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의 다문화가족
전국 : 1,151,004명 / 399,396가구
경남 : 71,048명(전국대비 6.2%) / 23,476 가구(전국대비 5.9%)
※ 행정안전부 승인통계, 2022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23.11.8.발표
(단위 : 명)
구분 | 가구수 | 가구원수 | |||||
---|---|---|---|---|---|---|---|
계 | 한국인배우자 | 결혼이민자 | 귀화자 | 자녀 | 기타동거인 | ||
전국 | 399,396 | 1,151,004 | 166,733 | 175,365 | 208,079 | 295,696 | 305,131 |
경남 | 23,476 | 71,048 | 9,745 | 10,184 | 10,945 | 21,291 | 18,883 |
창원시 | 5,981 | 17,435 | 2,378 | 2,726 | 2,747 | 5,031 | 4,553 |
진주시 | 2,147 | 6,464 | 764 | 902 | 944 | 1,989 | 1,865 |
통영시 | 991 | 3,071 | 392 | 374 | 483 | 978 | 844 |
사천시 | 827 | 2,614 | 359 | 348 | 391 | 805 | 711 |
김해시 | 4,233 | 12,181 | 1,730 | 2,008 | 2,002 | 3,510 | 2,931 |
밀양시 | 820 | 2,616 | 350 | 314 | 369 | 806 | 777 |
거제시 | 1,882 | 5,778 | 900 | 806 | 913 | 1,789 | 1,370 |
양산시 | 2,519 | 7,389 | 1,112 | 1,173 | 1,164 | 2,084 | 1,856 |
의령군 | 239 | 759 | 100 | 80 | 118 | 244 | 217 |
함안군 | 679 | 2,115 | 265 | 284 | 352 | 634 | 580 |
창녕군 | 596 | 1,918 | 250 | 249 | 260 | 637 | 522 |
고성군 | 460 | 1,516 | 199 | 186 | 211 | 463 | 457 |
남해군 | 295 | 982 | 120 | 93 | 135 | 310 | 324 |
하동군 | 353 | 1,236 | 167 | 127 | 171 | 397 | 374 |
산청군 | 282 | 983 | 131 | 99 | 137 | 335 | 281 |
함양군 | 378 | 1,233 | 158 | 114 | 179 | 407 | 375 |
거창군 | 462 | 1,590 | 209 | 174 | 221 | 502 | 484 |
합천군 | 332 | 1,168 | 161 | 127 | 148 | 370 | 362 |
- (한국인배우자) 귀화자 또는 결혼이민자의 배우자인 한국인
- (결혼이민자) 한국인(귀화자 포함)과 혼인하였거나 혼인 관계에 있는 자
- (귀 화 자) 국적법 제3·4조에 따라 한국국적을 취득한 자
- (자 녀) 귀화자 또는 결혼이민자의 미성년 자녀
- (기타동거인) 한국인배우자의 직계존속 또는 외국인배우자의 직계존속 등 다문화가구 구성원이나 한국인배우자, 결혼이민자, 귀화자, 미성년 자녀가 아닌 동거인
다문화가족 지원 근거
- 다문화가족지원법, 시행령, 시행규칙
- 경상남도 다문화가족 지원조례
사업목적
- 시군의 다문화가족 지역특성을 반영한 특수시책 추진으로 지역사회 정착과 안정된 가족생활 지원
사업내용
- 시군별 지역특성에 맞는 결혼이민자 한글교육, 취업교육, 부부 및 가족인식개선교육 등 지속가능한 프로그램
사업내용
시군명 | 사업내용 | 비고 |
---|---|---|
창원시 | 찾아가는 다문화교실, 통역사 양성과정, ITQ자격증반, 한부모가족 역량강화 | |
진주시 | 전문기술 자격증 취득반 운영(바리스타1급자격취득반 운영) | |
통영시 | 다문화가족자녀성장지원, 다문화가족 이중언어환경조성사업, 부모교육, 아빠교육 | |
사천시 | 결혼이민자 동아리 지원사업, 생애주기별 아버지 역할지원 프로그램 | |
김해시 | 다문화강사 양성 및 훈련, 찾아가는 다문화이해교육, 다누리관 체험교실 | |
밀양시 | 다문화가족 교육 및 상담 | |
거제시 | 다함께 프로그램, 자녀 주말공부방, 자녀 성장지원 프로그램 | |
양산시 | 자녀성장지원사업, 결혼이주여성 디지털역량강화교육 | |
