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미래, 젊은이의 꿈! 경남창원스마트산단으로 이뤄내겠습니다.
추진 배경 및 필요성
- 산업단지는 제조업 최대 집적지로 지난 50년간 산업화와 지역 경제성장을 견인
- 성장잠재력 약화, 인프라 부족 노후화, 청년인력 근무기피 등으로 지속성장 한계직면
- 대기업 의존적 구조로 중소기업 경쟁력 부족 및 주력산업의 ICT융합화 수준 저조
- 기존 제조업과 산업단지의 새로운 혁신 비즈니스 모델 창출 요구

스마트산단이란?

비전 및 전략

키워드 | Future(ICT for Factory) | Young(Happy life in Smart valley) | Dream(ICT in living) |
---|---|---|---|
전략 | 제조업에 ICT 기술을 대폭 접목→제조업 혁신(ICT)융합 | 젊은이들이 행복한 스마트 산단→사람 중심 단지(행복공간) | 인간 중심 삶과 함께하는 ICT→IT접목 미래단지(미래지향) |
세부사업 | 1. 초연결 스마트공장 -기업 묶음형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업종별 대표시범 스마트공장 구축 -데이터 공유 연계. 2. 제조산업 기반 구축 -제조 설비 리뉴얼, 로봇 -스마트 공급 산업 육성 | 1. 산단환경개선 근로자 친화공간 -P2P, 남천 복합공원, 복합문화센터. -임대주택, 어린이집 확충 등 -지능형 주차, 가변차로, 전동 모빌리티. 2. 랜드마크 조성 이미지 개선 -랜드마크(멀티컴플레스)조성 -산업관광 프로그램, 스타캐릭터 등 이미지 개선 | 1. 스마트 창업 생ㅌ계 -창업 혁신타운 구축 -창업 투자 활성화. 2. 공유 경제 활성화 -공유 플랫폼 구축 -장비 공유 민간 비지니스. 3. 신사업 실증단지 -에너지 신사업 실증 -스마트 물류 시스템 구축 |
기대효과
- 경남창원스마트산단을 통한 창원산단의 변화
-
-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경제적 파급효과
-
산업연관분석에 의한 경제적 파급효과:구분,산정식,파급효과에 관한 표 입니다. 구분 산정식 파급효과 생산유발액 총 투입액 X 생산유발계수 3조 8,628억원 부가가치유발액 총 투입액 X 부가가치유발계수 1조 656억원 고용유발인원 총 투입액 X 고용유발계수 1만 1천명 -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스마트화 현황
-
초연결 스마트공장 확산
기업 묶음형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 대중소 상생형
대기업(중견기업)이 중심이 되어 기업간 연결성이 중요한 품목공정을 대상으로 대중소 기업 동반 스마트화
- 상생협력 대상기업 발굴 목표('22년:대기업 10개, 중소기업 84개, 소기업 426개)
- 대기업 주도 Supply chain 기반 상생협력협의회 구성 및 스마트 공장 선도·협력기업 연계모델 개발·실증·확산
- 업종 특화형
4개 업종별 스마트 MC중심(기계,방산,자동차 부품,뿌리산업), 소속기업의 스마트 수요발굴, 수준진단 등 스마트공장 구축
- 공동구매·투자 등을 통해 스마트 수요·제조기업간 비즈니스 창출
- MC코디네이터를 활용한 기업맞춤형 컨설팅 등 전주기 기술지원 강화
연도 | '14~'18 | '19 | '20 | '21 | '22 | 총계 |
---|---|---|---|---|---|---|
기업 수 | 170(6.1) | 85(3.1) | 142(5.1) | 145(5.2) | 148(5.3) | 690(24.8) |
* 스마트 공장 구축은 '22년까지 입주기업(2,787개사)대비 약 25% 달성 목표
업종별 스마트 대표공장 구축 확산
- 대표공장
창원산단 특화 업종별(기계, 방산, 자동차부품, 백색가전, 뿌리산업)대표공장 설립
- 업종별 스마트 제조 테스트라인 개발, IoT, 가상물리시스템(CPS)등을 활용한 고도화 운영시스템을 구현한 공장 구축
- 공개 경쟁공모(산업기술평가관리원)를 통해 핵심기술, 패키지 SW개발지원
-
데이터 공유연계 기반 구축 및 기업지원 시뮬레이션
- 표준제조혁신 공정 모듈
: 기업의 설비공정 데이터 수집분석 및 결과의 현장적용을 지원하는 테스트베드 역할 수행
- 센터 내 데이터 저장·머신러닝 서버 구축 → 기업 데이터 분석 ?진단 서비스 및 기업별 스마트공장 구축 방향 도출
- 데모공장을 확충하여 제조 데이터 분석결과의 공장 호환성 검증, R&D 실증 및 테스트베드화
- 공개 경쟁공모(산업기술평가관리원)를 통해 핵심기술, 패키지 SW 개발지원
- 공정혁신시물레이션센터
: 시뮬레이션 기반 공정혁신 시뮬레이션 센터 구축 및 인프라 조성을 통한 산단기업 상시 지원체계를 구축하여 기업 맞춤형 해석기술 서비스 제공 역할 수행
- ICT 기업 융합 비즈니스 활성화 기반 조성
-
스마트 수용공급 산업 인력양성
스마트 수요-공급산업 실용인재 육성
- 공급-운영인력
: 지역 내 대학과 연계한 교육과정 개설(융합/공유전공)스마트 산단 취업촉진 및 미래형 인재 양성
- 근로자 교육
: 스마트 통합교육센터 및 포털을 구축하여 산재된 스마트공장 집중교육을 통해 현장형 인재육성
- 공동구매?투자 등을 통해 스마트 수요-제조기업간 비즈니스 창출
- MC코디네이터를 활용한 기업맞춤형 컨설팅 등 全주기 기술지원 강화
실증 교육 인프라 구축
- L2F 인프라 구축
: 산단-대학 내 유휴부지를 활용한 스마트공장 실습 및 3D제조공정 교육 인프라 구축
- 스마트공장 실무기술 및 컨설팅 전문인력, 3D 적층 제조 생산공정을 위한 설계 인력 직무 전환 교육
- AR/VR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공장 운영전략 수립 및 직종 전환 교육 컨텐츠 구축 등
-
- 담당부서 : 산업국 미래산업과
- 연락처 : 055-211-3951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