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경남소식
  • 보도해명자료
  • 보도자료

경상남도, 제105주년 3·1절 기념식 개최

  • 조회 : 227
  • 등록일 : 24.03.01

경상남도, 제105주년 3·1절 기념식 개최 1 번째 이미지



경상남도, 제105주년 3·1절 기념식 개최 2 번째 이미지



경상남도, 제105주년 3·1절 기념식 개최 3 번째 이미지



경상남도, 제105주년 3·1절 기념식 개최 4 번째 이미지



경상남도, 제105주년 3·1절 기념식 개최 5 번째 이미지



경상남도, 제105주년 3·1절 기념식 개최 6 번째 이미지



경상남도105주년 3·1절 기념식 개최

 

- 1일 오전 도청 대강당독립유공자 유가족 등 400여 명 참석

유족 참여를 중심으로 한 기념식 마련독립유공자 예우 강화

독립운동 주제로 한 뮤지컬 영화 상영, 3·1절 기념전시 함께해

 

경남도(도지사 박완수)는 1일 오전 도청 신관 대강당에서 독립유공자 유가족보훈단체장도민 등 4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105주년 3·1절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번 기념식은 3·1운동 경과보고독립선언서 낭독유공자 포상기념사기념공연유족이 직접 소개하는 독립유공자의 업적, 3·1절 노래 제창만세삼창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으며독립유공자 고 김정철 선생의 자녀(김선희, 68년생)에게 대통령 표창이 전수됐다.

 

박완수 도지사는 기념사에서 끊임없는 도전과 시련을 슬기롭게 극복해 온 3·1운동의 정신은 우리의 역사이자 자랑이라며 “105년 전 간절히 소망했던 자유로운 대한민국나아가 풍요로운 경남을 물려주고 후손들이 긍지와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경남도는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어 도는 지난해부터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스물네 분의 미서훈 독립운동가에 대한 포상을 신청하였고최근 수형인명부 13권을 추가로 발굴하여 분석을 진행중이라며 "독립유공자를 적극 발굴하고또 예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이번 기념식은 내빈 위주의 기념식에서 벗어나 유족 참여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독립유공자의 예우를 더욱 강화하였다.

 

참석하신 독립유공자 유족을 영상 중계를 통해 전부 소개하였으며유공자의 후손들인 정은경씨와 김준석김지온김태인 학생들이 직접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고 성도일 선생의 후손 성서영 씨(이춘근 선생의 후손 이민태 씨고 하찬현 선생의 후손 하경수 씨가 단상에 올라 3·1절 노래를 제창해 그 의미를 더했다.

 

또한독립유공자의 업적을 유족에게 직접 듣는 시간도 가졌다. 1919년 김해 장유면 무계리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한 고 이강석 선생의 후손 이수학 씨, 1919년 함안군 함안읍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한 고 백낙삼 선생의 후손 백태기 씨신흥무관학교를 수료하고 청산리대첩에 참여한 고 박달준 선생의 후손 박상범 씨가 단상에 올라 유공자에 대한 기억과 공적을 공유했다.

 

이와 함께 기념식 직후 안중근 의사의 독립운동을 뮤지컬화 한 영화 영웅을 무료로 상영하기도 하였으며행사장 입구에는 기념전시를 통해 독립의 길기록으로 꽃 피우다라는 주제에 맞춰 경남지역 3.1운동 역사와 경남의 독립운동가 등을 소개하기도 하였다.

 

이번 3.1절 기념전시는 3월 4일부터 29일까지 약 한 달간 경상남도기록원에서 감상할 수 있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행정과 정선기 주무관(055-211-3614)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경상남도, 제105주년 3·1절 기념식 개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경상남도, 제105주년 3·1절 기념식 개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록
  • 담당부서 : 경상남도 민원 콜센터
  • 연락처 : 055-120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0 / 100
방문자 통계 S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