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 자동차·조선산업의 침체
- 주요 제조업 생산지수 하락
- 대기업 중심의 수직 계열화 생산
창원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역이 주도하는 혁신성장, 강소형 혁신생태계 구축!
지역혁신 성장의 플랫폼
※ Wi-Fi가 아닌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상태에서 동영상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강소개발특구 홍보영상입니다.
추진 배경 및 필요성
급변하는 기계산업의 환경변화

위
기
기
기계산업성장둔화
산업구조의 혁신 필요
기
회
회
4차 산업혁명
-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5G통신, 가상현실, 증강현실, AI, 자율주행차, 드론
- 3D프린팅
초연결&자율적 자동화 시대

강소특구 지정 지역 및 조성계획
기술핵심기관 및 배후공간
- 총면적 : 0.65㎢
- R&D 융합지구 0.22㎢, 창원국가산업단지 확장지역 : 0.43㎢
- 기술핵심기관 : 한국전기연구원
- 스마트 전력시스템, 지능형 전기기계, 첨단 전기소재부품 기술 기반 고부가가치 전기기계산업으로 전환
-
- 전력설비
(차단기, 변압기, ESS, PCS 등)
- 전력관리 시스템
(EMS,BEMS,HEMS)
- 전기추진기계
(전기차, 전기선택등)
- 생산기계
(공작기계, 30프린터 등)
- 전기의료기계
(내시경, X-lay, MRI 등)
- 전기기계부품
(모터, 액추에이터, 전지 등)
- 전기변환소재부품
암전소자,열전소자,스마트센서
- 전기응용소재부품
전국, 절연체, 발연체, 전자기파발생장치 등
- 전력설비
- 특화분야 : 지능전기 기반 기계융합
단계별 실행계획

- 1단계
- 2019년 : 특구지정 - 중장기육성계획수립
- 2단계
- 2020년 ~2021년 :기업지원센터 구축- 기업입주공간확보 기술지원 거점마련/ 개발제한구역해제 → 불모산동 배후공간 추가지정 - 창원강소연구개발특구운영체제완성(국내외협력네트워크 등)→전기기계융합연구단지조성 → 시험평가 및 실증 연구 테스트 베트 구축
- 3단계
- 2022년 이후:전기기계융합연구단지개발 → 창원형 혁신생태계완성 - 기업부설연구소 집적화 국내외 우수 연구소, 대학 유치시험 평가 및 실증 연구 환경 조성 → 시험평가 및 실증 연구 테스트 베트 구축
육성전략

- 지역수요기반 연구개발
- 기계산업기술수요
- 창원시 산업 정책(IINBEC)
- KERI 기술정책
- 지능형 전기기계 산업 Vlaue Chain구축
- 소재부품
- 전기기계
- 전력시스템 결합
- 기술사업화 전주기 원스톱 서비스 제공
- KERI의 순서
- 기술개발 →
- 제품개발 →
- 시험인증 →
- 시험인증 →
- 창업지원 →
- 사업화 지원 →
- 기술사업화 단계별 기업 입주공간 제공
- Start-up(창업) - 기술창업센터
- Ramp-Up(제품개발) -전기기계융합연구단지
- Speed-Up(사업화) - 첨단특화산업단지
- Power-Up(성장) - 창원국가산업단지
목표 및 기대효과
-
성과목표
R&D 및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 매출액 : 300억원
- 일자리 : 370명
- 창업기업 : 20개
- 투자연계액 : 50억원
- 연구소기업 : 48개
-
지역산업 혁신
- 기계산업
→ 지능전기 기계산업 - 제조거점
→ 산업거점(R&D+제조+서비스) - 대기업 의존형 중소기업
→ 글로벌 강소기업
- 기계산업
-
경제적 효과
- 부가가치유발 : 2,424억원
- 고용유발 효과 : 2,857명
- 생산유발효과 : 5,268억원
- 담당부서 : 산업국 산업정책과
- 연락처 : 055-211-3011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