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경남소식
  • 보도해명자료
  • 보도자료

무명의 아나키스트 창원 흑우연맹 독립운동 재조명

  • 조회 : 118
  • 등록일 : 24.05.25

무명의 아나키스트 창원 흑우연맹 독립운동 재조명 1 번째 이미지



무명의 아나키스트 창원 흑우연맹 독립운동 재조명 2 번째 이미지



무명의 아나키스트 창원 흑우연맹 독립운동 재조명

 

경남도소외된 창원 흑우연맹 아나키스트 독립유공자 6명 서훈 신청

잊혀진 경남 독립운동사건 및 독립운동가 발굴에 지속적인 총력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는 잊혀진 경남 독립운동가 창원 흑우연맹(黑友聯盟)아나키스트 6명을 국가보훈부에 독립유공자 서훈 신청* 했다.

독립유공자 서훈 신청 독립운동의 공로가 있는 자를 건국훈장건국포장 또는 대통령표창의 수여대상자로 추천함

 

흑우연맹(黑友聯盟)은 일제강점기에 재일 유학생 박열(朴㤠등에 의하여 조직된 아나키즘*무정부주의 운동 단체이다반일반공산주의적 민족운동이라는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며 1920년대 후반에 이어 1930년대 중반에 이르기까지 조선인 아나키스트 운동을 주도하였다.

아나키즘(anarchism) : 무정부상태를 뜻하는(anachy)에서 비롯해 무정부주의로 번역되며 일제강점기 국가권력인 일제에 저항하고 자본주의 체제를 개혁하고자 한 운동이다.

 

창원 흑우연맹(黑友聯盟)은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28년 5월 창원지역을 중심으로 조병기(趙秉基‧ 손조동(孫助同‧ 김두석(金斗錫‧ 박순오(朴順五박창오(朴昌五‧ 김두봉(金斗鳳‧ 김상대(金相大) 7인이 주도하여 결성한 단체이다이들은 독서구락부를 조직하여 아나키즘 이론을 연구하며 창원 지역에 항일독립운동 사상을 선전해 오다가 경찰의 탄압으로 1929년 5월 검거되어 9개월간 모진 옥고를 치르게 되었다.

 

하지만 그동안 아나키스트들에 의한 항일독립운동은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였다아나키스트가 무정부주의자로 번역되어 모든 사회체제와 지배체제를 거부하는 극단적인 사상가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더군다나 지역 아나키스트들의 항일 독립운동은 국가중심의 독립운동사 속에서 잊혀져 왔다실제로 창원 흑우연맹 7인 중 독립유공 서훈을 받은 자는 박창오(대통령표창, 2023) 유일하다.

 

경남도에서는 지자체 최초로 직접 도내 독립운동가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해오고 있으며이 과정에서 같은 독립운동 사건에 참여하고도 아직 서훈을 받지 못한 창원 흑우연맹 아나키스트 6인을 발굴할 수 있었다.

 

특히 이들의 독립운동 활동을 입증하기 위해 유족과 긴밀하게 협조하여 1929년 당시 창원 흑우연맹 사건을 다룬 부산지방법원 마산지청 판결문과 집행원부*등을 확보하였고, 1929년 당시의 신문기사관련 논문 등을 분석하여 이들의 활동을 항일독립운동의 관점으로 재조명하는 공적서를 작성하여 국가보훈부에 제출했다.

집행원부 경찰로부터 접수한 피의자의 처분결과를 정리한 기록


경상남도는 앞으로도 도내 독립운동사건들을 지역의 관점으로 재조명하고 무명의 독립운동가를 발굴하는데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신종우 복지여성국장은 험난하게 독립운동을 했던 지역 아나키스트들의 공적이 이번 서훈신청을 통해 제대로 인정받길 기대하며앞으로도 도내 잊혀진 항일 독립운동 사건과 독립운동가 발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복지정책과 김회선 주무관(055-211-4826)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무명의 아나키스트 창원 흑우연맹 독립운동 재조명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무명의 아나키스트 창원 흑우연맹 독립운동 재조명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록
  • 담당부서 : 경상남도 민원 콜센터
  • 연락처 : 055-120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0 / 100
방문자 통계 S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