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뉴스

  • 경제·창업
  • 소비생활센터
  • 소비자정보
  • 소비자 뉴스

고령자, 의료용 침대 안전사고 3년 연속 증가 - 10건 중 9건은 낙상사고 … 복지·노인요양시설에서 가장 많이 발생 -

  • 조회 : 22
  • 등록일 : 2023.09.11 16:14:33
  • 기관명 : 경제인력과 055-211-7981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실버 헬스케어’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노인요양시설과 의료서비스시설 등에서 의료용 침대 관련 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 의료용 침대 안전사고 매년 증가, 10건 중 9건은 낙상사고

  최근 3년 6개월간(2020년∼2023년 6월)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의료용 침대 관련 위해사례는 총 374건으로, 매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해원인을 살펴보면, 추락·미끄러짐·넘어짐 등 ‘낙상사고’가 92.5%(346건)로 가장 많았고, 눌림·끼임·부딪힘 등 ‘기타 물리적 충격’이 5.6%(21건)로 뒤를 이었다.

 

  다친 부위는 ‘머리 및 얼굴’이 45.7%(171건)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둔부, 다리 및 발’ 35.3%(132건), ‘팔 및 손’ 7.8%(29건) 등의 순이었다. 위해증상으로는 ‘골절’이 40.9%(153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타박상’ 19.8%(74건), ‘열상(찢어짐)’ 13.1%(49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80% 이상이 60대 이상에서 발생하고, 복지·요양시설에서 가장 많이 발생

  안전사고가 발생한 연령대를 살펴보면 ‘80대’가 41.2%(154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70대’ 18.7%(70건), ‘90세 이상’ 12.6%(47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접수 건의 대다수인 82.9%가 60대 이상에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발생장소별로는 요양원·요양병원 등의 ‘복지 및 노인요양시설’이 58.8%(220건)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종합병원·전문병원 등의 ‘의료서비스시설’ 39.0%(146건), 주택 등의 기타 장소 2.2%(8건) 등이 뒤를 이었다.

 

 고령자 신체 기능의 저하로 낙상 위험 높아, 의료용 침대 이용 시 안전수칙 숙지해야

  고령자의 경우 근력과 시력 저하 등 신체 기능의 변화와 인지 기능의 저하, 질병이나 약물의 영향 등에 의해 균형을 잡는 것이 어려워 낙상사고의 위험에 자주 노출되며*, 낙상사고 시 중상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 한국소비자원은 가천대 길병원과 공동으로 진행한「고령자 추락·낙상사고 위해사례 동향분석」(2016.10.)에서 전문가 자문을 통해 ‘고령자 낙상은 중추신경 및 근골격계의 노화로 신체가 뻣뻣해지고 조절능력이 감소되며 불안정하게 보행하는 고령자가 위험한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 발생한다’고 안내한 바 있음.

  고령자가 중상해를 입을 경우, 회복기간이 길어지고 후유증이 남을 수 있어 안전수칙 숙지를 통한 사고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은 의료용 침대 관련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소비자에게 ▲ 침대 위에 머무를 때는 침대 바퀴를 모두 고정하고 양쪽 난간을 올릴 것, ▲ 거동이 불편할 경우 보호자와 함께 이동하거나 간호사를 호출할 것, ▲ 낙상사고 발생 시, 추후 더 큰 후유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바로 병원 진료를 받을 것 등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앞으로도 노인요양시설 및 의료시설 등의 유관기관과 협력해 소비자에게 올바른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등 의료기기 관련 안전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출처: 한국소비자원 

**첨부파일 클릭 하시면 자세한 내용 확인 가능합니다. 

고령자, 의료용 침대 안전사고 3년 연속 증가  - 10건 중 9건은 낙상사고 … 복지·노인요양시설에서 가장 많이 발생 -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고령자, 의료용 침대 안전사고 3년 연속 증가 - 10건 중 9건은 낙상사고 … 복지·노인요양시설에서 가장 많이 발생 -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록
  • 담당부서 : 경제통상국 경제기업과
  • 연락처 : 055-211-7799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0 / 100
방문자 통계 S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