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성전투

진주성전투

임진왜란 때 진주에서 있었던 두 차례의 큰 전투이다.

제1차 전투는 1592년(선조 25) 10월 5일부터 11일까지 7일간 계속되었다.
왜군은 진주가 전라도로 가는 경상우도의 대읍이며, 또한 경상우도의 주력군이 진주에 있다는 것을 알고 진주성의 공격계획을 세웠다. 적장 하세가와(長谷川秀一)ㆍ나가오카(長岡忠興) 등은 9월 24일 군사 2만명을 동원, 집결지 김해를 떠나 노현(露峴)ㆍ창원ㆍ함안을 거쳐 마현(馬峴)과 불천(佛遷)으로 나누어 쳐들어왔다. 이와 같은 적정에 접한 경상우도순찰사 김성일(金誠一)은 각지에 원군을 요청하였다. 이때 진주에는 목사 김시민(金時敏)이 이끄는 군사 3,700여명과 곤양군수 이광악(李光岳)의 군사 100여명밖에 없었다.

10월 5일 적의 선봉 1,000여 기(騎)가 진주 동쪽 마현의 북봉에 출현하자, 김성일은 남녀노소까지 동원, 무장시켜 적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6일 적군은 3분하여 1대는 동문 밖 순천당(順天堂) 산 위에 진을 치고 성을 내려다보며, 1대는 개경원(開慶院)으로부터 동문을 지나 봉명루(鳳鳴樓) 앞에 진을 치고, 또 1대는 향교 뒷산에서 똑바로 순천당을 지나서 봉명루 앞에 있는 적군과 합세하였다. 이들 조총수들은 성안을 향하여 총포를 난사하며 초막을 짓고, 밤에는 불을 피워 기세를 올렸다. 그날 밤 곽재우(郭再祐)는 심대승(沈大升)을 보내어 의병 200여명을 이끌고 향교 뒷산에 올라가서 횃불을 들고 뿔피리〔呼角〕를 불면서 적의 배후를 위협하였다.

7일 적은 종일 총탄과 화살을 발사하였고, 8일에는 공격용의 죽제(竹梯)와 3층이나 되는 산대(山臺:飛樓)를 만들어 침공하여왔다. 이에 김시민은 현자포(玄字砲)를 발사하거나 적이 성못〔城濠〕을 메우기 위하여 수집한 솔가지와 죽제를 짚으로 묶은 화약에 불을 붙여 성밖에 던져 불사르고, 또 이동하는 산대도 자루가 긴 도끼와 낫으로 파괴하면서 적을 무찔렀다.
또한, 고성의 임시현령 조응도(趙凝道)와 진주의 복병장 정유경(鄭惟敬)은 야음을 이용하여 군사 500여명을 이끌고 와서 진현(晉峴)고개 위에 올라가서 적을 위협하였다.

9일에는 성밖에 머물러 있던 합천가장(陜川假將) 김준민(金俊民)정기룡(鄭起龍)ㆍ조경형(曺慶亨)이 일본군과 대결하였으며, 의병장 최경회(崔敬會)ㆍ임계영(任啓英)이 구원병 2,000여명을 이끌고 와서 적을 견제하였다. 10일 사경초(四更初)에 적군은 2대로 나누어 1대는 북문 밖으로 쳐들어오고 1대는 동문을 공격하여왔다. 이들은 긴 사다리를 타고 성벽을 올라오려고 하였으며, 그뒤에 기병 1,000여명이 조총을 난사하면서 돌진하였다. 이때 김시민은 동문 북쪽에서 판관 성수경(成守慶)은 동문 옹성(甕城)에서 군사를 지휘하였는데, 활ㆍ진천뢰(震天雷)ㆍ질려포(질藜砲)ㆍ돌과 불에 달군 쇠붙이, 끓는 물과 짚에 불을 붙여 던지기도 하면서 사력을 다하여 적의 공격을 무찔렀다.

한편, 북문 쪽에서는 전 만호 최득량(崔得良)과 목사의 군관 이눌(李訥)이 분전하였고, 목사 김시민이 적의 탄환에 맞아 쓰러지자 곤양군수 이광악이 대신 작전을 지휘하여 많은 적을 살상하고 무찔렀다. 이 싸움은 임진왜란 중 3대첩(三大捷)의 하나로 큰 전과를 올린 싸움이었다.

