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강소연구개발특구

  • 투자·산업
  • 경남 강소연구개발특구
  • 창원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역이 주도하는 혁신성장, 강소형 혁신생태계 구축!

지역혁신 성장의 플랫폼

※ Wi-Fi가 아닌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상태에서 동영상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강소개발특구 홍보영상입니다.

추진 배경 및 필요성
급변하는 기계산업의 환경변화
아래참고

기계산업성장둔화
  • 기존 자동차·조선산업의 침체
  • 주요 제조업 생산지수 하락
  • 대기업 중심의 수직 계열화 생산

산업구조의 혁신 필요


4차 산업혁명
  •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5G통신, 가상현실, 증강현실, AI, 자율주행차, 드론
  • 3D프린팅

초연결&자율적 자동화 시대

화살표 지능전기 기반 기계 융합산업 육성 필요성 제기
강소특구 지정 지역 및 조성계획
기술핵심기관 및 배후공간
  • 총면적 : 0.65㎢
    • R&D 융합지구 0.22㎢, 창원국가산업단지 확장지역 : 0.43㎢
    • R&D 융합지구 0.22㎢, 창원국가산업단지 확장지역 : 0.43㎢ 지도
    • 개발제한구역 해제 후 추가 지정(0.2㎢) 지도
  • 기술핵심기관 : 한국전기연구원
    • 스마트 전력시스템, 지능형 전기기계, 첨단 전기소재부품 기술 기반 고부가가치 전기기계산업으로 전환
      • 전력설비

        (차단기, 변압기, ESS, PCS 등)

      • 전력관리 시스템

        (EMS,BEMS,HEMS)

      • 전기추진기계

        (전기차, 전기선택등)

      • 생산기계

        (공작기계, 30프린터 등)

      • 전기의료기계

        (내시경, X-lay, MRI 등)

      • 전기기계부품

        (모터, 액추에이터, 전지 등)

      • 전기변환소재부품

        암전소자,열전소자,스마트센서

      • 전기응용소재부품

        전국, 절연체, 발연체, 전자기파발생장치 등

  • 특화분야 : 지능전기 기반 기계융합
단계별 실행계획
단계별 실행계획 1단계(2019년 특구 지정(중장기 육성계획수립)→기업지원센터 구축(기업 입주공간 확보 기술지원 거점마련))2단계(2020~2021년 재발제한구역해제→불모산동 배후공간 추가지정(창원 강소연구 개발 특구 운영체제완성(국내외 협력네트워크 등))3단계 (2022년 이후 전기기계융합단지개발 → 창원형 혁신생태계완성(기업부성연구소 집적화 국내외 우수연구소,대학 유치 시험평가 및 실증연구 환경 조성)) 2단계 전기기계융합연구단지 조성,3단계시험평가 및 실증연구 베드 구축
  • 1단계
    • 2019년 : 특구지정 - 중장기육성계획수립
  • 2단계
    • 2020년 ~2021년 :기업지원센터 구축- 기업입주공간확보 기술지원 거점마련/ 개발제한구역해제 → 불모산동 배후공간 추가지정 - 창원강소연구개발특구운영체제완성(국내외협력네트워크 등)→전기기계융합연구단지조성 → 시험평가 및 실증 연구 테스트 베트 구축
  • 3단계
    • 2022년 이후:전기기계융합연구단지개발 → 창원형 혁신생태계완성 - 기업부설연구소 집적화 국내외 우수 연구소, 대학 유치시험 평가 및 실증 연구 환경 조성 → 시험평가 및 실증 연구 테스트 베트 구축
육성전략
육성전략
  • 지역수요기반 연구개발
    • 기계산업기술수요
    • 창원시 산업 정책(IINBEC)
    • KERI 기술정책
  • 지능형 전기기계 산업 Vlaue Chain구축
    • 소재부품
    • 전기기계
    • 전력시스템 결합
  • 기술사업화 전주기 원스톱 서비스 제공
    • KERI의 순서
    • 기술개발 →
    • 제품개발 →
    • 시험인증 →
    • 시험인증 →
    • 창업지원 →
    • 사업화 지원 →
  • 기술사업화 단계별 기업 입주공간 제공
    • Start-up(창업) - 기술창업센터
    • Ramp-Up(제품개발) -전기기계융합연구단지
    • Speed-Up(사업화) - 첨단특화산업단지
    • Power-Up(성장) - 창원국가산업단지
목표 및 기대효과
  • 성과목표

    R&D 및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
    • 매출액 : 300억원
    • 일자리 : 370명
    • 창업기업 : 20개
    • 투자연계액 : 50억원
    • 연구소기업 : 48개
  • 지역산업 혁신

    • 기계산업
      지능전기 기계산업
    • 제조거점
      산업거점(R&D+제조+서비스)
    • 대기업 의존형 중소기업
      글로벌 강소기업
  • 경제적 효과

    • 부가가치유발 : 2,424억원
    • 고용유발 효과 : 2,857명
    • 생산유발효과 : 5,268억원
  • 담당부서 : 산업국 산업정책과  
  • 연락처 : 055-211-3011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0 / 100
방문자 통계 S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