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해전

노량해전

1598년(선조 31) 11월 19일 이순신(李舜臣)과 진린(陳麟)이 이끄는 조ㆍ명연합함대가 노량 앞바다에서 왜군을 크게 무찌른 해전이다. 임진왜란중 바다에서의 마지막 싸움이며, 이순신이 승리와 함께 전사한 해전이다.

1597년 재침한 왜군은 그해 9월 명량해전(鳴梁海戰)에서 패배한 데 뒤이어 육전에서도 계속 고전하던 중 다음해 8월 도요토미(豊臣秀吉)가 병사하자, 순천 등지로 집결하면서 철수작전을 서둘렀다.
이 소식을 접한 이순신은 명나라 수군도독(水軍都督) 진린과 함께 1598년 9월 고금도 수군진영을 떠나 노량근해에 이르렀다. 명나라 육군장 유정과 수륙합동작전을 펴 왜교(倭橋)에 진을 치고 있는 왜군 고니시(小西行長)의 부대를 섬멸하기 위함이었다. 그때 고니시는 수륙양면으로 위협을 받게 되어 진린에게 뇌물을 바치고, 퇴로를 열어줄 것을 호소하였다. 이에 진린은 고니시가 마지막으로 애원하는 통신선 1척을 빠져나가게 하고, 이순신에게 그 사실을 알렸다.
해군사관학교에 있는 노량해전도 모습 노량해전도 - 해군사관학교

고니시는 통신선으로 사천(泗川) 등지의 시마쓰(島津義弘)와 연락하여 남해ㆍ부산 등지에 있는 그들 수군의 구원을 받아 조ㆍ명연합수군을 협격하면서 퇴각하려는 심산이었다. 그러한 전략을 잘 알고 있는 이순신은 진린을 꾸짖고 함께 진형을 재정비하여 왜군을 맞아 격멸하기로 하였다.

11월 18일 밤 이순신이 예견한 대로 노량수로와 왜교 등지에는 500여척의 왜선이 집결하여 협격할 위세를 보였다. 200여척의 조ㆍ명연합수군을 거느린 이순신은 전투태세에 들어가 19일 새벽, 싸움은 막바지에 이르고 이순신과 진린은 서로 위급함을 구하면서 독전하자 200여 척의 왜수군이 분파(焚破)되고 패잔선 50여척이 겨우 달아났다. 이순신은 관음포(觀音浦)로 마지막 도주하는 왜군을 추격하던 중 총환을 맞고 쓰러지자 "싸움이 급하니 내가 죽었다는 말을 하지 말라(戰方急愼勿言我死)"는 세계사상 길이 빛나는 유언을 남기고 숨을 거두었다.

이 해전에서 명나라장수 등자룡(鄧子龍)과 가리포첨사(加里浦僉使) 이영남(李英男), 낙안군수(樂安郡守) 방덕룡(方德龍) 등이 전사하였다. 한편, 순천 왜교에서 봉쇄당하고 있던 고니시의 군사들은 남해도 남쪽을 지나 퇴각하여 시마쓰의 군과 함께 부산에 집결, 철퇴하였으며 노량해전을 끝으로 정유재란은 막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