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성전투

연안성전투

임진왜란 때 초토사(招討使) 이정암(李廷馣)이 의병을 이끌고 연안성(延安城)에서 구로다(黑田長政)의 군대를 맞아 싸워 크게 이긴 싸움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 이조참의로 재직한 이정암은 선조가 서행(西行:피난)을 단행하자 뒤늦게 그 사실을 알고 왕을 뒤쫓아 개성에 도착하였으나 이미 해직된지라 개성유수(開城留守)로 있는 아우 정형(廷馨)과 함께 개성을 지키려 하였다. 그러나 임진강의 방어선이 무너지자 개성을 지킬 수 없음을 알고 연안으로 들어갔다.
전일 부사로 있을 때 유애(遺愛)가 있어 부민(府民)들이 모여들었고, 조종남(趙宗男) 이하 수십 명이 창의할 것을 권하였다. 이정암은 권고를 즉각 받아들여 약서책(約誓冊)에 의병자원자의 성명을 적고, 1592년 8월 초순경에는 의병조직을 끝냈다.
왕세자로부터 초토사의 임명을 받은 이정암은 의병약속(義兵約束)으로,

① 적진에 임하여 패하여 물러가는 자는 참수한다.
② 민간에게 폐를 끼치는 자는 참수한다.
③ 주장(主將)의 일시의 명령이라도 어기는 자는 참수한다.
④ 군기를 누설한 자는 참수한다.
⑤ 처음에 약속하였다가 후에 가서 배반하는 자는 참수한다.
⑥ 논상할 때 적을 사살한 것을 으뜸으로 하고 목을 베는 것을 그 다음으로 한다.
⑦ 적의 재물을 얻은 것은 전부 상금으로 준다.
⑧ 남의 공을 빼앗은 자는 비록 공이 있다 해도 상을 주지 아니한다는 8개항을 제시한 뒤 연안성을 사수할 것을 결의하고 500여명의 의병을 조련(操鍊)시켰다.

8월 22일 입성할 때 성안의 민가는 모두 비어 있었으나 성을 지킨다는 소식을 듣고 피란갔던 사람들이 속속 들어왔고 도망하였던 부사도 돌아왔다. 그러나 입성한 지 채 5일이 안되어서 해주에 본거지를 두었던 일본장군 구로다가 5,000 ~ 6,000명의 군대를 이끌고 침입하여 8월 27일부터 9월 2일까지 치열한 공방전이 벌어졌다.

결국 이 싸움에서 일본군은 대패하여 무수한 인명피해, 병기ㆍ군량 등의 손실을 보았다. 초토사 이정암은 대첩의 상보(詳報)를 올리지 않고 단지 “모일(某日)에 성을 포위하였다가 모일에 풀고 갔다(某日圍城某日解去)”라는 여덟 글자만 행재소에 전하였으나, 사실이 곧 알려지게 되어 초토사 이하 유공 장병에게 상직(賞職)을 주고 특히 이정암은 본도 순찰사에 임명되었다.
연안대첩으로 연안 이북 연해 10여읍 유산민(流散民)들이 각기 본가로 돌아갈 수 있었고, 도피하였던 수령들도 본읍으로 돌아갈 수 있었으며, 단절되었던 양호(兩湖) 명맥이 이 연안성을 통하여 행재소와 내왕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