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보조기기 교부 사업(국비사업)
- 사업개요
- 지원내용 :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등록장애인으로서 지원품목별 장애유형에 해당되는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심장, 호흡, 지적, 자폐성, 언어 장애인에게 보조기기 교부
- 소득기준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 교부품목 : 욕창예방 방석 등 42종 보조기기
-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 사업(국비사업)에 지원상세 내용에 관한 표 입니다. 연번 지원품목 장애유형 지원기준 내구연한 1 욕창예방 방석 심장 38만원 3년 2 욕창예방 매트리스 심장 3 음성유도장치(음향신호기리모컨) 시각 3만원 2년 4 음성시계 시각 3만원 2년 5 신호장치(시각신호표시기) 청각 58만원 3년 6 진동시계 청각 5만원 2년 7 보행자 지체·뇌병변 25만원 5년 8 좌석형 보행차 지체·뇌병변 20만원 9 탁자형 보행차 지체·뇌병변 40만원 10 음식섭취 보조기기(음식 및 음료섭취용 보조기기) 지체·뇌병변 5만원 1년 11 음식섭취 보조기기(식사도구(칼-포크), 젓가락 및 빨대) 지체·뇌병변 12 음식섭취 보조기기(머그컵, 유리컵, 컵 및 받침접시) 지체·뇌병변 13 음식섭취 보조기기(접시 및 그릇) 지체·뇌병변 14 음식섭취 보조기기(음식 보호대) 지체·뇌병변 15 기립틀 및 기립을 위한 지지대(기립훈련기) 지체·뇌병변 170만원 3년 16 헤드폰(청취증폭기) 청각 80만원 3년 17 영상 확대 비디오 시스템(독서확대기) 시각 270만원 2년 18 문자판독기(광학문자판독기) 시각 80만원 2년 19 목욕의자 지체·뇌병변 60만원 2년 20 녹음 및 재생장치 시각 90만원 4년 21 경사로(휴대용 경사로) 지체·뇌병변 53만원 8년 22 이동변기 지체·뇌병변 60만원 5년 23 미끄럼 및 회전을 위한 보조기기 지체·뇌병변·심장·호흡 35만원 4년 24 의류 및 신발(장애인용의복) 지체·뇌병변·심장·호흡 15만원 2년 25 휠체어 액세서리(휠체어용 탑승자 고정장치 및 기타 액세서리) 지체·뇌병변·심장·호흡 10만원 5년 26 독립형 변기 팔 지지대 및 등지지대 지체·뇌병변 25만원 5년 27 환경 제어 장치 지체·뇌병변 40만원 3년 28 대화용장치 뇌병변·지적·자폐성·청각·언어 140만원 3년 29 지지대 및 손잡이(안전손잡이) 지체·뇌병변 10만원 5년 30 침대 및 탈착식 침대 판/전동조절식 매트리스 지지단(전동침대) 지체·뇌병변·심장·호흡 120만원 10년 31 장애인용 유모차 지체·뇌병변 150만원 5년 32 바닥 특수 앉기 자세유지용 장치(피더시트) 지체·뇌병변 80만원 3년 33 목욕용 미끄럼방지용품 지체·뇌병변 5만원 3년 34 소변수집장치 지체·뇌병변·심장·호흡 120만원 3년 35 대체입력장치(스위치) 뇌병변 5만원 3년 36 개인비상경보시스템(낙상알림기) 지체·뇌병변·심장·호흡 55만원 5년 37 독서용 탁자, 책상 및 독서대 지체·뇌병변·심장·호흡 100만원 3년 38 기억지원 보조기기 지체·뇌병변·지적·자폐 3만원 3년 39 차량 내 착석을 위한 좌석과 방석, 액세서리,
개조용품(장애인용 카시트)지체, 뇌병변 140만원 3년 40 특수키보드(모바일제어 특수키보드) 시각 40만원 5년 41 특수출력 소프트웨어(화면읽기 소프트웨어) 시각 85만원 3년 42 표준네트워크 전화기(영상전화기) 청각 120만원 4년 - 신청방법 : 주소지 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신청
- 교부절차 : 신청 및 자격기준 검토 →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국민연금공단) → 보조기기 맞춤형 상담‧평가(보조기기센터) → 교부결정(시‧군) → 교부 및 확인(시‧군) → 사후관리
장애인 보조기기 및 편의설비 지원사업(도 자체사업)
- 사업개요
- 지원내용 : 전동휠체어, 의료용스쿠터, 전등리모컨, 화상전화기 구입 본인부담금 지원
- 지원대상 및 지원금액
-
장애인 보조기기 및 편의설비 지원사업 표 : 지원대상 및 지원금액에 관한 표입니다. 품목 지원대상 지원내용 지원금액 비고 전동
휠체어「장애인복지법」제32조에 따라 등록한 장애인 중 당해연도에 전동휠체어를 구입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보험급여를 지급받은 사람
- 가군 : 지체ㆍ뇌병변ㆍ심장ㆍ호흡기장애인
- 나군 : 지체ㆍ뇌병변장애인
※ 차상위본인부담경감자(C,E,F) 및 의료급여수급권자 제외- 국민건강보험에서 지원되지 않는 본인부담금 10% 내 지원
- 전동휠체어 기준액*
· 가군 : 2,360천원 / 나군 : 3,800천원
