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은 이렇습니다

  • 경남소식
  • 보도해명자료
  • 사실은 이렇습니다

경남 밀양 상생형 지역일자리 관련 설명자료(경남매일 7.15일자 보도)

  • 조회 : 4922
  • 등록일 : 19.07.15

제목 : 경남 밀양 상생형 지역일자리 관련 설명자료

(경남매일 7.15일자 보도)

715일 경남매일 경남형 일자리는 왜 못 뜨나 기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1. 기사 내용

광주형 일자리에 이어 경북 구미형 일자리가 제2의 광주형 일자리로 급부상하면서 경남형 일자리는 터덕거리고 있으며, 밀양 주물공단은 도내에서 도내(진해 마천밀양 하남)로 이전하는 것이며, 친환경 주물공장 조성 등에 대한 상생협약일 뿐 의미부여가 지나침.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구미 방문하여 상생형 지역일자리 적극 참여 의지표명을 감안, 경남도는 생생형 일자리 모델을 조속히 마무리 지어야 한다는 여론이 강하게 일고 있음.

 

2. 해당 보도에 대한 경남도의 입장

‘19. 2. 21. 정부발표 자료에 따르면 상생형 지역일자리는 지역·산업·기업 특성에 따라 다양한 유형이 가능하며 크게 임금 협력형투자 촉진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밀양은 투자 촉진형 일자리 유형으로, ‘투자 촉진형은 생산성이 저조하고 입지확보 등에 애로를 겪는 중소·중견 기업이 신속히 투자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일정규모 이상의 신규투자와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음. 경남 밀양 상생형 지역일자리는 ···정이 상생협약을 통해 주물기업의 신속한 이전, 주민 수용성 제고, 작업환경 개선과 친환경 스마트 공장 도입 등 입지, 환경, 노동 등의 다양한 지속 가능성을 확보함으로써 모두가 만족하는 산업단지를 구현하고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모델이며, 2024년까지 3,500억원 이상의 직접투자와 500여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 됨.

정부는 국가균형발전법이 개정되면 상생형 지역일자리 지원요건·절차 등을 수립하여 지자체로부터 지원 신청을 받을 예정이며, 올해 3분기(7~9)광주형 일자리에 이은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로 2~3곳을 추가 선정할 계획에 있음.

경남 밀양 상생형 지역일자리 관련 설명자료(경남매일 7.15일자 보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경남 밀양 상생형 지역일자리 관련 설명자료(경남매일 7.15일자 보도)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록
  • 담당부서 : 경상남도 민원 콜센터
  • 연락처 : 055-120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0 / 100
방문자 통계 S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