의령군 | 가족관계향상지원, 자녀성장지원, 다문화가족운동회 | |
함안군 | 가족구성원간 관계증진 교육 및 체험활동, 여성결혼이민자 사회 적응 교육 | |
창녕군 | 다문화이해교육 강사 심화교육, 결혼이주 여가지원, 배우자교육 프로그램 | |
고성군 | 결혼이민여성 취업기초소양교육, 취·창업컨설팅, 가족캠프 | |
남해군 | 가족관계 프로그램 | |
하동군 | 영유아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이중언어 환경조성프로그램 지원 | |
산청군 | 한가위 가족오락관 프로그램, 결혼이민자 미래설계 프로그램, 멘토-멘티프로그램 | |
함양군 | 취업교육, 부부 및 가족 인식개선교육 등 시군별 지역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 추진 | |
거창군 | 결혼이민자취업교육, 다문화가족자녀성장지원, 다문화가족초기정착지원, 부부교육 | |
합천군 | 다문화가족 부부캠프 |
문의처
- 사업 운영기관 : 도내 시군별 가족센터
- 사업 문의 : 경상남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055-274-8338, 경상남도 가족지원과 055-211-5283
경상남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 위치 :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학로 20(사림동) 국립창원대학교 종합교육관 85호관 602호
- 위탁기관 : 경상남도
- 수탁기관 : 창원대학교
주요사업
다문화가족지원사업 | 시·군센터 지원 및 네트워크 사업 | 결혼이민자 역량강화 및 취업 지원 |
---|---|---|
⦁ 가족통합교육 ⦁ 다문화가족상담 ⦁ 통·번역 서비스 ⦁ 결혼이민자 자녀양육서비스 ⦁ 경상남도 다문화가족 페스티벌 ⦁ 남편서포터즈 활성화 연수회 |
⦁ 협의 회의 및 중간관리자 회의 ⦁ 종사자 교육 및 워크숍 ⦁ 방문지도사 보수교육 ⦁ 다문화이해교육강사 역량 강화 사업 ‘다·키·움’ ⦁ 업무협약 및 다문화지원협의체 ⦁ 홍보 |
⦁ 결혼이민자 우수동아리 지원 - 난타동아리 ‘인타클럽’ ⦁ 결혼이민자 지역자활센터 ⦁ 글로벌리더아카데미 ‘다·이·아’ |
사회통합사업 | 글로벌 인재 양성 사업 | 외부연계사업 |
⦁ 다문화인식개선사업 ⦁ 다문화인식개선 GOGO프로젝트 - 놀go! 배우go! |
⦁ 다문화학교 ‘토요글로벌스쿨’ ⦁ 다문화가족 자녀 이중언어 말하기대회 ⦁ 토요놀이학교 ‘역사1번가’ ⦁ 드림투게더(Dream Togeher) 유아 언어놀이 지원 |
⦁ 치과 진료 연계 ⦁ 장학금 지원 ⦁ 테블릿 PC 등 외부자원 연계 |
- 서비스언어 : 베트남어, 몽골어, 인도네시아, 중국어
※ 다른 언어들도 통역봉사 연계를 통해 최대한 지원합니다. - Tel. 055-274-8337
Fax. 055-274-8335
Email. damoon@changwon.ac.kr
상담요일
-
☎ 상담요일 : 월(Monday), 화(Tuesday), 수(Wednesday), 목(Thursday), 금(Friday)
정기휴무 : 토(Saturday), 일(Sunday)
통번역 및 상담
- 16개 언어 (베트남, 중국, 영어, 캄보디아, 몽골, 인도네시아, 일본, 미얀마, 러시아, 키르기스스탄, 필리핀, 태국, 우즈베키스탄, 네팔, 파키스탄, 대만)
시군 다문화가족 지원 센터(19개소)
시설명 | 소재지 | 대표전화 | 상담 | 홈페이지 |
---|---|---|---|---|
창원시 가족센터 | 창원시 성산구 대정로 20번길 11, 여성회관창원관 1층 | 055-225-3951 | ![]() |
홈페이지 |
창원시마산 가족센터 | 창원시 마산합포구 중앙북5길 20 | 055-244-8745 | ![]() |
홈페이지 |
진주시 가족센터 | 진주시 진양호로 305 | 055-749-6272 | ![]() |
홈페이지 |
통영시 가족센터 | 통영시 안개4길 94 | 055-640-7741 | ![]() |
홈페이지 |
사천시 가족센터 | 사천시 용현면 부곡3길 90 여성회관 2층 | 055-832-0345 | ![]() |
홈페이지 |
김해시 가족센터 | 김해시 김해대로 2232, 4층 | 055-329-6349 | ![]() |
홈페이지 |
![]() |
||||
![]() |
||||
밀양시 가족센터 | 밀양시 밀양대로 2089 | 055-351-4404 | ![]() |