제2차 전투는 1593년 6월 20일부터 29일까지 10일간 계속되었다.
명나라와 일본이 화의를 진행하고 있을 때 경상남도 일대를 본거지로 삼고 있던 왜군은 앞서 김시민에 의한 패전을 설욕하고, 한편으로는 강화에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자는 목적으로 다시 진주를 공격하여왔다. 이때 명나라는 회담을 이유로 싸움을 회피하고, 도원수 김명원(金命元), 전라순찰사 권율(權慄) 등이 조정의 명으로 의령에 도착하였으나, 적의 기세에 눌려 후퇴하였다.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이 발분하여 경상우병사 최경회, 충청병사 황진(黃進), 의병장 고종후(高從厚), 사천현감 장윤(張潤) 등과 함께 군사를 거느리고 진주성에 들어가 앞서 입성한 김해부사 이종인(李宗仁) 등과 합세하고, 이어 의병장 강희열(姜希悅)이 도착하였다. 이때 군사는 수천명에 불과하였고, 일반 성민은 6만 ~ 7만명이나 되어 적의 대군과 싸우기에는 전투력이 크게 부족하였다. 거기에다 목사 서예원(徐禮元)은 명장접대차사원(明將接待差使員)으로 오랫동안 상주에 있다가 적의 소식을 듣고 진주로 급히 돌아와 미처 조처를 취할 여유도 없었고, 김천일이 지휘를 담당하니 주객(主客)간에 어색한 점도 많았다.

적은 6월 21일 진주성을 포위하고, 22일부터 본격적인 공방전이 전개되었다. 성안에서는 부대를 편성하여 구역을 나누어 성을 지키고, 황진ㆍ이종인ㆍ장윤 등은 각기 군사를 이끌고 돌아다니며 응원하는 임무를 맡았다.
25일 적은 동문 밖에 흙을 모아 높은 언덕(土山)을 만들고, 그 위에 흙집[土屋]을 지어 성을 내려다보고 탄환을 발사하기 시작하였다. 성안에서도 민중들의 협조를 얻어 높은 언덕을 마주 만들어 거기서 현자포를 쏘아 적굴(敵窟)을 격파, 항전하였다.

26일 적은 목궤(木櫃)에다 생피(生皮)를 두르고 이로써 탄환과 화살을 막으면서 자성(子城)을 헐기 시작하였다. 성위에서는 큰 돌을 굴려 내리고 화살을 내리퍼부었다.
27일 적은 다시 철갑을 두르고 철추(鐵椎)를 사용하여 성을 헐기 시작하였다. 이종인이 뛰어난 완력으로 연달아 적 5명을 죽이니 적은 잠시 물러갔다. 적은 성의 밑뿌리를 파서 성을 무너뜨릴 심산이었고, 성안에서는 이를 막는 데 사력을 다하였다. 적의 시체는 성 밖에 삼대[麻]와 같이 깔려 있었지만, 적은 단념하지 않았다.
28일 큰비가 내려 성이 허물어지기 시작하였다. 황진은 탄환에 맞아 전사하고 장수들은 동분서주하며 성을 지키려고 안간힘을 썼다.

29일 적은 소가죽[牛皮]을 여러 장 덮은 구갑차(龜甲車)를 동원하여 동문 성벽 밑에 접근하고 무너진 성벽으로 난입하였다. 이종인은 군사와 더불어 활을 버리고 창과 칼로써 처참한 백병전을 전개하였다. 김천일ㆍ고종후ㆍ최경회 등은 촉석루(矗石樓)에서 북향재배한 뒤 남강(南江)에 몸을 던져 자결하였다.
한편, 이종인ㆍ김준민ㆍ이잠(李潛) 등은 성안에 있는 남녀들과 칼을 휘두르며 시가전〔巷戰〕을 폈으나 역부족으로 장렬한 최후를 마쳤다. 이종인은 죽을 때 양쪽 겨드랑이에 적 1명씩을 끼고 남강에 뛰어들어 순사하였다. 또한, 의비 논개(論介)가 촉석루에서 적장을 안고 남강에 투신하였다는 전설이 전하고 있다.
적은 비록 진주성을 함락시키기는 하였으나 그로 인한 손실도 막대하여 더 이상 전진하지도 못하고 철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