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관리대책

  • 환경·산림
  • 미세먼지 관리대책

매일 맑은 하늘을 위한 경상남도의 한걸음! 도민체감형 미세먼지 저감대책 추진!!

경남도 미세먼지 발생현황 및 특성

  • 우리도 미세먼지 농도는 전국 공동 1위로 평균보다 낮으며, 최근 3년간 초미세먼지 나쁨일수가 전국에서 가장 적음
    • '24년 초미세먼지 평균농도 : PM-2.5 13㎍/㎥(전국 평균 16㎍/㎥)
    • 최근 3년 평균 초미세먼지 나쁨일수(36㎍/㎥ 이상) : 6일(전국 19일)('22년 : 5일, '23년 : 8일, '24년 : 5일)
  • <‘24년 시·도별 초미세먼지 농도 및 최근 3년간 초미세먼지 평균 나쁨일수>

    그래프
    '20년 시·도별 초미세먼지 농도 및 최근 3년간 초미세먼지 평균 나쁨일수(지역/농도(㎍/㎥)PM2.5/나쁨일수(일))에 대한 표입니다.
    지역 농도(㎍/㎥)PM2.5 나쁨일수(일)
    전국 19 44
    수도권 20 55
    서울 21 57
    인천 18 43
    경기 21 65
    강원 17 35
    충북 21 78
    충남 22 53
    대전 17 35
    세종 20 55
    경남 16 22
    경북 17 41
    대구 20 47
    울산 17 41
    부산 17 38
    전북 21 61
    전남 15 23
    광주 18 45
    제주 16 18

    ※전국 17개 시·도 중 초미세먼지(PM-2.5) 농도는 공동 1위, 최근 3년간 초미세먼지 나쁨일수는 1위로 낮은 수준임

  • 도내 항목별·분야별 배출현황*으로는 PM-2.5 생활분야 2,219톤(54.8%), SOx 발전분야 6,355톤(70.5%)
    NOx 도로분야 20,855톤(43.2%), VOCs 생활분야 66,767톤(75.3%), NH3 농업분야 19,547(84.6%)으로 배출됨
< 전국 및 우리 도 미세먼지 발생원별 배출량 현황(2022년) >
전국 및 우리 도 미세먼지 발생원별 배출량 현황의 구분, 분야, 합계, 직접배출(PM-2.5), 간접배출(소계, NOx, SOx, VOCs)에 대한 표입니다.
구분 분야 총계 PM-2.5 SOx NOx VOCs NH3
전 국 2,223,799 59,640(100%) 126,744(100%) 857,027(100%) 938,343(100%) 242,225(100%)
발전 101,961(4.6%) 2,668(4.5%) 29,317(23.1%) 57,897(6.8%) 9,595(1.0%) 2,484(1.0%)
산업 488,959(22.0%) 8,042(13.5%) 82,288(64.9%) 175,491(20.5%) 201,962(21.5%) 21,176(8.7%)
도로 289,098(13.0%) 2,993(5.0%) 246(0.2%) 256,268(29.9%) 27,978(3.0%) 1,613(0.7%)
비도로 358,691(16.1%) 14,576(24.5%) 6,586(5.2%) 272,423(31.8%) 64,997(6.9%) 109(0.1%)
생활 660,774(29.7%) 27,760(46.7%) 79(0.1%) 8,528(1.0%) 624,393(66.5%) 14(0.0%)
냉난방·기타 121,873(5.5%) 3,421(5.8%) 8,228(6.5%) 86,420(10.1%) 9,418(1.0%) 14,386(5.9%)
농업 202,443(9.1%) 0(0.0%) 0(0.0%) 0(0.0%) 0(0.0%) 202,443(83.6%)
우리道 173,142 4,049(100%) 9,019(100%) 48,315(100%) 88,648(100%) 23,111(100%)
발전 13,285(7.7%) 312(7.7%) 6,355(70.5%) 6,029(12.5%) 569(0.6%) 20(0.1%)
산업 20,139(11.6%) 85(2.1%) 1,863(20.7%) 3,616(7.5%) 12,114(13.7%) 2,461(10.6%)
도로 23,084(13.3%) 255(6.3%) 20(0.2%) 20,855(43.2%) 1,826(2.1%) 128(0.6%)
비도로 20,299(11.7%) 949(23.4%) 409(4.5%) 12,140(25.1%) 6,791(7.7%) 10(0.0%)
생활 69,662(40.2%) 2,219(54.8%) 8(0.1%) 667(1.4%) 66,767(75.3%) 1(0.0%)
냉난방·기타 7,126(4.1%) 229(5.7%) 364(4.0%) 5,008(10.4%) 581(0.7%) 944(4.1%)
농업 19,547(11.3%) 0(0.0%) 0(0.0%) 0(0.0%) 0(0.0%) 19,547(84.6%)

