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경남소식
  • 보도해명자료
  • 보도자료

경남과 경북지역의 대학봉사자 공동연합으로 나무심기활동 ‘산불피해지역 및 숲 소실지역 나무심기’로 생태계 복원

  • 조회 : 132
  • 등록일 : 24.05.11

경남과 경북지역의 대학봉사자 공동연합으로 나무심기활동 ‘산불피해지역 및 숲 소실지역 나무심기’로 생태계 복원 1 번째 이미지



경남과 경북지역의 대학봉사자 공동연합으로 나무심기활동 ‘산불피해지역 및 숲 소실지역 나무심기’로 생태계 복원 2 번째 이미지



경남과 경북지역의 대학봉사자 공동연합으로 나무심기활동 ‘산불피해지역 및 숲 소실지역 나무심기’로 생태계 복원 3 번째 이미지



경남과 경북지역의 대학봉사자 공동연합으로 나무심기활동 ‘산불피해지역 및 숲 소실지역 나무심기’로 생태계 복원 4 번째 이미지



경남과 경북지역의 대학봉사자 공동연합으로 나무심기활동

산불피해지역 및 숲 소실지역 나무심기로 생태계 복원

 

기후변화에 따른 대형 산불병충해로 숲 소실지역이 늘어나

경상남도대학생봉사단과 경산시대학생봉사단 참나무 3,000주 식목 활동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와 경상남도자원봉사센터는 11일 함양군 휴천면 일대 산에 경상남도대학생봉사단과 경산시대학생봉사단 총 16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참나무 3,000주 식목 활동을 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상승으로 인해 건조한 지역이 늘어나면서 잇따른 대형 산불과 병충해로 숲 소실지역이 늘어남에 따라 생태계 및 숲 복원을 위한 취지로 대규모 나무심기를 진행하게 되었다.

 

모집인원이 3일 만에 마감되는 등 탄소중립 및 기후위기대응에 대한 청년들의 관심과 적극적 참여로 인해 대규모의 대학생봉사단 연합활동을 진행할 수 있었다.

 

이날 대학생봉사단원들은 3년생인 활엽수참나무를 정성스럽게 심었다경남과 경북지역의 대학생 봉사자들이 공동 연합으로 참여한 이번 나무심기 활동은 청년들이 지역사회에 관심을 가지고 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는 점에서 뜻깊었다.

 

참나무 3,000주는 2022년부터 경산시민 9,000여 명이 참여하여 참나무 씨앗을 발아하여 키운 나무로시민참여형 자원봉사활동이 타지역까지 확산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환경부 국가장기생태연구에 따르면 참나무 숲은 소나무 숲보다 탄소저장량이 2배나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나무심기에 참여한 경상남도대학생봉사단원은 나무심기는 처음 해보는 활동으로 많이 힘들긴 했지만내가 심은 나무가 생태계를 복원하고 기후위기 대응에 역할을 할 수 있다는데 뿌듯함을 느낀다며 생활속에서도 탄소중립을 위한 작은 실천부터 실행해 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도 자원봉사센터 정회숙 센터장은 대학생봉사단 청년들이 땀 흘려 심은 참나무가 잘 자라기를 바라며지역에서 청년들이 주도하는 자원봉사 활동을 더 적극적으로 연결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경상남도자원봉사센터와 경산시자원봉사센터는 지난 4월 30일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으며이번 나무심기 활동뿐 아니라이후에도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협업사업과 지속적인 교류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경상남도자원봉사센터 이명희 주임(055-281-1365)에게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경남과 경북지역의 대학봉사자 공동연합으로 나무심기활동 ‘산불피해지역 및 숲 소실지역 나무심기’로 생태계 복원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경남과 경북지역의 대학봉사자 공동연합으로 나무심기활동 ‘산불피해지역 및 숲 소실지역 나무심기’로 생태계 복원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목록
  • 담당부서 : 경상남도 민원 콜센터
  • 연락처 : 055-120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0 / 100
방문자 통계 SSO