홈페이지 |
거제시 가족센터 | 거제시 아주로 3길 7 | 055-682-4958 | ![]() |
홈페이지 |
![]() |
||||
양산시 가족센터 | 양산시 양주1길 7-1, 2층 | 055-382-0988 | ![]() |
홈페이지 |
![]() |
||||
![]() |
||||
![]() |
||||
의령군 가족센터 | 의령군 의령읍 의병로 17길 6 | 055-573-8400 | ![]() |
홈페이지 |
함안군 가족센터 | 함안군 산인면 가야로 217 | 055-583-5430 | ![]() |
홈페이지 |
창녕군 가족센터 | 창녕군 창녕읍 창녕대로 172 사회복지타운 | 055-532-1606 | ![]() |
홈페이지 |
고성군 가족센터 | 고성군 고성읍 성내로 135번길 10-1 | 055-673-1466 | ![]() |
홈페이지 |
남해군 가족센터 | 남해군 남해읍 망운로 32 | 055-860-3878 | ![]() |
홈페이지 |
하동군 가족센터 | 하동군 하동읍 섬진강대로 2214 종합사회복지관 4층 | 055-880-6533 | ![]() |
홈페이지 |
산청군 가족센터 | 산청군 산청읍 웅석봉로 86번길 9-19 | 055-972-1018 | ![]() |
홈페이지 |
함양군 가족센터 | 함양군 함양읍 읍필봉산길 55 | 055-963-2057 | ![]() |
홈페이지 |
거창군 가족센터 | 거창군 거창읍 강남로1길 170 | 055-945-1365 | ![]() |
홈페이지 |
합천군 가족센터 | 합천군 합천군 합천읍 옥산로 96-7 평생학습관 2층 | 055-930-4732 | ![]() |
홈페이지 |
방문교육
사업목적
- 한국어교육, 부모교육, 자녀생활지원을 위해 지도사(한국어교육지도사, 생활지도사)가 직접 가정을 방문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여 한국어능력 향상 및 자녀 양육 역량 강화, 자아 · 정서 · 사회성 발달을 도와주는 사업
사업내용
- 한국어교육
- 결혼이민자(최초 입국 5년 이하) 및 중도입국자녀가 생활언어를 익히고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체계적·단계별 한국어교육을 제공
- 부모교육
- 언어·문화 차이 등으로 자녀양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결혼이민자에게 생애주기별(영아기(임신·출산·영아), 유아기, 아동기)서비스 제공
- 자녀생활
- 다문화 가족 자녀(중도입국자녀포함)의 자아정체성 확립 및 사회성 발달을 위하여 인지, 사회, 문화, 교육, 생활 영역 등 지원
※ 방문교육서비스 대상자는 센터의 방문교육서비스 사전설명회 이수후 서비스 제공
※ 소득기준(가구별 건강보험료 본인부담 부과액)에 따라 시간당 본인부담금 차등 부담
※ 본인부담금 적용제외(무상) - 다문화가족 중 섬벽지지역거주자,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본인부담경감 대상자
- 다문화 가족 자녀(중도입국자녀포함)의 자아정체성 확립 및 사회성 발달을 위하여 인지, 사회, 문화, 교육, 생활 영역 등 지원
사업절차
-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정부지원 신청 (거주지에서만 신청 가능)
- 정부지원 소득유형 통지 받은 후 지역 가족센터에 서비스 이용 신청
- 결혼이민자(최초 입국 5년 이하) 및 중도입국자녀가 생활언어를 익히고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체계적·단계별 한국어교육을 제공
※ 정부지원 결정정보 통보 받은 1일 이후(주말 및 공휴일 제외) 가족센터로 전송 됨
- 결혼이민자(최초 입국 5년 이하) 및 중도입국자녀가 생활언어를 익히고 문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체계적·단계별 한국어교육을 제공
신청방법
- 신청기간 : 방문교육서비스 유형별 자격요건이 다르므로 확인 후 신청
- 신청방법 : 지역 가족센터에 방문
- 제출서류
- (공통필수) 가족센터 서비스 개인정보 수집·이용동의서, 가족센터 서비스 민감정보 수집·이용동의서, 가족센터 서비스 개인정보 제3자 제공동의서, 회원등록신청서, 프로그램신청서, 방문교육서비스 본인부담금 사업신청서
- (공통선택) ①주민등록등본(결혼이민자 또는 귀화자가 등본상 기재) 또는
