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경남소식
  • 보도해명자료
  • 보도자료

코로나19 극복한 농가민박, 이제는 한 걸음 더 나아갈 때

  • 조회 : 158
  • 등록일 : 23.12.20

코로나19 극복한 농가민박, 이제는 한 걸음 더 나아갈 때 1 번째 이미지



 

코로나19 극복한 농가민박이제는 한 걸음 더 나아갈 때

 

농업기술원, ‘농촌 활성화를 위한 농가민박 발전방안 연구’ 결과 발표

농가민박 차별화를 위해 인증제 도입 및 업종 분류체계 정비 필요

 

경상남도농업기술원(원장 정찬식)은 농가민박의 차별화를 통하여 정체되어 있는 농가소득을 높이는 동시에농촌의 생활인구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수행한 농촌 활성화를 위한 농가민박 발전방안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농어촌민박사업자는 농어촌정비법 제2조에 따라 농어촌지역 또는 준농어촌지역의 주민이 소유 및 거주하고 있는 주택을 이용하여 농어촌 소득을 늘릴 목적으로 투숙객에게 숙박ㆍ취사시설ㆍ조식 등을 제공하는 사업으로 정의되어 있다.

 

하지만 이 중 농업인이 자신의 농업자원을 활용하여 투숙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농가민박은 극소수에 불과하며관광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펜션이 농어촌민박사업자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은 경남소재 농어촌숙박업소 68개소의 사례를 조사하여 농가민박형촌캉스형관광숙박형으로 분류하였으며경영현황 및 사업주 인식조사를 통하여 분류별 경영 특성과 차별화 요인정책 개선 방안 등을 분석하였다.


분 류

설 명

평균

객실 수

농가민박형

직접 생산한 농산물로 식음료를 제공하거나체험교육을 운영하는 등 자신의 농업자원을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

2.9

촌캉스형

농어촌주택과 주변 경관을 활용하여

조용하고 독립적인 휴양 공간을 제공

1.3

관광숙박형

계곡해안 등 관광지 방문객을 대상으로 하는 숙박업소로
비교적 많은 인원 수용 가능

3.2


 

참고농어촌숙박업소 분류

 

2022년의 경영현황을 분석한 결과매출액은 촌캉스형(5,300만원)농가민박형(2,800만원)관광숙박형(2,100만원순으로 나타났다.

 

평균 객실 수가 적은 순으로 매출액 차이가 있는 이유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독립적인 공간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코로나19 발생 이후 방문객이 감소하였다고 응답한 비율은 2022년 매출액 3위인 관광숙박형이 53.3%로 가장 높았으며촌캉스형(44.4%), 농가민박형(30.4%)가 그 뒤를 이었다.

 

농가민박형은 정성스러운 식사 제공과 인적요인에서 타 유형 대비 차별성을 가진 것으로 드러났으며 재방문율이 38.7%로 가장 높았다.

 

농어촌민박의 발전을 위한 우선적인 해결사항에 대한 설문 결과 정부 및 지자체의 적극적인 홍보시설비 지원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농가민박 유형에서는 농어촌민박업의 업종 분류체계 개선 및 우수 농가민박의 조직화와 통합마케팅민박 품질 등급화 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농업기술원 유영글 연구사는 경남 농가민박 발전에 필요한 차별화를 위하여 농가민박 인증제의 시행 또는 농어촌정비법 등 법령 개선을 통한 새로운 업종 분류 체계 도입이 필요한 시기라고 전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유영글 연구사(055-254-1244)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코로나19 극복한 농가민박, 이제는 한 걸음 더 나아갈 때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극복한 농가민박, 이제는 한 걸음 더 나아갈 때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록
  • 담당부서 : 경상남도 민원 콜센터
  • 연락처 : 055-120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0 / 100
방문자 통계 S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