*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 [별표 7] 보조기기에 대한 보험급여기준(제26조제1항 관련)가군 : 236천원
나군 : 380천원 이내*보험급여
100%지급의료용
스쿠터「장애인복지법」제32조에 따라 등록한 지체ㆍ뇌병변ㆍ심장ㆍ호흡기장애인 중 당해연도에 의료용스쿠터를 구입하여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보험급여를 지급받은 사람
- 가군 : 지체ㆍ뇌병변ㆍ심장ㆍ호흡기장애인
- 나군 : 지체ㆍ뇌병변장애인
※ 차상위본인부담경감자(C,E,F) 및 의료급여수급권자 제외- 국민건강보험에서 지원되지 않는 본인부담금 10% 내 지원
- 의료용스쿠터 기준액*
: 1,920천원
*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 [별표 7] 보조기기에 대한 보험급여기준(제26조제1항 관련)192천원 이내 *보험급여
100%지급전등
리모컨장애의 정도가 심한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장애인 중 당해 연도에 전등리모컨을 구입한 사람
※ 시설 입소자 및 장기입원 중인 환자 제외
※ 장애인보조기기교부사업의 환경조정장치로 구입이 가능한 경우 제외- 전등리모컨 구입(설치)비 지원 80천원 이내 화상
전화기「장애인복지법」제32조에 따라 등록한 청각·언어장애인 중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화상전화기를 당해연도에 지원받은 사람
* 지원비율 : 80%(단, 저소득층은 90%)-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지원되지 않는 본인부담금 20%내 지원(단,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10%내 지원) 본 물품 및 기준금액은 변동 가능(한국정보화 진흥원에서 4월경 물품 및 가격 결정) - 신청방법 : 주소지 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신청
- 교부절차 : 시‧군(읍면동) 신청 → 대상 여부 확인 → 지급결정 및 지급
경상남도보조기기센터 운영
- 사업내용
-
경상남도보조기기센터 운영 사용내용 표 : 세부사업과 주요내용에 관한 표입니다. 사업구분 세부사업 주요내용 장애인 보조기기
서비스상담 및 평가 정보제공 ㆍ장애인에게 맞는 보조기기 정보 제공(상담 및 평가단계까지만 진행) 적용훈련 개조 및 제작 ㆍ개개인의 특성에 맞게 맞춤형으로 개조・제작 지원 구매 전 체험(단기대여) ㆍ기기 구매전, 공적급여 연계 전 단기적으로 기기를 대여하여 사용해 볼 수 있도록 지원 재원확보 장애인보조기기무료교부사업(보건복지부) ㆍ장애의 특성 및 유형을 평가하여 적합한 보조기기 교부 품목을 연계지원 기타공적급여 ㆍ부처별(행안부, 노동부 등)로 지원되는 공적급여 품목을 적절한 장애인에게 제공 민간급여 ㆍ공적급여 이외에 민간자원을 활용하여 제공 사후관리 보조기기 수리 ㆍ유지 및 관리를 위한 수리서비스 제공 장애인보조기기
수리ㆍ세척ㆍ장애인보조 기기 소독, 세척 등 유지관리서비스 제공 정보제공 콜센터운영 ㆍ1670-5529 콜센터 운영
ㆍ한통의 전화로 보조기기에 관한 정보 제공견학프로그램운영 ㆍ견학을 통해 센터 내 보조기기 및 서비스 진행에 관한 정보 제공 홍보 ㆍ각종 언론매체
ㆍ행사 참여 및 개최를 통한 기관 및 보조기기 홍보전문인력 교육 ㆍ공무원, 활동보조인, 특수교사 등 전문직종의 인력을 대상으로 교육 실시 지역사회연계 및
민간자원 발굴지역사회연계사업 ㆍ지역사회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다양한 보조기기 관련 사업 수행 민간자원 발굴 ㆍ민간재정지원처의 펀드를 발굴․ 확보하여 보조기기 보급 및 지원사업 수행 - 센터위치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봉곡로97번길 85(경남장애인종합복지관 별관 및 본관 1층)
- 문의전화 : 055-237-8242
- 홈페이지 : https://www.gnatc.or.kr/
경상남도 장애인보조기기수리센터 운영
- 사업내용
- 보조기기 수리사업 및 순회‧방문서비스, 보조기기 배터리 복원, 리사이클링 사업 등
- 수리비용 지원금액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연 40만원), 일반(연 20만원)
※ 초과 비용 발생 시 본인부담
- 시행주체 : (사)경상남도지체장애인연합회
- 센터위치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웅남로316 지식산업센터 지원동 404호
- 문의전화 : 055-275-5611
- 홈페이지 : http://www.kappd-gn.or.kr/kappdgn/bbs/page.php?hid=sub02_07
- 담당부서 : 복지여성국 장애인복지과
- 연락처 : 055-211-5111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