②가족관계증명서와 외국인등록증 사본, 가족관계증명서와 여권사본
- 방문교육서비스대상자 선발은 센터 추천자 및 읍·면·동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의 조사결과 등을 고려하여 선정기준에 따라 시·군에서 결정
방문교육서비스 제공원칙
- 동일기간동안 유사성격의 서비스 동시 제공 불가로 동일한 가구에 방문교육서비스 동시 제공 불가 및 동일한 대상자에 유사서비스(다문화학생 멘토링사업, 언어발달지원사업, 한국어교육 등) 중복 지원 불가함
- 센터 미설치, 방문교육서비스 미실시지역의 경우에는 인근 지역센터 간 서비스 연계 지원 가능함
문의처
- 사업 운영기관 : 도내 시군별 가족센터
- 사업 문의 : 경상남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055-274-8338 경상남도 가족지원과 055-211-5283
사업목적
- 다문화가족 자녀의 언어발달 상태를 평가하고,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가진 아동에게 적절한 언어교육을 실시하여 아동의 언어발달 촉진 도모
사업개요
사업대상
- 언어평가 및 언어교육이 필요한 다문화가족 자녀(만 12세 이하*)
- * 초등학교 재학 중인 아동의 경우 만 12세를 초과하여도 사업 대상에 포함
※ 다문화가족을 우선 지원하되, 지역 상황에 따라 외국인가족, 북한이탈주민가족 등 지원 가능
- * 초등학교 재학 중인 아동의 경우 만 12세를 초과하여도 사업 대상에 포함
사업내용
- 자녀 언어평가 : 대상 아동에게 적합한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아동의 언어발달 정도를 평가
- 자녀 언어교육 : 언어발달 평가 결과 교육이 필요한 아동을 대상으로 어휘·구문 발달 촉진, 대화·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 읽기 및 이야기하기 등의 발달 촉진을 위한 언어교육 실시
- 부모상담 및 교육 : 대상 아동 부모와의 공감대 형성을 위한 부모상담 및 자녀의 언어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부모교육
사업절차

문의처
- 사업 운영기관 : 도내 시군별 가족센터
- 사업 문의 : 경상남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055-274-8338
경상남도 가족지원과 055-211-5283
사업목적
- 입국초기 결혼이민자의 초기 정착 단계에서 경험하는 의사소통 문제해결을 위한 통번역서비스
사업개요
사업대상
- 의사소통을 지원받고 싶은 결혼이민자
- 다문화가족을 지원하는 개인 또는 기관
사업내용
- 가족생활 및 국가 간 문화차이 등 입국 초기 상담 통번역
- 결혼이민자 정착 지원, 국적・체류 관련 정보 제공 및 사업 안내 통번역
- 임신・출산・양육 등 생활 정보 안내 및 상담 내용 통번역
- 학령기 자녀 생활 지원
- 교육과정 통번역 지원
- 가족 간 의사소통 통역
- 행정·사법 기관 이용 시 통번역
- 병원, 보건소, 결찰서, 학교 등 공공기관 이용 시 통번역
- 위기 상활 시 긴급지원 통번역
- 기타 다문화가족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는 개인 또는 기관에서 의뢰하는 통번역 업무 등
사업절차
신청방법에 따른 절차
- 내방 : 신청인에게 즉시 서비스를 제공하되 다른 대기자 또는 선약이 있는 등 즉시 처리가 어려울 경우 서비스 신청서를 받아 예약 일정 안내
- 전화 및 이메일 : 접수 후 다른 대기자 또는 선약이 있는 등을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처리
- 출장 : 하루 전날까지 사전에 신청을 받아 예약제로 운영하되, 긴급상황발생의 경우 센터장의 결재를 받은 후 즉시 출장 가능
통번역서비스가 제한되는 경우
- 무리한 서비스의 지속적·반복적인 요구
-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는 이민자의 통번역 요청
- 무료를 악용한 개인 및 업체의 요청
- 공증을 요구하는 기관 및 개인의 요청
- 분쟁의 소지가 있거나 법적 책임을 요구하는 통번역 요청
문의처
- 사업 운영기관 : 도내 시군별 가족센터