※ 출처 : 2022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자료(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 ’24.12월 발표)

경남도 미세먼지 관리대책

  •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시행
    개요
    • 근 거 :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18조
    • 추진배경 : 초미세먼지(PM-2.5)가 일정기간 지속되거나 예상될 때 단기적으로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는 비상저감 수단 마련
    • 유 형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시행의 구분, 예비저감조치(공공기관대상), 비상저감조치(공공 + 민간 대상)에 대한 표입니다.
      구분 예비저감조치(공공기관대상) 비상저감조치(공공 + 민간 대상)
      발령권자 시·도지사
      발령시간 익일 06시 ~ 21시(발령 통지는 전일 17:15분)
      발령요건
      • ➀ (예보) 모레 ‘매우나쁨’ 예상
      • ➁ 내일과 모레 모두 50㎍/㎥ 초과 예상
      • ➀당일 0~16시 평균 50㎍/㎥ 초과 + 다음날 50㎍/㎥ 초과 예보
      • ➁2개 권역 이상 주의보·경보 발령 + 다음날 50㎍/㎥ 초과 예보
      • ➂다음날 75㎍/㎥ 초과 예상
      ※ 어느 하나의 조건 충족 시 발령
      정보제공
      • 문자 및 공문 발송
      • 재난문자 발송
      조치사항
      • 공공기관 차량2부제 시행 및 도로청소 강화
      • 공공사업장 가동시간 변경, 가동률 조정
      • 관급 건설공사장 비산먼지 억제조치 및 공사시간 단축
      • 대국민 미세먼지 홍보 강화 등
      • 5등급 자동차의 운행제한 및 공공·행정기관 차량2부제
      • 사업장 및 건설공사장 조업시간 단축·조정
      • 도로청소차 운영확대 및 불법배출 행위 감시·점검 등
      • 어린이집, 초·중·고 휴원·시간단축 및 탄력적 근무제 시행 권고
    조치사항
    • 상황실 운영 : 비상저감대상 상황 전파 및 재난문자 발송, 비상저감 상황실 운영
    • 지도·점검 : 공공기관 차량 2부제 및 사업장·공사장 운영시간 단축·조정 등 이행여부 점검 및 계도 조치
    • 홍 보 : 보도자료 제공 및 홈페이지, 전광판, 현수막, 다양한 매체 활용 홍보 등
    • 차량운행제한 : 민간부문 차량 운행제한(배출가스 5등급) ※ 자동차 배출가스 5등급차량<‘24.12월 기준 68천대(3.5%)>
  • 미세먼지 관리기반 강화 및 정보제공 확대
    촘촘한 대기오염 측정망 확충
    • 대기오염 측정소 설치 : 9개 권역 39개소
      대기오염 측정소 설치 : 9개 권역 39개소에 대한 표입니다.
      창원 진주 통영 사천 김해 밀양 거제 양산 의령 함안 창녕 고성 남해 하동 산청 함양 거창 합천
      10 4 1 2 5 1 2 3 1 1 1 1 1 2 1 1 1 1

      * 9개 권역(미세먼지 경보 발령권역) : ①창원시, ②진주시·사천시, ③통영시·거제시·고성군, ④김해시·양산시, ⑤밀양시·창녕군,
      ⑥의령군·함안군, ⑦산청군·합천군, ⑧남해군·하동군, ⑨함양군·거창군

