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경남소식
  • 보도해명자료
  • 보도자료

경남도, 해양쓰레기 정화주간 운영

  • 조회 : 214
  • 등록일 : 22.06.14

경남도, 해양쓰레기 정화주간 운영 1 번째 이미지



경남도, 해양쓰레기 정화주간 운영 2 번째 이미지



경남도, 해양쓰레기 정화주간 운영

 

- 2022년도 해양쓰레기 정화주간 운영, 613일부터 24일까지 2주간

- 경남도, 올해 해양쓰레기 처리를 위한 20개 사업에 188억 원 투입

 

경상남도는 해양쓰레기 없는 깨끗한 바다를 만들기 위해 613일부터 24일까지 2주간을 해양쓰레기 정화주간으로 설정하여 운영한다.

 

해양쓰레기 정화주간은 장마철, 태풍 발생 등으로 인해 육상쓰레기가 하천을 통해 유입되어 해양쓰레기가 많아지는 7~8월을 사전에 대비하기 위하여, 매년 6월 해양수산부에서 해양쓰레기 정화주간을 설정하여 전국적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해수부 및 환경부 산하기관, 지자체, 해양환경공단, 한국어촌어항공단 및 수협 등이 참여한다.

 

경상남도에서는 이 기간에 도내 연안 시군의 환경정화선 등 동원 가능한 장비인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연안에 이미 유입된 해양쓰레기 수거처리 활동을 대대적으로 펼칠 예정이다.

 

한편 경상남도는 해양쓰레기 수거처리를 위해 바다환경지킴이 지원사업(21137억 원) 해양쓰레기 수거처리(23억 원) 조업 중 인양쓰레기 수매(10억 원) 해양쓰레기 집하장 설치(18개소 7억 원) 폐스티로폼 감용기 교체(25억 원) 20개 사업에 올해 총 188억 원을 투입하여 해양쓰레기를 줄이고 깨끗한 바다 환경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특히 바다환경지킴이 지원사업은 육상의 환경미화원과 같이 쓰레기를 수거하는 인력인 바다환경지킴이를 상시 배치하는 사업으로, 올해는 37억 원의 예산을 들여 211명을 운영하고 있다. 바다환경지킴이는 도내 7개 연안 시군에서 채용하여 연안의 해양쓰레기를 신속하게 수거할 뿐만 아니라 쓰레기 투기행위 등 해양오염행위를 감시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총 150억 원의 사업비로 작년 10월부터 건조 중인 환경정화선 2(1척당 75억 원/ 1, 창원시 1)을 올해 11월경 준공하여 도서 지역 등 관리 사각지대의 해양쓰레기 수거 및 도서 지역 청소차 육지 운송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전국 최초로 통영시에 설치하는 해양쓰레기 종합 전처리시설은 해양쓰레기 선별세척 등의 전()처리를 통해 폐그물 및 폐스티로폼 등의 쓰레기 재활용률을 높이는 등 친환경적 처리를 하는 곳으로, 올해 4월 중 실시설계를 완료하였으며 총 150억 원의 사업비로 2023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성흥택 경남도 해양항만과장은 해양수산인의 삶의 터전인 바다를 깨끗하게 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으나 행정력만으로 처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어촌계, 어업인 등 도민들도 깨끗한 바다 만들기에 적극 참여해주시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해양항만과 이영 주무관(055-211-3943)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경남도, 해양쓰레기 정화주간 운영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경남도, 해양쓰레기 정화주간 운영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록
  • 담당부서 : 경상남도 민원 콜센터
  • 연락처 : 055-120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0 / 100
방문자 통계 S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