- 사업 문의 : 경상남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055-274-8338 경상남도 가족지원과 055-211-5283
사업목적
- 다문화가족 자녀가 가정 내에서 영유아기부터 자연스럽게 이중언어로 소통할 수 있는 환경 조성으로 자녀의 정체성 확립 및 글로벌 인재로의 성장지원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부모교육 및 부모-자녀 상호작용 서비스 제공으로 부모의 역량을 강화하여 부모와 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정서적 유대감을 강화하기 위함
사업개요
사업대상
- 이중언어코치 배치 센터 내 영유아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사업내용
영역 | 내용 |
---|---|
이중언어 부모코칭 | 이주부모 및 한국인 배우자 대상 이중언어사용의 중요성 및 가족의 역할 교육 |
부모-자녀 상호작용 프로그램 | 이중언어를 사용하여 놀이활동 프로그램 운영 |
이중언어 활용프로그램 | 자녀와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지식과 정보・방법 등을 공유 |
가족코칭 | 가족 초청 또는 가정 방문을 통해 가족 구성원 전체에 대한 코칭 실시 |
사업절차

문의처
- 사업 운영기관 : 도내 시군별 가족센터
- 사업 문의 : 경상남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055-274-8338
경상남도 가족지원과 055-211-5283
원어민 강사양성
교육과정
교육과정 | 교육대상 | 인원 | 시간 | 교육내용 | 교육기관 | |
---|---|---|---|---|---|---|
원어민강사 양성교육 | 결혼이민자 | 양성 | 60명 | 100h | 원어민강사의 자세와 태도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
보수 | 60명 | 50h | ||||
다문화교육강사양성교육 | 결혼이민자 | 60명 | 50h | 다문화사회의 이해 | (동부권)다문화가족지원센터 (서부권)진주교대 다문화교육원 |
|
법정통번역인 양성과정 | 법정 통번역인 인증평가 시험응시 희망 결혼이민자 |
30명 | 24h | 법률지식, 모의통역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 |
이중언어 (한국어)교육 | 원어민강사 양성과정을 이수한 결혼이민자 | 30명 | 30h | 한국사회 이해, 한국어 이해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
교육신청 및 안내
- 경상남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 Tel. 055-274-8337
-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학로 20(사림동) 국립창원대학교 종합교육관 85호관 602호
- 진주교대 다문화교육원
- Tel. 055-740-1550
- 경남 진주시 진양호로369번길 3 진주교육대학교 다문화교육원
가족센터 인턴채용
채용규모 및 방법
- 시·군 19개 가족센터 상·하반기 각 19명, 시·군별 공개모집 후 센터 배치
주요업무
- 다문화가족 지원 프로그램 수행(초급 한국어강사, 상담, 통역 등)
- 다문화 인식개선 사업 수행 및 센터 각종 업무보조
근무조건
- 채용기간 : 5개월(상반기 2~6월, 하반기 7~11월)
- 근무시간 : 주35시간(월~금, 09:30~17:30), 주차・월차 수당 지급
- 보수 : 최저임금 적용
지역자활센터 운영
20개소(경상남도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시․군 19개 가족센터)
사업내용
- 결혼이민자 취업전담창구 운영
-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일자리 정보제공, 유관기관 연계 및 상담
주요기능
- 취·창업 알선 창구 운영, 고용 등 일자리 정보제공
- 여성결혼이민자 경제적 자립지원 프로그램 운영
- 지역사회 유관기관 네트워크 구축
취업지원센터
다누리배움터
- 담당부서 : 복지여성국 여성가족과
- 연락처 : 055-211-5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