    예·경보 체계 강화
    • 체계 구축 : 경보 자동발령시스템 구축('17년), 예·경보 문자 및 알림톡 송신(33천명)
    • 농도 알림 : 유동인구가 많은 지점에 미세먼지 농도 표출 신호등* 설치 버스정보시스템** 미세먼지 정보제공 연계 추진
      * 신호등 : 전 시·군 177개소(시군 자체 설치 22대 포함)
      ** 버스정보시스템 : 버스정보 안내기에 대기질 정보제공 시스템 연계(창원, 김해)
    미세먼지 정보제공 확대
    • 대기환경정보시스템(Air경남)를 통한 실시간 미세먼지 정보 제공
      • 도시대기측정망 : 초미세먼지 등 6항목 실시간 측정정보 제공
      • 카카오알림톡, 문자서비스 제공으로 미세먼지 경보상황 등 도민 안내
      • 고농도 예보 : 36시간 전 고농도 초미세먼지(50㎍ /㎥ 초과) 예보정보 제공
  • 미세먼지 배출원 관리 강화
    석탄화력 발전소 관리
    • 미세먼지 계절관리기간(12~3월) 석탄발전 감축 운영
      • (가동중단) 전력계통 운영 여건에 따라 석탄발전소 가동중단 시기 조정
      • (상한제약) 계절관리기간 중 발전소 가동률을 80%까지 상시 제한*
        *대상발전기 : 총 14기(삼천포 3~6호기, 하동 1~8호기, 고성 1~2호기(비상시))
        ➀ 삼천포발전본부 : '25년까지 3,510억원을 투입 32,393톤 저감
        - 노후 발전기 폐지 추진(4기) : 3~4호기(‘26.10월), 5호기(’27.7월), 6호기(’28.1월) 폐지 예정
        - 미세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2025~2029) : 저감목표 3,066톤
        ➁ 하동빛드림본부 : ‘25년까지 3,553억원을 투입, 17,217톤 저감
        - 노후 발전기 폐지 추진(6기) : 1·2·3호기(‘27년), 4호기(’28년), 5·6호기(‘31년)
        - 미세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2025~2029)) : 저감목표 2,309톤
        ➂ 고성그린파워
        - 발전설비 : 총 2기(2,080MW) ’21년 준공
        - 환경설비 : 탈질설비, 전기집진기, 탈황설비
        - 미세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2021~2025, 낙동강유역환경청) : 저감목표 3,077톤
    자동차 등 이동오염원 관리
    • 친환경자동차 보급계획(‘25년) : 전기차 18,107대(1,673억원), 수소차 752대(493억원)
      • 보급실적
        · 전기차(‘11~’24년) : 39,940대(승용 24,855, 화물 10,802, 승합(버스) 801, 이륜 3,482)
        · 수소차(‘16~’24년) : 2,871대(승용 2,745, 화물 1, 승합(버스) 125)
      • 공공기관 : 친환경차 의무구매 100%(’20년), 공공경유차 제로화(‘30년)
    • 경유차 관리 : ’25년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등
      • 조기폐차(5등급 경유차 및 ‘05년 이전 제작 도로용 3종, 비도로용 2종 건설기계) : 19,104대(462억원)
      • 어린이 통학차량의 LPG차량 교체 : 40대(1.2억원)
      • 노후 경유차 저공해화(저감장치(DPF 부착), PM-NOx, 전동화 개조) : 631대(24.4억원)
      • 차량운행제한 단속시스템 구축·운영 : 116개 지점, 138대 운영
    산업 배출원 관리
    • 미세먼지 다량 배출사업장 자발적 감축 협약 추진
      • 3단계 협약(44개사) : 5년간(’25~‘29) 기준년도(’23년) 배출량 대비 5,948톤/년(26%) 저감
    • 노후 방지시설 개선비용 지원을 통한 배출원 관리능력 제고 유도(‘25년 계획)
      • 사물인터넷 활용 등 소규모 사업장 방지시설 지원 : 579개소(24억원)
      • 굴뚝자동측정기(TMS) 운영비 설치지원 : 23개 업체(5억원)
  • 생활주변 미세먼지 저감
    미세먼지 차단 숲
    • 발전소, 산업단지 주변 등 오염 우심지역에 미세먼지 차단 숲 조성을 통한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기대
      • 미세먼지 차단숲, 기후대응 도시숲, 생활밀착형 숲, 유아숲 체험원 등 조성(’25년) : 41개소(386억원)
      • 공익림 가꾸기 사업(’25년) : 3,662ha(99억원)
    도로노면 청소 및 청소차량 확충
    • 도로 청소차량 현황 : 81대(진공노면청소차 66대, 분진흡입차 1대, 살수차 14대)
      • 노면 청소 및 살수차량 확충으로 도로 재비산먼지 저감
    • 집중관리도로 선정 : 74개 구간, 195km
      • 주요도로 분진흡입차 및 물청소 2회/일 이상 운영
    기타
    • 노후 가정용 보일러를 친환경(저녹스) 보일러로 교체 지원('25년) : 1,700대(10억원)
      • 추진실적(‘19~’24년) : 69,564대(119억원)
        *사업대상 : 저소득층·취약계층
    • 재활용 : 농촌 폐비닐 공동집하장 등 설치를 통한 불법소각 근절('25년)
      • 폐비닐 공동집하장 : 68개소(3억원)
      • 생활자원회수센터(재활용 선별장 등) 설치 : 5개소(66억원)
      • 재활용 수거 자판기 보급(재활용품 회수율 제고) : 6대(1억원)
    • 농촌지역 집하장 이미지
    • 재활용 동네마당 이미지
    • 농촌지역 폐비닐 집하장 및 재활용 동네마당

  • 담당부서 : 환경산림국 기후대기과  
  • 연락처 : 055-211-6651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0 / 100
방문자 통계 S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