50 25 0.0031
      137Cs(30년) 100 95.5 91.2 50
  • 134Cs 및 137Cs 검사결과

    • 134Cs와 137Cs 동시검출
      •  최근에 국내․외 원전사고로 방사성물질이 유출되었거나 핵실험이 있었다고 판단(인공 방사성물질 영향)
    • 137Cs만 검출
      •  해외 선진국에서 1950~1960년도에 집중적으로 수행한 핵실험 영향(방사능낙진 영향)







최종수정일 : 2024-08-23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경상남도 방사능 지도 메뉴로 이동 (QRCode 링크 URL: http://www.gyeongnam.go.kr/index.gyeong?menuCd=DOM_000001703001006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